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6/11 22:07:42
Name   매뉴물있뉴
File #1   2_30대_자살률_비교.png (34.2 KB), Download : 23
File #2   2년_증감률.png (27.6 KB), Download : 14
Subject   2-30대 남/여 자살율 비교




오늘의 핫가이, 준석찡의 당대표 당선과 관련해서
탐라에 젊은 여성 자살율이 폭증한다는 얘기가 있길래
그 뭐랄까, 솔직히 처음엔 그냥 웃어넘겼습니다.

여성보다 남성 자살율이 높은건 수천년째 일상입니다.
이런 현상은 굳이 대한민국 한정이 아닙니다.
사실 어느 나라를 가봐도 마찬가지에요.
하지만 최근 몇년간 젊은 여성들의 자살율이 폭증하는건
뭔가 좀 주시해볼 가치가 있어보이지 않나 싶습니다.





이 분석에서 주의하실점은,
저는 홍성대 저 수학의 정석 이상의 통계는 일절 모른다는 겁니다.
제가 아는건 구글에 키워드를 넣고 대충 검색을 해보면
어디선가 통계결과가 튀어나온다는것 정도입니다.
두번째 표에서 2년 단위로 자살율을 비교한 이유는,
그냥 그렇게 비교해보면 노란색깔로 칠해놓은 부분의 숫자가 더 드라마틱해지길래
2년간격을 골랐읍니다.

2년 증감율이 106% 이상인 곳은 빨갛게 칠했고
2년 증감율을 비교해서 높았던 부분은 빨갛게
그 밑에 깔려 바닥이 되어주었던 부분은 파랗게 칠했읍니다.
106%를 고른 이유는 딱히 없읍니다.
자살율의 단위는 10만명당 고의적자해로인한 사망건수,입니다.
자료의 출처는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1&conn_path=I2 입니다.



1 아무리봐도
17-19년의 여성 자살율 증가폭은 드라마틱 합니다.
10대후반부터 30대후반까지의 여성 자살율이 다 증가하고 있어요.

2 10대후반, 20대 전반 여성들의 17-19년 자살율 증가폭은 더 드라마틱 합니다.
2년전에 비해 [180%]씩 늘었읍니다.
이유는 둘중 하나겠죠.
17년이 과하게 즐거운 한해였거나
19년이 지나치게 ㅈ같은 한해였거나.

2.1 같은 기간 남성자살율은 횡보하거나
오히려 소폭 감소하였습니다만
남성 자살율은 증가하는데 여성 자살율은 감소하는 09-11년의 경우도 있는 것을 보면
꼭 남녀 자살율 증감이 같은 추세로 가란 법은 없는것 같습니다.

2.2 17-19년 사이의 여성 자살율 증가가 굉장히 드라마틱했던 것은 사실인것 같으나
엄청 증가해보이는 19년의 여성 자살율도
09년의 여성 자살율과 비교해보면
그때보다는 19년이 낫습니다.

3 18년 19년의 10대후반 여성 자살율은
동나이대 남성 자살율보다도 높습니다.
여간해서는 이런일이 없다는걸 생각해보면
확실히 눈에 띄이는것 같습니다.

4 남녀 할것 없이
2012-2017년 간에는 자살율이 이전/이후 시기에 비해서
뚜렷하게 낮아진 것을 볼수있읍니다.
...여성대통령의 힘이란 이런것인가? 하는 뻘생각이 들었습니다.



사회현상을 분석할줄 모르는 이과생은 이만 도망갑니다.
180%라는 숫자는 아무리 생각해도 기이해서.
지나가는 인문학자분들의 관심을 끌고 싶었을 뿐이에요.
왜 이런겁니까?
인문학도 여러분들의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ㅁ-!



1


    샨르우르파
    https://imgur.com/gallery/BBciTZj

    그래프로 정리하면 위와 같습니다. 5세가 아니라 10세 단위이니 주의하세요.

