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06/13 15:26:23 |
Name | ![]() |
File #1 | 캐릭터셋.jpg (524.9 KB), Download : 30 |
Subject | 문자를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 |
캐릭터셋에 대한 얘기입니다. 설명할 자신은 없고... 간단하게는 이렇게 시작해서 점점 복잡한 체계의 다양한 표준으로 발전해왔다 정도의 내용에서 중간생략을 많이 하면 대충 이렇다고 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토비님의 최근 게시물
|
https://jjeong.tistory.com/696
대충 요런식으로 자모음을 조합한 값이 표에 대응됩니다.
요런 방식이 조합형이고요. UTF가 이에 해당합니다.
자모를 분리하지 않고 글자 하나씩을 코드 테이블에 대응시키는 방법을 완성형이라고 하는데
EUC-KR, CP949 같은 방식이 그러합니다.
EUC-KR은 테이블이 적다보니 표현 할 수 없는 글자들이 있었죠.
대표적으로 똠방각하의 '똠'을 예로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CP949는 테이블이 이... 더 보기
대충 요런식으로 자모음을 조합한 값이 표에 대응됩니다.
요런 방식이 조합형이고요. UTF가 이에 해당합니다.
자모를 분리하지 않고 글자 하나씩을 코드 테이블에 대응시키는 방법을 완성형이라고 하는데
EUC-KR, CP949 같은 방식이 그러합니다.
EUC-KR은 테이블이 적다보니 표현 할 수 없는 글자들이 있었죠.
대표적으로 똠방각하의 '똠'을 예로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CP949는 테이블이 이... 더 보기
https://jjeong.tistory.com/696
대충 요런식으로 자모음을 조합한 값이 표에 대응됩니다.
요런 방식이 조합형이고요. UTF가 이에 해당합니다.
자모를 분리하지 않고 글자 하나씩을 코드 테이블에 대응시키는 방법을 완성형이라고 하는데
EUC-KR, CP949 같은 방식이 그러합니다.
EUC-KR은 테이블이 적다보니 표현 할 수 없는 글자들이 있었죠.
대표적으로 똠방각하의 '똠'을 예로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CP949는 테이블이 이렇다고 하네요
https://charset.fandom.com/ko/wiki/CP949
대충 요런식으로 자모음을 조합한 값이 표에 대응됩니다.
요런 방식이 조합형이고요. UTF가 이에 해당합니다.
자모를 분리하지 않고 글자 하나씩을 코드 테이블에 대응시키는 방법을 완성형이라고 하는데
EUC-KR, CP949 같은 방식이 그러합니다.
EUC-KR은 테이블이 적다보니 표현 할 수 없는 글자들이 있었죠.
대표적으로 똠방각하의 '똠'을 예로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CP949는 테이블이 이렇다고 하네요
https://charset.fandom.com/ko/wiki/CP949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