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4/01 23:01:37
Name   The xian
Subject   2022년 LCK 스프링 결승 D-1. 개인적인, 그리고 잡다한 관심사
1. 결승 진출 두 팀 주전들의 LCK 시즌 경험을 합산하면 오히려 젠지가 많다(?)

저도 처음에는 못 믿었는데 놀랍게도 사실입니다.

* 포지션은 탑 - 정글 - 미드 - 원딜 - 서폿 순으로, (경험 시즌 수, 데뷔 시즌) 입니다.

T1(총 36시즌) -  제우스(3시즌, 2021 스프링), 오너(3시즌, 2021 스프링), 페이커(20시즌(!), 2013 스프링), 구마유시(5시즌(?), 2020 스프링) 케리아(5시즌, 2020 스프링)

젠지(총 47시즌) - 도란(6시즌, 2019 서머), 피넛(13시즌, 2015 스프링), 쵸비(8시즌, 2018 서머), 룰러(12시즌, 2016 서머), 리헨즈(8시즌, 2018 서머)

※ 페이커가 경험한 시즌 중에는 13-14 '윈터' 시즌이 있었기 때문에 2013 스프링부터 시즌을 합산해도 2022 스프링이 페이커의 20시즌째가 됩니다.
※ 제우스는 2021 서머 로스터에는 있었지만 실제로는 칸나에게 밀려 2021 서머 정규 시즌과 포스트시즌 모두 한 경기도 출전하지 않았습니다.
※ 구마유시는 콜업 기준으로는 LCK 시즌 경험을 2020 스프링부터 시작하는 것이 맞지만, 2020 스프링과 서머의 정규 경기나 포스트시즌에는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고, 2020 월즈 선발전이 주전 데뷔전 / 2021 스프링 개막전이 LCK 데뷔전이 된 특이한 사례인지라 실질적으로는 3시즌째를 맞이하는 셈입니다.
※ 피넛은 나이 제한으로 2015시즌 스프링 2라운드부터 출전했고, 2020 시즌에는 두 시즌 동안 LPL에 있었기 때문에 LCK는 13시즌째입니다.


2. 하지만 결승 진출 두 팀 주전들의 개인별 LCK '결승전 경험' 합산은 거의 비슷하다

네. LCK '결승전 경험'을 합산하면 오히려 T1의 주전들이 1회 더 많습니다.

* 포지션은 탑 - 정글 - 미드 - 원딜 - 서폿 순으로, (결승 진출 수) 이며 이번 결승전을 개인별로 하나씩 포함한 수입니다.

T1(총 22회) -  제우스(2회), 오너(2회), 페이커(12회(!)), 구마유시(3회), 케리아(3회)
젠지(총 21회) - 도란(3회), 피넛(6회),  쵸비(5회), 룰러(3회), 리헨즈(4회)

※ 참고로 구마유시는 2020 스프링 결승에 로스터로는 등록되었으나 실제로는 출전하지 않아 무전 우승자(로열로더)가 되었습니다.

역시나 원인은 [규격 외]의 GOAT 한 분 때문이군요.


3. 우승 시 팀 / 개인별 우승 기록은 어떻게 되나?

T1이 우승하면.

-  LCK 팀 최초 10회(!) 우승이 됩니다. 당연히 LCK 우승 횟수 1위의 자리는 더 굳건하게 지켜집니다. (2위는 담원 기아의 3회)
- 리그제 전환 이후 최초의 전승우승 팀이 됩니다.
- 페이커는 LCK 10회(!) 우승, 구마유시는 LCK 2회 우승(2020 스프링은 무전 우승이므로 주전으로는 첫 우승), 제우스, 오너, 케리아는 LCK 첫 우승이 됩니다.
- T1의 최성훈 감독은 감독 부임 첫 시즌에 우승을 하게 됩니다.

