-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8/17 23:28:05
Name   OneV
Subject   아이돌도 결국은 노래가 좋아야한다.
저는 일단 위즈원, 원스 출신입니다.
아이즈원 해체됐으니 어쩔 수 없고 원스는 계속 하고 있어요.
아이즈원 해체 후 저는 제 친구와 달리 담담히 받아들였습니다. 계약 기간 다 채웠고 이제 갈길 가는거고 그거 응원해준다구요.
그래도 가재는 게편이라고 아이즈원 출신들에게 호감이 가더라구요. 그래서 아이브니 르세라핌이니 파생그룹도 응원해주고 조유리, 최예나 개인 활동도 응원해주고 있습니다만 곡이 좋아야만 앨범을 삽니다. 아이즈원때처럼 무지성으로 다 사고 보지는 않아요. 음원도 스트리밍으로 그렇게 안 돌리고 이제는 노래 구리면 그냥 안 들어요.

트와이스로 넘어와서 솔직히 what is love까지는 되게 두근 거리고 항상 제 기대치를 충족 시켜줘서 그 이후부터인거 같은데 좀 실험적인 곡들을 많이 써요….. 그래도 팬심이 있고 의리가 있으니 앨범도 사고 계속 들어서 뇌이징되서 노래 괜찮은데(?) 생각이 들지만 트둥이 라이징 스타시절에 비하면 대중성 같다버린거 같아요.(아이돌 별로 안 좋아하는 친구들은 이미 곡 이제는 트와이스 곡 구리다고 극딜)

예나 스마일리 보면서 컨셉 잘 잡았다고 노래 좋다고 잘 들었는데 스마트폰은 한번 듣고 안 듣네요. 그냥 곡이 별로라서요.
르세라핌 멤버들 보고 기대 많이 했는데 노래가 좀 안 나와서 안 듣게 되더라구요. (제 친구중 이 친구도 위즈원 출신이고 최애가 채원이었는데 한껏 기대한 르세라핌 노래 처음에 듣고 실망….)


올초 톰보이 듣고 아이들 팬도 아닌데 노래 너무 잘 빠져서 앨범도 구매하고 되게 좋았고, 요즘 제가 푹 빠진 뉴진스도 사실 애들 얼굴 보기도 전에 곡이 너무 좋아서 노래가 좋아서 찾아보게 됐어요. 그래서 입덕까지 간거구요. 너무나 오래동안 팬질하고 콘서트도 간 트와이스도 결국 제가 입덕하게 만든 곡은 치얼업입니다.

결국 아이돌도 본질은 가수이니만큼 좋은 노래가 우선이 됐으면 해여. 에스파도 넥레부터 곡 좋을때는 앨범 종류별로 다 사고 엄청 들었는데 이번에 곡 구려서 안-삼


소신발언 - 아이즈원 관련 굿즈 싹 다 사고 앨범도 싹다 샀는데 노래  좋았다고 느낀적 단 한번도 없습니다. 팬심으로 열심히 팬질 했지만 노래는 별로였음 하지만 프듀로 다져진 팬심으로 열심히 응원함






+++++ 노래가 좋다 아니다 물론 개인 취향입니다. 불편하다면 좌송한데 제가 쓴 글이니 제가 구리면 전지적 제 시점에서 구린거고 좋으면 좋는 곡 들려준거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팬아니어도 앨범 사주는 편입니다. 소장 하는 느낌도 들구요.
노래가 좋고 아니고는 개인차이가 있다는거 충분히 이해하고 개인의 다름 이해합니다. 저는 좀 대중적인 취향을 좋아해요. 실험적인 사운드 진짜 잘 빠지지 않는 이상 별로 안 좋아해요.