    1. 펑글에 댓글로도 썼는데, 남성 자살율보다 여성 자살율 변동성이 훨씬 더 큽니다.
    최근 드라마틱하게 상승하긴 하는데 2017년까지는 남성보다 여성 자살률이 훨씬 더 급격하게 줄었어요.
    2010-12년의 정점과 비교하면 여전히 청년 여성의 자살율 감소폭이 청년 남성보다 큽니다.
    이게 보편적인 현상인지 모르겠는... 더 보기
    https://imgur.com/gallery/BBciTZj

    그래프로 정리하면 위와 같습니다. 5세가 아니라 10세 단위이니 주의하세요.

    1. 펑글에 댓글로도 썼는데, 남성 자살율보다 여성 자살율 변동성이 훨씬 더 큽니다.
    최근 드라마틱하게 상승하긴 하는데 2017년까지는 남성보다 여성 자살률이 훨씬 더 급격하게 줄었어요.
    2010-12년의 정점과 비교하면 여전히 청년 여성의 자살율 감소폭이 청년 남성보다 큽니다.
    이게 보편적인 현상인지 모르겠는데, 사실이라면 '스트레스성 사회적 요인'에 청년 여성이 취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남녀 똑같은 강도로 작용해도 여성이 취약하니, 젠더 특성상 여성에게 더 많은 부하가 걸린다면 말할 것도 없죠.

    2. 개인적으로 최근 청년 여성 자살율 트렌드가 튀는 두세 가지를 추측해보자면,

    1) 유독 심했던 베르테르 효과
    2017년 말-2019년에 유독 자살한 유명인들이 많아서 직후 자살률이 급등하는 베르테르 효과가 많이 발생했는데 (2017년 12월 종현, 2018년 3월 조민기, 2018년 7월 노회찬, 2019년 10월 설리, 11월 구하라) -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보면 그 직후 자살건수가 확 뜁니다 - 노회찬을 제외하면 청소년-청년 여성들에 영향이 큰 연예인들의 자살입니다. 따라서 청소년-청년 여성들에게 베르테르 효과가 크게 작용했겠죠. 특히 설리와 구하라는 악플과 불법도촬물로 고생하다 생을 마감한 인물이라, 젠더적으로 여성에 대한 공감력이 더 클 수 있고요.

    2) SNS 시대의 이면
    실제로 수많은 국가에서 SNS 문화로 인한 청소년 정신건강, 자해, 자살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데, 특히 여성이 심하다고 합니다. 관계지향적인 여성의 특징 때문에 SNS 이면의 피해가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됩니다.
    다만 이 가설대로라면 왜 2018년에야 이런 경향이 나타났는지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3) 10대 한정해서 자해 인증샷 유행이 악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권 교수는 “보통 고교생 자살률이 높은데, 2018년부터는 중학생 자살률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2018년 청소년들 사이에서 ‘자해 인증샷’ 놀이가 유행처럼 번져나간데다, 2018년과 2019년 이어진 연예인들의 잇따른 자살 보도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43016190005664
    3
    매뉴물있뉴
    아, 그러게요 정말... 종현설리구하라는...ㅠㅠ 지금 생각해도 슬픔ㅠ
    20년 통계부터는 나름 감소할 여지가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1
    일본에서도 젊은 여성 자살률이 높아져서 연구 협력 요청이 있었다는 기사를 작년에 봤던 것 같습니다.
    일본이 요청했던건지 우리나라가 요청했던건지는 기억이 잘 안나네요.
    1
    매뉴물있뉴
    한일간에 공통된 이유가 있었을까요...? 흐음.........
    예전 다군님이 2020년 심리부검 연구 자료를 올려주신 적이 있었어요. 질적인 관점에서 세부 내용을 따라가고 싶으신 분들은 참고하셔요.

