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6/21 02:01:05
Name   샨르우르파
File #1   KakaoTalk_20210621_020243461.jpg (245.9 KB), Download : 22
Subject   러시아사 입문서적 추천, 《짧고 굵게 읽는 러시아 역사》



솔직히 말해서, 그 러시아의 역사를 232페이지에 압축해놓았다는 책 소개를 보고 든 첫 인상은 반신반의였습니다.

"이게 가능해? 수박 겉핥기식 수준에 머물지 않을까?"


유럽인듯 유럽아닌 유럽같은 나라 러시아.
정교회의 국가로서 동로마 비잔틴을 계승하여 요즘 인터넷 밈인 '로마 후계자'였던 러시아.
유럽에서 아시아까지, 한때는 북미까지 걸쳤던 세계에서 제일 큰 영토를 지닌 러시아.
20세기 두 이데올로기의 하나인 공산주의의 중심국 위치를 차지한 소비에트 연방의 러시아.
미국, EU, 중국, 인도 등와 함께 다극체제의 여러 중심 중 하나로 지목되는 푸틴의 러시아.

이런 어마어마한 나라의 역사를 단 232페이지로 요약하다니...
솔직히 말해서, 제가 서평이벤트에 참여한 건 요약을 제대로 했나 궁금했던 게 컸습니다.

하지만 그런 의심은 책을 읽고 감탄으로 바뀌었습니다.
232페이지로 러시아 역사의 핵심을 이렇게 잘 묘사할 수 있구나!

저자는 러시아 역사를 하나의 테마를 통해 분석합니다. 이는 부제에도 암시되는데요.
'매력적면서[표지에 오타를 내다니;;] 괴이한, 영광스러우면서 결사적인, 극단적으로 잔혹하면서도 영웅적인 한 나라의 이야기'
저자는 러시아가 방대한 영토에서 벌어진 복잡한 역사를 통해 수많은 왕조, 문화, 민족, 종교, 이데올로기 등을 하나로 융합하였기에, 굉장히 복합적인 정체성을 지니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이 복합성은 혼돈이 되기 쉬운데, 러시아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지난' 역사를 '창조'하는 과정을 거쳤다고 저자는 지적합니다.

왜곡에 가까운 창의적 역사해석, 전혀 성격이 다른데 나란히 놓여있는 역사적 위인동상들은 그 창조의 증거이고요.

저자는 이렇게 창조되야만 했던 긴 역사를 8개의 핵심적 인물들과 시기 - 키예프 루시, 몽골통치기, 이반 4세, 표토르 대제, 예카테리나 여제, 19세기, 소련, 소련 해체 후 러시아 - 를 간략하면서도 재미있는 글빨로 요약합니다.
232페이지라는 짧은 분량 안에서 재미와 유익함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해서인지, 위트있는 표현과 적극적인 역사비평을 서슴지 않습니다. 
특히 부연설명을 빙자한 괄호 안 문구들의 촌철살인이 정곡을 찌릅니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러시아의 정치 특성을 몽골 탓으로 돌리는 것은 편리한 핑계에 불과하다. 러시아인들 입장에서는 몽골이 알리바이를 제공한 셈이다. 과거와 현재의 이방인 비평자들도 몽골 통치를 근거로 러시아를 타자화한다. 동유럽이 아닌 서아시아로, 기껏해야 잡종 악당으로 보는 것이다." - 66p.

"1625년 모스크바와 전 루시의 총주교가 된 니콘Nikon도 그 중 한 명이었다. 마지못해 맡은 직분이기는 했지만 일단 총주교 위치에 오른 그는 달변과 권력을 총동원하여 교회 정화에 나섰다. 그리스 비잔틴 원형에서 너무 많이 벗어난 교회를 바로잡겠다는 것이었다. 당시 그리스의 의식과 예배가 새로 도입되었다.(목숨이 아깝다면 그리스보다는 당시 러시아가 옛 비잔틴 전통에 더 가깝다는 역설을 언급해서는 안 됐다.) 새로운 양식의 이콘 성화는 금지되었다. 니콘 추종자들은 모스크바 전역의 교회와 가정집에 들어가 이콘 성화를 압수해 불태웠다. 그 이콘을 그린 화가들은 눈알이 뽑힌 채 사방으로 끌려 다니며 구경거리로 전락했다. (성자와 종교적 장면을 그린 이 화풍의 발전은 실상 근대 초기 러시아 예술 문화의 핵심이었는데도 말이다.)" - 102~103p.

