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3/04 09:01:08
Name   Picard
Subject   윤통 당선후 이준석 입각 또는 청와대 갈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치 이야기 좋아하는 중년회사원 아재입니다.

일단, 저는 윤통 당선후 윤핵관, 이준석, 안철수가 서로 싸울 거라고 보는 쪽입니다.
아마도 국힘 지지하시는 분들이나 이준석 좋아하시는 분들중에는 윤통이 되면 국힘이 서로 사이 좋게 지낼거라고 보시는 분들도 꽤 많겠지만요.. 저는 이준석은 한때 믿었었지만 국힘이라는 정당은 안 믿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보아온 윤후보는 이준석이랑은 정 반대 포지션입니다.
설명 보다는 '형 믿지? 내가 잘 알아서 해줄테니 나 믿고 따라와!' 라고 짧게 이야기 하는 타입이고, 이런 말이 먹히게 하는 카리스마가 있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이준석은 데이터와 논리로 상대를 설득하는 타입입니다. 이게 이래서 이렇고, 저게 저래서 이렇고 그래서 이것, 저것, 요것중에는 저것이 최선의 방법이고 데이터로 봤을때 저것을 하면 90% 성공한다. 라고 하는 타입이죠.
장제원이 야밤에 윤후보네 집에 가서 직접 끓여준 라면을 먹었다던데, 이준석은 이런 타입의 리더십이 아닌 타입이죠.
안철수와의 단일화도 윤후보가 '후보가 만나서 10분이면 단일화 결정 되는거 아니냐!' 라고 하고 다녔었는데..
아마 장제원-이태규간에 기존 정치공학대로 지분과 거래를 기반으로 협상하다 파토나니 윤-안이 직접 만나 '안후보님, 저 못 믿으십니까? 원하는거 다 해드리겠습니다. 원하시면 총리든, 장관이든 다 해드린다니까요. 지금 정권교체가 중요한거 아닙니까?! ' 라는 식으로 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장-이 간에 서로 주고 받은 약속이나 문서가 있을지 모르지만, 윤은 구체적인 제안 없이 '원하는대로 해드린다. 나 못믿어?' 라는 구두약속정도 했을거고 안철수는 윤의 카리스마에 넘어간거겠죠.

윤통이 당선되면 이준석이 1등공신이고, 핵관씨들은 그보다 딸린다고 하시는 분도 계시는데, 그건 윤통 마음에 달린 겁니다.
지금까지 흘러나오는 얘기를 보면 윤통은 이준석을 참모로서는 인정하지만 '내 식구'로 받아들였는지는 좀 의문이 있어요.

하여튼, 제가 윤통이라면 윤핵관과 이준석이 싸우게 하면 골치 아픕니다. 윤통에게도 당선후를 대비한 그림이 있거든요.
처음에 윤후보가 '압도적 대선승리' 운운한거 봤을때 대선을 큰 격차로 이겨서 그 위세로 민주당을 압박, 정계개편을 노렸을 것 같은데, 지금 대선이 박빙승부가 되어가고 있으니 전략을 수정, 대선승리후 그 기세로 지선까지 큰 차이로 이겨서 그 기세로 정계개편을 통해 여소야대를 벗어나야 합니다. 그래서 국힘내에서 서로 공신싸움하고 공천싸움하고 있으면 안됩니다.

그래서 내가 윤통이라면 어떻게 할까 생각해보니..
이준석을 당에서 떼네면 되겠구나 싶습니다.
초대 양성평등부 장관, 아니면 과기정통부와 중기부에서 일부 기능을 넘겨 합쳐서 신설 부서 장관..
최소한 청와대로 불러들여 청년정책(갈등과 고용) 담당하는 청년수석이나 비서관을 제안하면 이준석이 받지 않을까요
(이준석이 제 생각보다 더 똑똑하다면 초대양성평등부 장관은 안 받을 듯)