4


    Cascade
    왓이즈러브 이후에 맘에 드는 곡 DtNA랑 FANCY밖에 없는데...
    2
    답정너곡 예올예 있잖읍니까 ㅎㅎ
    작년 크리스마스때 트콘 혼자 갔을 정도의 찐팬인데 이렇게까지 뜨기전 곡들이 좋았어요.
    저는 이상하게 남들 싫다는 곡이 재밌더라고요. 소시는 아갓어보이, 트와이스는 시그널 ㅋㅋㅋㅋ
    1
    제 친구들 사이에서도 최악의 곡 = 시그널 뽑던데 진짜 취향차이인듯
    비올레타 - 피에스타 좋았읍니다. 파노라마도 맘에 들었구요
    특히 피에스타는 2020년 초반 너무 힘들 때 저를 버티게 해준 (?) 곡이라서 기억에 남읍니다...
    5
    미안해요….. 위즈원 출신으로 진짜 곡은 다 구렸음(그래도 콘서트는 꼬박꼬박 다 댕겨옴 ㅋㅋㅋ)
    음... 결국 곡의 퀄리티가 낮았다거나 그런 것 보다는 취향 차이 아닐지요...
    1
    퀄리티가 떨어진건 절대 아닌거라고 봐요.
    그게 문제가 아니라 저는 시작부터 끝까지 난해한 가사가 쫌…. 리릭스 말고 사운드는 고급스러웠죠.
    1
    저는 대충 다 좋읍니다
    1
    이유가 없는게 팬심이자 사랑 아니까요?/
    당시 아이즈원 너무 좋아했고, 지금도 그 영향이 남아있네요.
    좋은 데엔 이유가 없죠.
    그러니 왜 좋은지 설명할 이유도 없습니다.
    2
    현자십니다~
    헬리제의우울
    제목에서 결국은 이라는 단어로 보편적인 경향성을 암시하고
    본문에서는 개인취향이라고 하시면
    어떤 태도이신지 헷갈리네요
    5
    저 개인이 쓴 글 + 대중성 있는걸 좋아하는 일반 머글 + 대중성 집어 치운 거에 대한 아쉬움 + 그래서 전처럼 잘 안됨. 이 정도로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크 공감합니다.

    전 반대로 아이즈원 노래를 너무 잘뽑아서 많이 들었는데..ㅋㅋㅋ

    뉴진스 노래는 저도 요즘 무지성 한시간 듣기 하고있습니다.. 다음 행보도 기대중
    1
    개백정
    저도 위즈원이긴 한데 노래도 엄청 좋아해서.. 특히 피에스타는 탈아이돌급 노래라고 생각합니다. 아이즈원 외의 아이돌 음악을 안들어서 그런 걸수도 ㅋㅋ
    2
    사람마다 곡 보는 부분이 다를 수 있는데
    라비앙로즈부터 곡 사운드 세련되고 잘 빠졌다고 저도 느꼇는데 가사가…. 환상동화 앨범까지 와서 빵 터졌죠. 왜 이따위로 만드냐
    이미 팬덤이(저 조차) 있으니 성적은 나왔죠.
    아직도 스완 스완 스완 생각나며 킹받네요.
    스콘과홍차수정됨
    첫줄만 읽고 위즈원, 원스라는 아이돌 그룹이 있는줄 알고 ‘오오 홍차넷에도 아이돌이!!’ 했네요ㅋㅋㅋ 무지에 죄송합니다
    2
    저는 아이돌이라는 제목을 아이들로 보고서,
    5살짜리 우리 아들이 그래미 올해의 노래에 뽑힌 실크소닉의 Leave the door open 을 겁나 좋아한 스토리를 댓글로 올리려다 시무룩해졌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4
    다시 원래 글로 댓글을 올린다면,
    피에스타는 노래가 진짜 엄청나게 잘 뽑힌거 같읍니다.

    심하게 말하면 봐서는 안될 청불 영화를 겁나 재밌게 보는 청소년의 느낌이랄까…

    머릿속으로는 얘네 노래 듣는게 별로 옳지 않다고 계속 생각하는데 입으로는 계속 흥얼 거리고 손가락으로는 스밍을 계속 선택하게 되는게 진짜 미친 노래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1
    에스파 윈터랑 카리나가 너무 예뻐서 음악 좀 들었는데 리메이크 곡 말고는 땡기는 노래가 하나도 없어서 자연스럽게 관심이 사라졌네요.
    1
    데이비드권
    맞아요 아무리 좋아도 노래 안 좋으면 영 손이 안가요
    그래도 아이돌계 명언 중에 하나가 휴덕은 있어도 탈덕은 없다 이니...관심이 있으니 노래만 좋으면 언제든 다시 덕질은 시작되죠 ㅋㅋ
    전 최근까지 여자친구 덕질 했는데 열대야 이후로 나온 노래는 도저히 취향이 아니다 보니 자연스레 멀어졌는데 해체를 해버리더라구요...ㅜㅜ
    요즘 덕질할 그룹 물색 중인데 귀에 딱 꽂히는 음악 하는 친구들이 없네요
    1
    여자친구도 초기곡들 엄청 좋았죠. ㅎㅎ
    저는 아이돌 누군지도 얼굴도 이름도 아무도 모르고 음원으로만 들어서 거의 곡으로만 판단하는 편인데요. 대체로 그냥 곡 좋은 팀이 인기 좋은 거 같습니다. 누군지 몰라도 얘네 노래 좋다 싶으면 거의 뜨던데요. 생각보다 퍼포먼스나 외모의 영향이 아주 크지는 않을지도..