예카테리나가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는 뜻은 물론 아니다. 실은 정반대이다. 당시는 괄목할 만한 진보와 변화의 시대였다. 과거 금지되거나 무시되던 외국 서적이 번역되었고, 많은 이의 반대를 무릅쓰고 천연두 예방접종이 도입되었다. 여제는 종교 면에서도 관용을 보였으며 (그 와중에 교회가 소유한 마지막 땅이 몰수되기는 했다) 고문도 폐지했다. (이론적으로는 그랬다.) [중략] 하지만 개혁의 핵심부는 비어 있었다. 예카테리나는 자유와 법률의 중요성을 진심으로 믿는 듯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국가와 군주가 법의 통제를 받는 것은 아니었다. 여제는 저항이나 이견을 허락하지 않는 완고한 전제군주였다. - 132~133p.

1917년에 권력을 잡은 인물은 '실용주의자 레닌'이었다. 그는 러시아가 정치적으로 성숙한 거대한 노동계급을 갖추지 못했고, 아직 사회주의를 건설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것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마르크스가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준비 안 된 나라에 사회주의를 억지로 도입했다가는 보수적인 성향에 혁명 에너지만 넘치는 정권을 낳는 역효과가 나타난다고 경고했음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 경고가 옳다는 것은 스탈린이 증명했다.) - 182p.

이렇게 단어, 문장, 문단 하나하나를 계산해서 쓴 듯한 기적의 필력은 232페이지라는 분량을 말도 안 되게 알차고 흥미롭게 만들었습니다. 저자는 이 능력만으로 호평을 받을 가치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쉬움도 있습니다.
매우 간략하게 묘사된 거야 분량 생각하면 어쩔 수 없지만(분량 생각하면 매우 요약 잘 된 편입니다),
책을 하나의 테마에 녹아들게 재미있고 알차게 묘사하려다보니, 분량에 비해 과도할 정도로 비평이 많습니다.
자칫 초심자에게 특정 관점을 팩트처럼 받아들이게 만들지 않을까 싶을 때가 있었어요.

전체적으로 러시아를 불필요하게 부정적으로 묘사하진 않았나 싶기도 합니다.
물론 러시아의 전제성과 낙후성, 학살과 역사 왜곡을 좋게 보긴 어렵겠지만,
위트의 자극성을 좀 줄이고, 보다 애정있는 묘사를 했으면 더 알차지 않았을까 아쉬움은 듭니다.

위의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그 긴 역사를 232페이지 안에 글빨 갖춰 재미있고 알차게 요약하는건 아무나 따라 못 합니다.
러시아사에 관심있는 사람한테 추천하고 싶습니다.
내용이 아쉽다 싶으면 저자들도 챕터 말미마다 책들을 추천한만큼 찾아서 읽으면 되고요.
(아쉽게도 언어장벽으로 인해 한국어 책들은 찾기 힘들겠지만)


개인적으로 5점 만점에 4점 ★★★★ 주겠습니다.



8


    망손꽝손
    오 정말요?! 안 그래도 러시아사를 공부할 필요가 있는데.. 인문서를 읽으면 바로 떡실신해서 고민만 하고 있었는데! 책추천 감사합니다! 그런데 -_-; 전 러시아사를 열심히 공부하려고 책을 왕창 읽을 마음이 1도 없어서.. 이 책만 읽으면 자칫 시각이 고정될까봐 다른 책 1-2권 정도를 읽고 이걸 마지막으로 읽을까 싶은데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아주 피상적으로만 알면 되기 때문에 -_-;; 너무 어렵거나 정통 역사서면 ㅠㅠ 첫 챕터를 못 넘길 수 있으니 쉬운 친구들로 부탁드립니다..
    1
    샨르우르파
    러시아사를 잘 모르는 입장이라... 도움 못 드려 죄송합니다.
    망손꽝손
    핫 =ㅅ= 그렇다면 그냥 추천해주신 책을 읽는 것으로.. 후후후
    1
    EuropaV
    유로에 나온 우크라이나 축대 유니폼을 보니 류리크왕조 마크가 붙어있던데 러시아에서는 이러는걸 듣거나 본 적 없는 것 같아서 양국에서 류리크왕조에 대한 평가가 다른걸까..? 궁금증이 들더군요

    그 러시아랑 그리스에서 정교 양식이 다른 부분을 누가 설명한걸 보니까
    시베리아 촌놈들 입장에서는 외국에서 수입한 선진문물을 바꾸는건 생각해본적이 없었고
    그리스에서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휙휙 바꿔서 그렇다고 하더군요
    1
    샨르우르파
    1. 거기까진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류리크왕조의 중심지가 현 우크라이나 키예프인 만큼, 우크라이나 입장에선 더 강조하고 싶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안 그래도 우크라이나가 생각보다 국가 정체성이 허약한 나라라...
    러시아는 류리크왕조 말고도 강조할 게 많기도 하고.