이준석 당대표의 임기는 23년 6월까지인데, 이번 지선 끝나면 24년 총선까지 당분간 굵직한 선거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의 캐릭터상 정계개편을 주도하기는 어려워 보이고요.  차라리 이번 기회에 입각이나 청와대 수석/비서관으로 가서 계속 청년정책, 고용정책, 과학정책(이건 안철수랑 겹침) 등을 주도하면서 인지도를 높여서 24년 총선을 대비하는게 나을수도 있습니다.
이준석은 이미 대선승리를 이끈 성공한 당대표라는 라벨을 얻었는데, 지선 공천과 당대표 임기에 연연해서 정계개편이라는 지저분한 싸움에 엮여서 이미지 손상 입는 것 보다는 깔끔하게 임기 초반의 대통령 옆에서 자기 정책을 이끄는게 낫거든요.
다만 변수는 이번 핵관씨들과의 싸움에서 이준석 편을 들어준 당내 소장파들을 어떻게 케어하느냐가...

이렇게 되면 윤핵관들은 당권을 되찾아서 좋고, 이준석은 개인 커리어에서 다시 한번 하이를 찍어서 모두다 해피한 윈윈이 아닐까..





0


    새친구를찾아보자
    무관 탈출?
    23년 6월에 당대표 끝나고 반년정도 백수(?) 하다가 24년 4월 총선 나가는 것 보다는 22년 3월에 영광스럽게 당대표 사임하고 청와대 비서관 또는 30대 장관으로 입각하는게 더 좋은 그림이니..
    명상의시간
    과연 준스톤의 미래는!!?
    1
    27년 대선 국민의힘 대선경선 출마?
    차오루
    바로 팽 예상해봅니다.
    revofpla
    전 윤이 당선되면 이준석은 바로 토사구팽일꺼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다음 굵직한 선거는 어차피 많이 남았고 윤 입장에서도 이미 대통령이 되었는데 굳이 이준석이라는 꼬리표를 계속 달고 싶진 않을꺼라 생각해서요....
    1
    지나가던선비
    민주당 180석이 아니었으면 그랬을거같은데 저거때문에 어려운면이있을듯합니다
    호타루
    지선이 남아있는 터라 바로 팽하는 건 불가능할 것 같긴 합니다. 팽하는 것 자체는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서도요.
    노바로마
    토사구팽 가능성 높죠. 아무리 대통령이라도 당권에 손을 댈 수는 없겠지만, 사실상 갈등구도 가면서 고립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워낙 긁어놓은것도 있구요.
    1
    계속 노원병 두들길 겁니다.
    꽂아주는데 낙하산 탈 생각있는 인물이었으면 노원에서 10년동안 저러고 있지 않았죠.
    진작에 비례받아서 뱃지달고 있었을거에요.
    개인적으로도 장관자리보다 보수험지 노원 의원자리가 훨씬 가치있어 보이기도 하구요.

    본인의 생각은 모르겠지만 본인의 정치인생 스토리를 관리하면서 만들고 있다는 느낌이에요.
    목표야 명확하구요, 쉬운길로는 아마 안갈겁니다.

    팽이요?
    본인이 내세우는 대의 명분이 옳고 국민들이 지지해 주면 아무상관없습니다.
    지지자들에게 동정심과 부채의식을 심어주면서 더 크게 성장할 밑... 더 보기
    계속 노원병 두들길 겁니다.
    꽂아주는데 낙하산 탈 생각있는 인물이었으면 노원에서 10년동안 저러고 있지 않았죠.
    진작에 비례받아서 뱃지달고 있었을거에요.
    개인적으로도 장관자리보다 보수험지 노원 의원자리가 훨씬 가치있어 보이기도 하구요.

    본인의 생각은 모르겠지만 본인의 정치인생 스토리를 관리하면서 만들고 있다는 느낌이에요.
    목표야 명확하구요, 쉬운길로는 아마 안갈겁니다.