    아. 오마이걸은 곡이 정말 좋은데에 비해 체감인기가 좀 부족한 느낌이 있어요. 물론 아주 유명한 인기그룹이지만, 노래만 듣는 입장에서 체감상 더 인기있을 법도 하다는 느낌이거든요. 노래도 좋고 잘하던데.. (저는 여전히 어떻게 생긴 친구들인지 아무도 모름)
    1
    오마이걸도 퀸덤 나와서 인지도 쌓기전에는 터질듯 말듯 하면서 안 터졌죠. 곡이 좋아서 산 옴걸 앨범 좀 있네요.
    CheesyCheese
    스테이씨도 노래가 좋지 않았으면 작년에 그렇게 히트할 수 없었겠죠 ㅎㅎ
    1
    스테이씨도 곡이 좋아서 많이 들었습니다. ㅎㅎㅎㅎㅎ
    노래가 좋아야 한다는 지표는 참 종잡을수가 없습니다.
    제 기준에서 러블리즈는 적어도 공중파 1위 몇번은 했어야 하거든요ㅠㅠ

    제 생각에 아이돌판의 승리 공식은 결국 '이슈몰이' 입니다.
    일단은 대중들에게 노출시키고 꾸준히 자주 보여지기라도 해야, 그 매력을 알리기라도 하죠

    실제 유튜브 역주행이나,
    말씀하신 트와이스, 아이즈원이 대형 기획사, TV들이 이 악물고 달라붙어서 이슈화 해서 성공한 사례이기도 하죠.
    2
    곡만 좋아서는 뜨기 힘들죠. 곡도 좋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러블리즈곡들 개인적으로는 좋아하지만 약간 올드한 느낌이 드는듯한 컨셉이 결국 대중성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해요. 똑같이 퀸덤 나와서 옴걸은 치고 올라왔는데 러블리즈는 반등 못하고 그대로 해체까지……….

    생각해보면 롤린도 곡은 좋았는데 이슈몰이가 안되니까 잘 안되다가 역주행하면서 1위까지했네요.
    괄하이드
    아이브얘기 당연히 있을줄 알았는데..ㅋㅋ 개인적으로는 대표적으로 아이브가 노래를 이연타로(일레븐, 러브다이브) 잘 뽑아서 엄청 뜬 그룹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아무리 에이스멤버(장원영 안유진) 데리고 데뷔해도 노래 안좋았으면 말짱꽝이었을거라고 생각해서요.
    1
    아이브도 데뷔곡부터 엄청 잘 빠졌죠. 아이즈원 해체후 당시 원픽이 원영이었지만 아이브 앨범까지 사야하나 고민 많이 했는데 곡이 좋으니 사게 되더라구요. ㅎㅎㅎㅎ
    주작 논란이 있었음에도..
    라비앙로즈 - 비올레타(+하늘 위로) - 피에스타 - 파노라마(+시퀀스)
    노래가 연타석으로 좋아서 즐겨들었던 그룹이네요

    같은 맥락에서 프로미스나인도
    유리구두 - We Go - DM - Stay This Way 가 좋아서 빠져버렸습니다
    2
    닭장군
    그냥 마음에 들면 사고 마음에 안들면 안사는거죠.
    예를들어 저는 임재범노래 별로 안좋아합니다. ㅋㅋㅋ
    1
    곡이 좋아서 앨범 사기도 하는데 특정 그룹들은 무지성으로 앨범을 구매합니다.(제가요…….) 그래서 유명 그룹들이 초기에 좋은곡 많이 내놓다가 점점 난해한 곡들만 내는거 같기도 하고….. 니들 어차피 살거잖아
    아이돌 뿐만 아니라 대중예술가 전반에 해당되긴 합니다. 기본적으로 어디서 인기가 오는가? ‘잘해야’하는데 그 잘함이란 현재성과 미래의 적당히 위치할 때를 의미합니다, 익숙한 낯선 쾌감. 신인은 단지 청자의 현재성과 미래 사이에 잘 놓이면 되는데 기성 뮤지션의 경우 청자들이 받아들이는 현재엔 단순히 현 시점의 음악 유행 뿐만 아니라 그 음악가가 가진 이미지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꾸준히 히트곡을 내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기성 뮤지션이 어렵기만 한 것은 아닌게 일정 수준의 이름값으로 밀어붙일 수 있는 프로모션이 있습니다.... 더 보기
    아이돌 뿐만 아니라 대중예술가 전반에 해당되긴 합니다. 기본적으로 어디서 인기가 오는가? ‘잘해야’하는데 그 잘함이란 현재성과 미래의 적당히 위치할 때를 의미합니다, 익숙한 낯선 쾌감. 신인은 단지 청자의 현재성과 미래 사이에 잘 놓이면 되는데 기성 뮤지션의 경우 청자들이 받아들이는 현재엔 단순히 현 시점의 음악 유행 뿐만 아니라 그 음악가가 가진 이미지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꾸준히 히트곡을 내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기성 뮤지션이 어렵기만 한 것은 아닌게 일정 수준의 이름값으로 밀어붙일 수 있는 프로모션이 있습니다. 앞서 말한 현재-미래 대비에서 미래를 좀 더 밀어붙일 수 있는 여유가 있는 것이죠. 대중음악가도 인기에 따라 초심자-중급자-숙련자 단계를 거칠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현재 대중음악판은 인스턴트화가 심해 어지간한 기성 그룹도 그 여유를 가질 수 없어요, 여전히 처음 들었을 때 터트려야 해요. 혁신 시도는 너무 위험부담이 크기 때문에 이미지가 상하기 전에 현재-미래 포인트 잡은 걸 토대로 쭉 밀어붙이는 경우가 많죠.

