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9/18 22:08:50 |
Name | 저퀴 |
Subject | 넷플릭스 오징어게임을 보고 |
시작하기 전에 스포일러 있습니다. 오징어 게임의 테마는 목숨을 건 놀이죠. 정확히는 그런 위험한 놀이가 주는 경고의 메세지를 담고 있곤 하죠. 헝거 게임, 배틀 로얄, 런닝맨(유명한 그 예능이 아닌 스티븐 킹 원작의 소설)까지 당장 생각나는 창작물만 해도 수두룩하고, 현실에서조차 고대 로마에서 검투사들을 데려다가 즐겼던 유구한 전통을 가진 주제죠. 어쩌면 스파르타쿠스의 이야기가 오징어 게임의 조상쯤 된다 해도 틀린 말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목숨을 건 놀이가 주는 자극은 누구에게나 소중한 목숨을 누군가의 유희로 소모한다는데서 오는 잔인함이겠죠. 현대 시대 이후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라면 필수적으로 자본이란 계급을 비판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많이 쓰이는 테마일 때가 많습니다. 오징어 게임조차 그런 클리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죠. 작중 대사에서도 언급되지만, 오징어 게임은 모두에게 주어진 공평한 기회로 소개되곤 합니다. 누구한테 하나 밖에 없는 목숨을 걸고 동등한 조건에서 게임을 통해서 승리자를 가리니까요. 물론 궤변이 따로 없죠. 전세계로 몰려온 갑부들이 술을 마시며 구경하는 모습은 영화 호스텔에서 보여준 살인 놀이와 다를게 없습니다. 그래서 작중에서도 나오는 누구에게나 평등하다는 말 자체가 형편 없게 받아들여집니다. 그걸 내뱉는 캐릭터의 내면조차 다루지 않았으니 별 감흥이 없으니까요. 남는건 초반부터 쏟아지는 죽음이 주는 자극이 주는 재미일 겁니다. 게임의 감시자들은 탈락자들을 가차 없이 총으로 쏴 죽이는데 예고편에서도 나온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파트에서 이미 질려버려요. 수백명을 조준해서 쏴죽이는 모습을 보고 나면 그 다음은 그들이 무섭지도 않고, 그렇다고 분노의 감정을 가지기도 어려워요. 여담으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파트는 단역들이 총에 맞아 죽을 때 겁에 질려서 어디선가 날아오는 사격이 맞는 리액션이 아니라, 총에 맞을 부위까지 다 기억하고 움직이는게 눈에 보여서 좀 깨더군요. 그걸 슬로우 모션까지 넣어서 연출한 건 좀 아니지 않나 했어요. 반대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서로 죽여서 이겨야 하는 참가자들의 내면인데 일부 캐릭터는 인상적이나, 대부분은 식상해요. 후반부까지 살아남으면서 분량을 챙기는 조연은 극한에 몰리니 저러는구나하고 이해하는게 아니라, 왜 저러지 할 때가 있는데 한미녀라는 캐릭터가 특히 심했던거 같아요. 전 보면서 저 캐릭터를 저렇게 소모해도 되나 싶었어요. 또 드라마의 핵심인 놀이도 아쉽더군요. 제목이 오징어 게임인데 오징어 게임 파트가 제일 재미없었던건 그렇다 치고, 후반부 파트는 전부 별로였어요. 유리 다리 파트는 허겁지겁이란 단어가 확 떠오를 정도였고요. 엔딩에 도달하면 설마 싶었던 반전이 예상한대로 그대로 드러나고 결말마저 끝나기 몇분전에 맞추는 제 모습을 보고 다른 사람도 비슷하겠구나 싶었습니다. 그래도 이 드라마에서 건진건 눈빛으로 설득력을 주는 박해수 하나 뿐이지 않을까 싶네요. 1
|
넷플릭스 오리지널로서 아주 충실한 작품이더군요.
참신하고 독특한 주제, 공중파에서는 볼 수 없는 과감함, 돈 쓴 티가 나는 비주얼,
괜찮은 캐스팅, 삐걱거리는 설정, 어디서 본 내러티브, 용두사미 스토리..
참신하고 독특한 주제, 공중파에서는 볼 수 없는 과감함, 돈 쓴 티가 나는 비주얼,
괜찮은 캐스팅, 삐걱거리는 설정, 어디서 본 내러티브, 용두사미 스토리..