    팽이요?
    본인이 내세우는 대의 명분이 옳고 국민들이 지지해 주면 아무상관없습니다.
    지지자들에게 동정심과 부채의식을 심어주면서 더 크게 성장할 밑거름이 될뿐이죠. 오히려 더 좋아요
    애초에 시작부터 박근혜가 비대위원으로 꽂아준건데요...
    노원병을 떠날거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노원에서 당선되기 위한 커리어 쌓기라는거죠
    2
    네 그렇게 정치 시작했는데
    청년 비대위 얼굴마담이 대단한 낙하산이라 생각하신다면 딱히 할말은 없습니다.
    같이 시작한 손수조는 지금 장례지도사 하고 있고 그냥 대부분이 한번쓰여지고 버려지는 패들이에요.

    그리고 이미 당대표>>>>>>>>>>장관입니다.
    커리어 목적의 장관은 말이 안되요.

    이준석이 절대 장관 청와대 안들어 갈거다는 아닌데 지금은 아니에요.

    그냥 대선후 이준석이 입각할거다라는 의견 자체가 이준석행적을 지켜봤다면
    나오기 힘든 말이라 생각해요.
    추미애도 당대표하고 장관 갔죠...
    현재 이준석이 부족한건 행정경력이나 의정경력입니다. 괜히 안티들이 '0선대표 ㅋㅋㅋㅋ' 하는게 아니거든요.
    이대로 당대표 23년 6월에 물러나면 그 뒤에 또 패널 하면서 인지도 유지할건가요.
    '그래서 니가 한게 뭔데?' '
    '윤통 당선! 지선 승리!'
    '그게 너 혼자 한거냐? 후보들은 꼭두각시고?'
    더 할말이 없죠. 여기서 설마 '응. 다 내가 만든거야' 라고 했다가는 '이준석, 현 대통령 폄훼' 헤드라인이..
    이준석 행보를 지켜보신 분이 보시기에 이준석이 내미는 대의라는게 뭔가... 더 보기
    추미애도 당대표하고 장관 갔죠...
    현재 이준석이 부족한건 행정경력이나 의정경력입니다. 괜히 안티들이 '0선대표 ㅋㅋㅋㅋ' 하는게 아니거든요.
    이대로 당대표 23년 6월에 물러나면 그 뒤에 또 패널 하면서 인지도 유지할건가요.
    '그래서 니가 한게 뭔데?' '
    '윤통 당선! 지선 승리!'
    '그게 너 혼자 한거냐? 후보들은 꼭두각시고?'
    더 할말이 없죠. 여기서 설마 '응. 다 내가 만든거야' 라고 했다가는 '이준석, 현 대통령 폄훼' 헤드라인이..
    이준석 행보를 지켜보신 분이 보시기에 이준석이 내미는 대의라는게 뭔가요?
    아, 그리고 청년 비대위가 아니라 그때 박근혜가 꽉 잡고 있던 비대위입니다. 거기 못 들어가서 안달인 사람 많았어요.
    이준석이 장관직이나 청와대 수석을 받진 않을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대통령의 밑에 있는 직책인데 이준석 입장에서는 굳이 왜? 라고 생각할 것 같아요. 본인에게 맞는 옷이 아니라는 걸 잘 알것 같습니다. 오히려 저는 당-정이 좀더 명확히 구분될 것 같은데요. 윤은 애초에 정치인이 아니라.. 당사정은 크게 신경 안쓸것 같아요. 핵관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은 미칠지언정… 결국 이준석은 다음 총선을 위해서 쌓을수 있는 커리어와 일들을 할텐데 그게 뭔지 모르겠네요…
    당에 남아서 당권을 확립하려고 하다가 핵관들이랑 붙으면 진흙탕 싸움 됩니다. 6070이 이준석 욕하던 몇달전으로 돌아갑니다.
    이준석의 가까운 목표는 뱃지다는게 목표고 당대표면 자기 모습 안비출것도 아니라서..
    공천권 다툼이 더 중요할꺼고요.
    그르니에
    이준석 체급이 좀 커졌죠. 노원병 재도전이 제일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노원병 도전 안한다는게 아니라, 노원병 재도전하려면 24년 4월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그 남은 기간에 이준석도 좋고 윤핵관도 좋은 일이 이준석 입각 또는 청와대 비서관 영입이라는 거죠.
    23년 6월에 당대표 임기 끝나면 반년동안 또 전직 당대표 체급에 안 맞게 일일 1방송 출연하긴 어렵잖아요
