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9/09 00:52:15
Name   私律
Subject   환타
콜라냐 사이다냐 이야기가 나와서ㅡ 전 환타파입니다.

어릴 때 부모님께서는 콜라사이다 따위를 거의 안 사주셨습니다. 그 시절도 물론 그게 있긴 했는데, 생각해보면 지금처럼 마음대로 사먹지는 못했던 것 같습니다. 잔칫날은 되어야 한두잔 맛 봤고, 학교에서 소풍갈 때나 사주셨죠. 소풍날 어머니께서 사이다 환타 서너개를 싸주셔서 가져 갔더니, 그 것도 못 싸온 같은 반 친구 몇이 무척 부러워하던 게 생각납니다.

청량음료ㅡ요즘 잘 안쓰는 말입니다만ㅡ를 마실 수 있던 또 다른 기회는 세째 고모가 오시는 날이었습니다.
세째 고모는 가난 덕분에, 더구나 딸이라서 학교를 거의 못 다니셨던 양반이죠. 그래도 똑똑한 사내에게 시집가서 삶이 좀 나아지나 싶었습니다만.... 고모부는 사업실패 후 달동네의 흔한 술꾼이 되어버렸고 오래 살지도 못 했습니다. 고모는 말 그대로 모든 걸 떠 맡고 살아야 했죠. 할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고모는 도시락 행상을 하셨습니다. 가게도 없이, 양은도시락에 싼 김밥을 가지고 다니며 파셨죠. 그 때 도시락과 같이 팔던 게 콜라/사이다/환타였습니다. 팔다남은 환타를 저와 누나에게 하나씩 주신거죠. 꼬맹이 시절 고모가 가져온 음료수 중 콜라를 잡자, 그건 팔 거라 안된다고 하시던 게 생각나네요. 가장 안 팔리는 게 환타라 환타만 주셨던 게지요. 그 때는 어린 마음에 콜라를 마시고 싶었는데, 지금은 입맛이 길들여져서인지 환타가 가장 좋습니다.
이렇게 쓰니까 딱하게 느껴질지 모르겠는데, 그건 절대 아니고 그 시절 서민들은 다 그랬던 것 같습니다. 소풍 때 저만 못하게 싸온 친구도 반은 넘었던 것 같으니까요.

고모는 어찌 되셨냐구요?
사람들의 벌이가 나아지면서 도시락을 찾는 사람들도 줄어들었고, 고모도 장사를 접으셨죠. 그 뒤로도 여기저기 일을 계속 다니셨지만, 조카에게 자랑스레 내세울만한 직업은 없었나봅니다.

평생 고생해 달동네에 마련했던 집 한칸이 재개발 덕에 아파트로 된 모양입니다만, 그 집 때문에 자식들에게 서운할 일도 생겼나봅니다.

끝내 백혈병에 걸리셔서 요양병원에 들어가셨죠. 한번 뵙고 용돈을 드리려 했는데, 코로나 때문에 면회를 못 하는 사이 돌아가셨습니다. 돌아가시기 전, 코로나 때문에 자식들이 면회를 오지 못하자 버림받은 줄 알고 절망하셨답니다. 간병인들이 아무리 설명을 해줘도, 오지 않는 자식들을 이해하지 못하셨다죠.
통유리를 사이에 두고 전화를 하는 방식으로 얼마든지 전염 걱정없이 면회할 수 있을텐데... 그 정도 시설도 못 갖추면, 그냥 1층 창문있는 방으로 모셔오고, 자식들은 창 밖에서 전화하면서 면회하면 될텐데 왜 그런 것도 안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저는 환타를 좋아합니다. 고모 때문에.



9


    저도 탄산 중에서는 환타입니다 ㅎㅎ
    이재명사이다와 홍카콜라를 마다하시면 누굴 찍으실지^^;;
    Regenbogen
    안녕하세요~ 오란씨 파 입니당!!!

    김밥 쌀 형편이 안되다 보니 소풍날도 맨밥에 김치 싸가는데 할머님이 보기에 짠하셨는지 허리춤에서 100원짜리 몇개 주시곤 과자 사묵으라 하셨죠.

    거 왜 옛날엔 학교 소풍가면 행상들이 따라와 장난감 음료수 뻔데기 고동 솜사탕 뭐 이런걸 팔았어요. 하지만 100원짜리 몇개로 살수 있는 건 겨우 음료수 한개.

    다른 애들이 이것저것 사는 거 구경만 하다 결국 고르고 고른게 오란씨였죠. 어찌나 맛나던지… 지금도 오란씨 좋아 합니다.
    어떤 맛은 맛이 아니라 기억인 것 같습니다.
    Regenbogen
    오아~~ 표현 조타조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973 일상/생각회사에서 한계를 느낄 때 드는 생각. 8 세모셔츠수세미떡 21/08/09 5720 8
    3733 정치회사에서 어떤 상대랑 일하고 싶으신가요? 37 까페레인 16/09/20 5979 7
    84 기타회사에서 가입했습니다. 4 세인트 15/05/30 7358 0
    12331 일상/생각회사에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10 Picard 21/12/07 5224 2
    9235 오프모임회사에 출근해서(?) 담주 토욜 저녁 벙개 기획 중입니다 36 은목서 19/05/26 6480 13
    13074 정치회사 이야기 쓰다가 윤통을 거쳐 이준석으로 끝난 글 7 Picard 22/08/10 3888 4
    12285 문화/예술회사 식당에서 만난 박수근 9 순수한글닉 21/11/19 4926 34
    13556 일상/생각회사 생활 참..... 거시기 하네요. 4 Picard 23/02/10 3510 10
    11425 일상/생각회사 동료분과 티타임 후에 많은 반성을 하게 됐습니다. 3 Brown&Cony 21/02/17 5967 12
    14052 일상/생각회사 다닐 맛이 뚝.. 10 Picard 23/07/18 3684 8
    9277 일상/생각회사 다니며 꿈을 이뤄가는 이야기 11 소원의항구 19/06/04 5396 17
    11480 일상/생각회사 교육.. 팀장급 교육과 팀원급 교육의 차이점.. 6 Picard 21/03/10 4720 2
    4319 IT/컴퓨터회귀신경망으로 만든 챗봇 11 Azurespace 16/12/07 6651 7
    13497 도서/문학황동규님의 시를 읽고.. 4 풀잎 23/01/21 2299 6
    6129 일상/생각황구야 어서와 (부제 : 드디어 임신했습니다.) 32 쉬군 17/08/20 5617 24
    7409 육아/가정황구 출현 이틀차 소감 14 쉬군 18/04/19 5754 24
    6004 사회황교익의 사회적 자폐논란 62 CONTAXS2 17/07/25 7437 0
    11116 일상/생각홧김에 청약 계약? 6 순수한글닉 20/11/06 5050 3
    12057 일상/생각환타 5 私律 21/09/09 4561 9
    14384 의료/건강환자의 자기결정권(autonomy)은 어디까지 일까? 6 경계인 24/01/06 2300 20
    7332 의료/건강환자의 순응도 23 세상의빛 18/04/04 6830 5
    2440 의료/건강환자어 사전을 편찬?!? 65 damianhwang 16/03/21 7985 0
    14634 의료/건강환자 곁을 지키는 의료진에게 아끼지 않는다는 합당한 보상 9 꼬앵 24/04/30 2073 0
    10102 일상/생각환상의 나라에 대한 환상 3 소고 19/12/22 5785 6
    11977 사회환경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 가능성에 비관적인 이유. 21 mchvp 21/08/12 4418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