젠지가 우승하면

- 젠지가 우승하면 3회 우승으로 담원 기아와 함께 LCK 팀 우승 공동 2위가 됩니다.
- 피넛은 LCK 4회 우승, 도란, 쵸비(!!!), 룰러(!), 리헨즈는 LCK 첫 우승이 됩니다.
- 젠지의 고동빈 감독은 감독 부임 첫 시즌에 우승을 하게 됩니다.
- 정규 시즌 1위 팀에게 업셋으로 우승하는 두 번째의 팀이 됩니다. (첫 번째 팀은 T1 / 업셋 우승 총 5회)

쓰고 보니 전승우승 가능성 외에 T1이든 젠지든 누가 우승하든 간에 감독 로얄로더가 탄생한다는 점도 특이합니다.


4. 그 외의 특이점들

- 시즌 마지막 승부가, 풀 전력으로 맞붙는 시즌 최초의 승부

T1과 젠지의 정규 시즌 경기에서는 T1이 다 이겼지만, 코로나 이슈 때문에 젠지의 주전이 모두 나온 경기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승부의 양상을 측정할 때 정규 시즌 경기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만, 그렇다고 젠지의 주전이 모두 나왔다면 결과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도 곤란하겠지요. 이미 일어난 일이니 T1의 승리는 승리 그대로 인정받아야 하고, 풀 전력의 변수가 어느 정도인지는 그것대로 뚜껑을 열어 봐야 할 것입니다. 어쨌거나, 두 팀은 주전이 모두 출전하는 최초 승부를, 시즌 마지막 승부인 결승전에서 맞이하게 됩니다.

- 의심할 여지가 없는 실력 & 모두의 눈을 의심케 하는 다전제 전적

이번에 다전제에서 여섯 번째 맞대결하는 페이커와 쵸비. 시즌 올프로 퍼스트와 세컨드가 된 두 선수의 실력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는 반면, 이번 결승전 전까지 두 선수의 BO5 다전제 전적은 페이커의 5:0 완승입니다. 모두의 눈을 의심케 할 정도의 절대적인 격차이지요. 물론 쵸비가 페이커에게만 BO5 다전제 패배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나더 레벨' 그리핀 시절부터 거쳐 온 모든 팀에서 페이커에게 다전제를 한 번도 이겨 보지 못한 것은 어떻게 봐도 좀 많이 아픈 구석입니다. 결승전은 내일이고, 원인이 무엇이든 결국 길을 찾아내야 하는 것은 쵸비 자신입니다.

- 케리아의 우승 부담감?

우승에 대한 부담감은 다 가지고 있겠으나 저는 유독 케리아의 인터뷰가 눈에 밟혔습니다. 미디어 데이 때는 아니었지만, PO 2라운드 광동전 승리 인터뷰를 보면 [이번에 우승 못 하면 앞으로 나의 프로 생활에 있어서 힘들 것 같다. 꼭 우승하고 싶다. 무조건 해야겠다. 앞으로 인생이 달렸다.]라고 했더군요. 개인적으로 인생 이야기가 나올 정도의 인터뷰는 오랜만에 보는 듯 하기도 했고,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저는 평소 성격이나 플레이 스타일로 볼 때 케리아가 매우 격정적인 부분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이 결승전에 불안요소가 될지 시너지가 될지... 저는 인생 이야기까지 나온 탓에 기대보다는 조금 우려를 하는 쪽입니다. 뭐. 케리아도 이번에 우승 못 하면 3번째 준우승이라 초조할 것 같기도 하고요.



0


    결국 3:0 or 3:1
    압도적인 결과가 나올것으로 예상됩니다;;