    아이즈원은 논외인게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철저하게 팬덤 형성에 모든 걸 다 바친 그룹입니다. 그것이 엠넷에게도 각 기획사에게도, 그리고 멤버 모두에게도 옳았습니다. 전임 그룹 아이오아이로부터 배운 교훈을 잘 써먹어요. 철저하게 이미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아이즈원을 대중과 분리시켜둔 덕분에 후속 그룹들이 팬덤은 큰데 이미지 소모는 적은 상태로 시작할 수 있었죠. 구구단, 프리스틴 같은 경우에는 기획사가 조진 것도 크지만 실제로 메인 멤버들 데리고 더 진행할 수 있는 컨셉이 별로 없던 것도 실패 요인이었습니다.
    3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095 문화/예술마법을 쓰면 다 마법소녀? 국내 방영 마법소녀물 상편 19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8/07 3890 12
    14060 문화/예술우울증이란 무엇인가 - 를 가장 완벽히 보여준 영상 4 코튼캔디 23/07/23 2919 1
    14051 문화/예술이 목소리가 여자 성우라고? - "소년 본좌" 성우들 6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7/18 5272 7
    13984 문화/예술애니메이션을 상징하는 반복 대사들 22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6/14 3229 6
    13965 문화/예술생각보다 고난이도인 애니메이션 노래들 9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6/08 3281 1
    13932 문화/예술[홍보] 6월 2~3일(금/토) 노원맥주축제 즐기러 오세요!!! 25 비어-도슨트 23/05/31 2926 11
    13921 문화/예술'이철수를 석방하라' 1 열한시육분 23/05/29 3093 11
    13876 문화/예술한국과 일본에서 인지도가 다른 애니메이션들 25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5/18 3671 12
    13766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6. "약함"과 "예고장" 4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4/18 5361 7
    13753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5. 검열의 시대, KBS의 고뇌 8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4/14 4206 7
    13740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4. 동화에서 다시 현실로, 외전2편 6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4/11 3200 6
    13735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3. 짝사랑에 빠진 소녀의 로맨스 6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4/10 3640 7
    13720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2. 샐리의 짝사랑 12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4/05 3453 10
    13705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1. 원작 만화처럼 로맨스 즐기기 16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4/03 3384 9
    13678 문화/예술개인적으로 국가 부도의 날을 보면서 개인적으로 벙찐 장면 4 OneV 23/03/27 2686 1
    13668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 샐리 아버지의 타로점은 맞았을까? 4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3/25 3158 7
    13245 문화/예술만화 원피스가 타 소년만화와 차별화 되는 부분(?) 7 OneV 22/10/19 3146 0
    13216 문화/예술오무아무아 2 EisKaffee 22/10/10 2835 15
    13210 문화/예술애니를 안보셔도 한번 봐주셨으면 하는거 모았음 1탄 9 활활태워라 22/10/06 3536 3
    13094 문화/예술아이돌도 결국은 노래가 좋아야한다. 36 OneV 22/08/17 4167 4
    13092 문화/예술폴 포츠, 10월 8일 데뷔 15주년 기념 내한 콘서트 개최 둔둔헌뱃살 22/08/17 3001 0
    13038 문화/예술<소설가의 영화> _ 창작자로서의 홍상수와 유희열 리니시아 22/08/01 3646 8
    12583 문화/예술한문빌런 트리거 모음집 23 기아트윈스 22/03/06 4814 49
    12560 문화/예술방과후설렘 8 헬리제의우울 22/02/28 4218 14
    12285 문화/예술회사 식당에서 만난 박수근 9 순수한글닉 21/11/19 4913 3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