    그르니에
    당대표 끝나면 지역구 활동 좀 해야죠. 아무 하는일이 없는건 아닙니다.
    원외위원장이 지역구 활동을 얼마나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특히나 노원이면...
    제가 서울-경기 살때 원외위원장은 커녕 지역구 의원도 실제로 볼 일이 없어서..
    지역구 의원이면 의정활동이나 예산 획득을 통해 '일'이라도 할 수 있을텐데..
    원외위원장은 뭘 하면 지역주민들에게 잘 알려질까요?
    일단은 당대표 재선을 노릴겁니다.
    당대표 연임이요..?
    어... 그걸 노린다면 윤통 정권하에 야권은 땡큐! 할 것 같은데요.
    Cascade
    이준석 국무총리!?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609 정치주관적으로 보는 인터넷 커뮤의 사회적 영향력 13 카르스 22/03/10 4968 7
    12605 정치'내일이 바뀐' 뒤에 있었으면 하는 것들 11 meson 22/03/10 4216 0
    12602 댓글잠금 정치20대 대선 간단한 소감과 예상 16 레게노 22/03/10 5344 2
    12601 정치시원하네요 허허... 55 매뉴물있뉴 22/03/10 5925 9
    12600 정치누가 이기든 반성하는 쪽을 주의깊게 바라보려 합니다. 27 파로돈탁스 22/03/09 5131 9
    12599 정치대선 불판 없나요? 예상및 잡담입니다. 110 MyNona 22/03/09 5779 1
    12594 정치박근혜의 남색 코트와 홍준표의 건강검진, 지방선거 등 32 Picard 22/03/08 5224 3
    12588 정치좋은 유튜브 소개시키러 왔습니다. 1 empier 22/03/07 3558 2
    12585 정치이재명 캠프조직 김만배 녹취록 여론조작 지시 내부고발 41 집에 가는 제로스 22/03/07 5329 4
    12581 정치징병제의 침략전쟁 방지기능? 10 私律 22/03/05 4824 1
    12580 정치안철수 라이브 사과(?) 방송을 보고 16 Picard 22/03/05 4425 2
    12574 정치윤통 당선후 이준석 입각 또는 청와대 갈 것 같습니다. 23 Picard 22/03/04 4708 0
    12573 정치내가 윤석열에게 투표하는 이유 36 Profit 22/03/03 6300 39
    12572 댓글잠금 정치대선에 대한 잡다한 생각들 21 괄하이드 22/03/03 5035 2
    12571 정치단일화 안할줄 알았는데... 실망입니다. 29 Picard 22/03/03 5266 1
    12568 정치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석열이 꺼려지는 이유. 44 파로돈탁스 22/03/03 5653 5
    12562 정치양당 후보의 출판 관련 공약 질답 4 탈론 22/03/02 3266 1
    12559 정치비전문가의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향후 추이 예상 19 호타루 22/02/28 4667 26
    12558 정치민주당은 불타고 있는가 8 meson 22/02/28 4263 9
    12557 정치야권 단일화 결렬로 알게 된것.. 16 Picard 22/02/28 4346 1
    12553 정치우크라이나 발언 논란에 대한 이재명 후보의 해명 54 카르스 22/02/26 6601 0
    12551 정치우크라이나 교수:우리가 죽기 전에 우리를 묻지마세요 1 syzygii 22/02/26 4501 7
    12548 정치‘샤이 이재명’은 얼마나 있을까? 22 meson 22/02/25 4285 1
    12543 정치푸틴 21일 대국민 연설문 2 인생호의 선장 22/02/24 3394 1
    12541 정치민주당에 대한 아쉬움의 이유가 뭘까 생각해봤습니다. 64 파로돈탁스 22/02/24 507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