    2. 그래서 책에도 진짜 정교회 정통은 러시아식인데 그리스식을 정통으로 착각해 괜히 바꿨다고 깝니다 ㅋㅋ
    마카오톡
    크킹 좀 하셨군요!
    그 문장은 크킹에서는 류리크 가문의 문장으로 나오지만
    사실은 러시아든 우크라이나든 그 일대를 개종시킨 블라미디르 1세의 문장이며
    trident of Saint Vladimir 라고 불리는 것인데
    역사학자이자 관료였던 M. Hrushevsky의 제안으로 우크라이나의 국장으로 채용된것이라고 하네요.
    블라미디르 1세는 모스크바 크렘린궁 앞에도 거대 동상이 세워져있는 인물입니다
    샨르우르파
    블라미디르 1세도 류리크 가문 출신입니다.
    마카오톡
    당연한 말씀
    마카오톡
    첨언하자면
    크킹을 하게 되면 동유럽 4대가문중 하나인 rurikids랑 혼약을 맺을 일이 많고
    그때 rurikids 가문은 시리즈나 패치에 따라 다르지만 저 우크라이나의 국장을 달고 나오기때문에
    그걸 가문 문장으로 오해할수 있는데 그냥 가문이나 왕국이 아닌 블라미디르의 문장이다. 뭐 그런이야기에요.
    당연히 블라미디르1세도 rurikids 출신이죠. 그건 너무 당연한 이야기에요.
    2
    EuropaV
    아... 그런것이었군요
    하긴 모든 시기 지역에 가문 문장이 있었던것도 아닐테고
    근본없는 깃발들 엄청 많긴 하겠네 사람들이 오해하긴 좋겠다 생각하긴 했었어요
    근데 그게 류리크정도 되는 네임드 가문일거라는 생각은 못했네요 ㄷㄷ;;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18 꿀팁/강좌Ebay GSP (글로벌 쉬핑 프로그램) 이용후기 4 SCV 16/10/27 191361 3
    8177 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29 烏鳳 18/09/07 69754 83
    11683 스포츠축구로 숫자놀음을 할 수 있을까? 세번째 생각, 공간과 압박. 4 joel 21/05/17 60103 9
    8572 꿀팁/강좌지금 쓰는 안경에만 돈을 75만원씩 퍼부은 사람이 알려주는 안경 렌즈 선택의 거의 모든 것 19 April_fool 18/11/28 56434 42
    2222 문화/예술드래곤볼의 획기적인 컷(프레임) 연출 22 커피최고 16/02/14 54586 19
    3570 도서/문학여러분의 국어 어휘력을 테스트하겠습니다. 44 Toby 16/08/24 53093 0
    1822 방송/연예[스압] 미드 시트콤 추천 30선★ 34 얼그레이 15/12/20 52770 7
    951 IT/컴퓨터거장의 그림을 30초만에 만들다: DeepStyle 32 Azurespace 15/09/08 51799 13
    3510 스포츠왜 영국은 'UK'에서 'GBR'이 되었나 9 DrCuddy 16/08/14 48111 0
    8656 꿀팁/강좌누끼 자동으로 따주는 사이트 17 토비 18/12/19 47793 6
    7523 꿀팁/강좌전직 폰팔이가 알려주는 테크노마트 폰 구입 팁 32 TimeBED 18/05/15 44576 16
    3322 정치이건희회장 성매매 동영상 공개 52 기아트윈스 16/07/21 41831 1
    3051 게임[Don't Starve Together] 감정 표현과 스킨 가이드 1 Xayide 16/06/17 38450 5
    7061 IT/컴퓨터많이들 헷갈리는 USB-C와 USB3.0 그리고 썬더볼트의 차이점 16 보리건빵 18/02/07 37816 10
    2664 일상/생각예비군 5년차 후기.ilgi 31 에밀리 16/04/21 37540 0
    13151 일상/생각만년필 덕후가 인정하는 찰스 3세의 착한 빡침 90 SCV 22/09/13 36105 47
    11811 도서/문학러시아사 입문서적 추천, 《짧고 굵게 읽는 러시아 역사》 10 샨르우르파 21/06/21 34359 8
    638 문화/예술일본 만화 속 미인과 현실 속 한국 미인 포개어보기 15 王天君 15/07/23 32772 0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712 7
    5362 일상/생각게이가 말해주는 게이들 이야기 - 게이들은 너무 눈이 높다. 30 tannenbaum 17/04/03 32107 2
    9537 기타집에 권연벌레 나왔어여...기분이 좋지않네요 4 맹고 19/08/11 31807 0
    2179 문화/예술[웹툰 추천] D.P 개의 날 24 Toby 16/02/05 30466 0
    912 일상/생각키 큰 남자가 키 작은 여자와 연애하기 38 Raute 15/09/04 30213 0
    6672 일상/생각유아인 사태를 통해 바라본 남녀간의 대화표현법 23 기쁨평안 17/11/29 29893 1
    1780 기타화이버글라스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feat. 난방텐트) 5 홍차먹다빨개짐 15/12/15 2896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