(스포가득 댓글입니다)
간만에 본 TV시리즈여서 그런지 몰라도 정말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마음에 들었던 것 꼽아보면...
정호연 배우 연기력이 좋아서 그런지 예쁘게 나오셔서 좋았고요, 박해수 배우도 정말 몰입감 일으키는 연기력이었습니다.
강렬한 원색의 놀이동산같은 경기장에서 벌어지는 살인게임이라는 비주얼이 좋았습니다.
K 전통놀이들을 끔찍한 게임에 적절히 녹여낸 아이디어들이 좋았습니다. 게임의 두뇌싸움 등이 치밀하지 않은 점은 있지만 뭐 전통놀이에 지니어스급 게임디자인을 버무리는것도 어색한 노릇이라 봐서. 단순성을 유지... 더 보기
간만에 본 TV시리즈여서 그런지 몰라도 정말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마음에 들었던 것 꼽아보면...
정호연 배우 연기력이 좋아서 그런지 예쁘게 나오셔서 좋았고요, 박해수 배우도 정말 몰입감 일으키는 연기력이었습니다.
강렬한 원색의 놀이동산같은 경기장에서 벌어지는 살인게임이라는 비주얼이 좋았습니다.
K 전통놀이들을 끔찍한 게임에 적절히 녹여낸 아이디어들이 좋았습니다. 게임의 두뇌싸움 등이 치밀하지 않은 점은 있지만 뭐 전통놀이에 지니어스급 게임디자인을 버무리는것도 어색한 노릇이라 봐서. 단순성을 유지... 더 보기
(스포가득 댓글입니다)
간만에 본 TV시리즈여서 그런지 몰라도 정말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마음에 들었던 것 꼽아보면...
정호연 배우 연기력이 좋아서 그런지 예쁘게 나오셔서 좋았고요, 박해수 배우도 정말 몰입감 일으키는 연기력이었습니다.
강렬한 원색의 놀이동산같은 경기장에서 벌어지는 살인게임이라는 비주얼이 좋았습니다.
K 전통놀이들을 끔찍한 게임에 적절히 녹여낸 아이디어들이 좋았습니다. 게임의 두뇌싸움 등이 치밀하지 않은 점은 있지만 뭐 전통놀이에 지니어스급 게임디자인을 버무리는것도 어색한 노릇이라 봐서. 단순성을 유지하며 인간본성을 끌어내는 게임들 전 괜찮았습니다. 줄다리기 같은건 아주 재밌었어요.
가장 친한 짝을 죽여야만 하는 깐부 에피소드는 보고나서 먹먹함이 약간 왕겜 생각 날 정도였습니다.
게임을 진행할수록 외모와 성격에서 등장인물들이 조금씩 파괴되어 나가는 묘사는 9화 전반을 걸쳐 잘 표현했다 생각됨요.
아쉬운건
모두가 평등하다는 놀이의 대원칙 같은 것이 좀더 엄밀하게 적용되었으면. 특히 경기 외에도 상대를 죽일수 있다는 자유는 자는시간마저 서로 안심할수 없는 끔찍한 지옥도를 표현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나 게임 주최의 본질적 훼손이라고 봅니다. 서로 죽이는 배틀로얄이 본질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 승패를 가리는게 본질이잖아요. 어렸을때도 놀이 외적으로 폭력 행사하는건 국룰 위반인 것인데.
VIP들의 클리셰 덩어리에 실망.
너무도 허술한 보안관리와 정보관리에 실망. 너무 많은 눈이 있고 너무 많은 사람이 외부와 접촉 가능.
이 외에 쏘쏘한 부분은
경찰 잠입 및 활약은 뭐 그럭저럭 긴장감 주는 소재.
장기밀매같은 내부일탈은 굳이 없어도 될 소재같지만 뭐 나쁘지도 않았음... 근데 그걸 죽은 자들 다 모아서 쓸만한건 당당히 꺼내팔지 왜 일부만 몰래 밀매를 할까.. 싶었음요.
주연 이정재. 초반부 어리숙한 3류인생 연기는 어울리지 않았지만 후반부 진지해지고 각성하는 파트에서 연기본색이 나와서 전체적으로는 쏘쏘
쓰다보니 길어졌네요. 한마디 요약은 재밌었습니다.
간만에 본 TV시리즈여서 그런지 몰라도 정말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마음에 들었던 것 꼽아보면...