    작년 롤드컵 8강 T1 vs 한화생명 이랑 비슷한 양상??
    페이커가 쵸비 묶어두면 다른라인에서 그냥 뚜까 팰거 같은 느낌;;
    3
    쵸비는 이번에 우승 못하면 5번째 준우승인데…. 쵸비보다 올려두신 케리아의 초조함이 더 커 보이는 게 재밌네요. 함께 실력을 떠나 오너와 피넛의 멘탈 관리 능력의 차이가 조금 나는 것 같아서 그 부분이 과연 어떻게 작용할 지 역시 변수 같습니다. 마주해보지 못한 것에 대한 부담감 역시 탑독인 티원 입장에서 더 많이 느낄 테고요.
    2
    kaestro
    티원의 전력이 더 강해보이는데, 젠지도 충분히 강하다고 생각해서 치열한 경기 보여줬으면 좋겠습니다
    기대되네요
    1
    딸기아빠
    티원 입장에서 불안요소는 케리아의 멘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인터뷰를 보니 뭔가 쎄하네요
    1
    moneyghost
    이 때까지 lck의 스프링 결승은 거진 다 원사이드하게 이기는 결과로 끝났는데 이번에도 그럴지…아마 그럴 가능성이 크겠죠?
    1
    헌혈빌런
    전 온 세상이 티원의 낙승을 외치고 있어서 되려 불안하네요 ㅋㅋㅋ
    1
    1세트를 T1이 잡는다면 T1 3:0 승, 젠지가 잡는다면 젠지 3:2 승이 될 거 같습니다.
    1
    cummings
    구 drx멤버들중에 쵸비나 케리아 둘중 한명이 드디어 우승컵을 든다는게 참ㅎㅎ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732 게임[디2R]4.29 09:00 래더 오픈런 하실분 모여보아요 4 22/04/17 3628 2
    12706 게임그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영상에 [아니고]를 넣었을까? 13 The xian 22/04/08 8333 0
    12694 게임그냥 써 본 2022년 LCK 스프링 시즌 결산 (하) 3 The xian 22/04/03 4148 7
    12691 게임2022년 LCK 스프링 결승 D-1. 개인적인, 그리고 잡다한 관심사 8 The xian 22/04/01 3797 0
    12682 게임클템 해설의 캐니언 역체정 언급 유감 60 The xian 22/03/30 5671 2
    12681 게임그냥 써 본 2022년 LCK 스프링 시즌 결산 (상) 10 The xian 22/03/29 3328 0
    12678 게임요즘은 엑스컴 2를 재미있게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10 손금불산입 22/03/28 4564 14
    12676 게임월간 스타여캠 4월호 (홍터뷰A/S) 12 알료사 22/03/27 5172 18
    12673 게임LPL 플레이오프 일정이 확정되었습니다. Leeka 22/03/26 5924 0
    12660 게임8시간 29분만에 중단된 블루 아카이브의 어떤 이벤트 이야기 1 The xian 22/03/20 5615 6
    12651 게임농심 vs 한화의 꼴지 결정전? 롤챔스 8~10위 경우의 수 심플하게 정리. Leeka 22/03/19 3570 0
    12650 게임심플해진 롤챔스 플레이오프 경우의 수 3 Leeka 22/03/19 3188 0
    12627 게임과연 롤 커뮤니티를 스포츠 커뮤니티라 할 수 있는가? 13 0129 22/03/14 4769 0
    12608 게임게임하면서 응원하자, Bundle for Ukraine 8 kaestro 22/03/10 3909 3
    12545 게임(스포주의) Nerdlegame에서 느끼는 "신뢰" 6 dolmusa 22/02/25 4036 2
    12535 게임KT-KTF 프리미어리그 플레이오프 임요환vs홍진호 in Lost Temple 17 윤지호 22/02/22 4502 1
    12510 게임[마스터 듀얼]엘드리치로 플레1 달았습니다!(엘드리치 덱 소개) 6 kaestro 22/02/11 7689 0
    12504 게임굶지마(Don't Starve) 햄릿 기본 운영 공략 5 손금불산입 22/02/09 20773 4
    12485 게임월간 스타여캠 2월호 (비정기 간행) 9 알료사 22/02/02 4612 19
    12470 게임LCK 역대 시즌별 EGR / MLR 지표 1위팀들 정리 1 Leeka 22/01/26 3909 1
    12465 게임뱀파이어 서바이버즈(Vampire Survivors) 7 윤지호 22/01/25 5696 1
    12460 게임유희왕 마스터 듀얼이 나왔습니다. 3 여우아빠 22/01/22 5126 0
    12452 게임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가 발표되었습니다. 22 저퀴 22/01/18 7847 0
    12433 게임2021 최고의 지름... 엑스박스 15 탈론 22/01/11 4299 0
    12338 게임[디아블로2 레저렉션] 낙인(구 인두) 아마존 6 윤지호 21/12/10 9117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