정호연 배우 연기력이 좋아서 그런지 예쁘게 나오셔서 좋았고요, 박해수 배우도 정말 몰입감 일으키는 연기력이었습니다.
강렬한 원색의 놀이동산같은 경기장에서 벌어지는 살인게임이라는 비주얼이 좋았습니다.
K 전통놀이들을 끔찍한 게임에 적절히 녹여낸 아이디어들이 좋았습니다. 게임의 두뇌싸움 등이 치밀하지 않은 점은 있지만 뭐 전통놀이에 지니어스급 게임디자인을 버무리는것도 어색한 노릇이라 봐서. 단순성을 유지하며 인간본성을 끌어내는 게임들 전 괜찮았습니다. 줄다리기 같은건 아주 재밌었어요.
가장 친한 짝을 죽여야만 하는 깐부 에피소드는 보고나서 먹먹함이 약간 왕겜 생각 날 정도였습니다.
게임을 진행할수록 외모와 성격에서 등장인물들이 조금씩 파괴되어 나가는 묘사는 9화 전반을 걸쳐 잘 표현했다 생각됨요.
아쉬운건
모두가 평등하다는 놀이의 대원칙 같은 것이 좀더 엄밀하게 적용되었으면. 특히 경기 외에도 상대를 죽일수 있다는 자유는 자는시간마저 서로 안심할수 없는 끔찍한 지옥도를 표현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나 게임 주최의 본질적 훼손이라고 봅니다. 서로 죽이는 배틀로얄이 본질이 아니라 게임을 통해 승패를 가리는게 본질이잖아요. 어렸을때도 놀이 외적으로 폭력 행사하는건 국룰 위반인 것인데.
VIP들의 클리셰 덩어리에 실망.
너무도 허술한 보안관리와 정보관리에 실망. 너무 많은 눈이 있고 너무 많은 사람이 외부와 접촉 가능.
이 외에 쏘쏘한 부분은
경찰 잠입 및 활약은 뭐 그럭저럭 긴장감 주는 소재.
장기밀매같은 내부일탈은 굳이 없어도 될 소재같지만 뭐 나쁘지도 않았음... 근데 그걸 죽은 자들 다 모아서 쓸만한건 당당히 꺼내팔지 왜 일부만 몰래 밀매를 할까.. 싶었음요.
주연 이정재. 초반부 어리숙한 3류인생 연기는 어울리지 않았지만 후반부 진지해지고 각성하는 파트에서 연기본색이 나와서 전체적으로는 쏘쏘
쓰다보니 길어졌네요. 한마디 요약은 재밌었습니다.
전 보안 쪽은 다른건 모르겠고, 모든 총격 장면마다 서로 사선에 서서 총 쏘는거 보고 거기에 대해선 그냥 아무 생각 없었구나 하는 생각 밖에 안 들더군요.
서로 사선상에 서있다는건 그만큼 서로를 실수로 맞출 가능성이 높아진다를 의미하죠. 거기다가 쏴야 할 참가자들은 죽기 싫어서 감시자들한테 덤빌 가능성도 있고요. 그러면 절대 실수하지 않도록 서로의 총구가 서로를 겨누지 않도록 서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드라마 내내 서로 사선 상에 서 있어요. 현실에서 저랬으면 감시자 쪽도 여럿 죽어나갔을 겁니다. 비밀스럽고 프로페셔널해야 할 집단을 아마추어스럽게 만드는 잘못된 연출이죠.
어디선가 본 얘긴데,
제작자가 간섭할 때의 워스트 케이스에 루카스와 워너가 있다면, 제작자가 간섭 안 할 때의 워스트 케이스는 넷플릭스에 있다... 는 뉘앙스의 말 이였었는데
위 댓글서도 나온 얘기처럼
개인적으로 오징어 게임도 '음.. 역시 넷플릭스 오리지널이 넷플릭스 오리자널 했구나..' 하는 느낌이었네요
제작자가 간섭할 때의 워스트 케이스에 루카스와 워너가 있다면, 제작자가 간섭 안 할 때의 워스트 케이스는 넷플릭스에 있다... 는 뉘앙스의 말 이였었는데
위 댓글서도 나온 얘기처럼
개인적으로 오징어 게임도 '음.. 역시 넷플릭스 오리지널이 넷플릭스 오리자널 했구나..' 하는 느낌이었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