    https://redtea.kr/pb/pb.php?id=free&no=11179&ss=on&sc=on&keyword=%EC%8B%AC%EB%A6%AC%EB%B6%80%EA%B2%80
    3
    매뉴물있뉴
    +_+ 오옹 이런 글이 있었군요 감사해요 ㅎㅎㅎㅎㅎ
    다시갑시다
    이렇게 숫자 자체가 작은 경우에는 변화 정도를 %로 따지는건 해석에 바이어스를 추가하기 쉬운 방법이기도합니다. 단순히 노이즈로 인해서 나올수있는 절대수치 변화가 %로는 크게 계산이 되니까요.
    14
    매뉴물있뉴
    아하 그렇군용, 변화정도를 따지는 다른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그래프로 표시한다거나 하는게 도움이 되나요? ㅇ_ㅇ??
    켈로그김
    이정도로 수가 작고 질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경우엔
    케이스스터디가 유효하다고 배웠읍니다.
    통계처리가 어려울거 같읍니다.
    2
    매뉴물있뉴
    !!! 그렇군요!!
    케이스스터디는 표본이 작아서 별 쓸모가 없다고만 생각했는데
    아예 표본 자체가 작아버리면 오히려 좋은!! +_+
    1
    다시갑시다
    사실 그냥 숫자 그대로 보여주는게 가장 간편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10만명당 자살율이 n명 증가했다고 말하는거죠

    그리고 그 차이의 해석에 켈로그김님이 언급하신 케이스 스터디가 도움이 많이 될것이라 예상됩니다
    2
    여친없음
    자살의 많은 요인에 대해선 모릅니다만. 근본적으론 더 살기 힘들어서 죽는다는 점에서 경제적 문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할거라 생각하고. 줄어드는 결혼율/출산율과도 연계가 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결국 과거의 가부장적 가치가 다 파괴되고 사회에서 생존해야하는 조건이 남녀가 비슷해지면서 자살율이 남녀 동일화되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이준석 그리좋아하진 않지만 이준석이 당권잡으니 별 소리가 다나오네요 ㅋㅋㅋ 종교인가 싶은데...

    물론 이준석 지지자들도 종교같은 사람들 좀 보입니다만
    매뉴물있뉴수정됨
    정치가 종교화 되는 것은 어느정도..... 음...

    예전 군사정권의 여파 때문인지
    정치라는게 정의의 문제로 다뤄지던 시기가 분명 있었지만

    지금은 그때보다는 훨씬 민주적인 사회가 되었으니까요,
    현재의 정치적 의제는 이쪽도, 저쪽도 옳은 주장을 하는 가운데
    두 옳은 주장중 무엇이 더 옳은가의 충돌같달까요?

    그런면에서 보면, 고도로 민주화된 정치에는
    종교적 요소가 작든 크든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 이준석 지지자와 반대자쪽 모두에서 종교 느낌이 나는 이유가 아닌가...... 더 보기
    정치가 종교화 되는 것은 어느정도..... 음...

    예전 군사정권의 여파 때문인지
    정치라는게 정의의 문제로 다뤄지던 시기가 분명 있었지만

    지금은 그때보다는 훨씬 민주적인 사회가 되었으니까요,
    현재의 정치적 의제는 이쪽도, 저쪽도 옳은 주장을 하는 가운데
    두 옳은 주장중 무엇이 더 옳은가의 충돌같달까요?

    그런면에서 보면, 고도로 민주화된 정치에는
    종교적 요소가 작든 크든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 이준석 지지자와 반대자쪽 모두에서 종교 느낌이 나는 이유가 아닌가...
    링크된 칼럼 내용 일부 인용합니다.
    "지난 9월 발표된 2019년 사망 통계에 따르면 남성 자살률은 전년보다 1.4% 감소했지만, 여성은 6.7% 증가했다. 특히 20대 여성에서는 26% 더 증가했다."
    "더구나 우리나라 여성 자살률은 2002년부터 OECD 국가 중 압도적 1위를 기록해 오고 있다. 가장 높았던 2009년에는 자살률 22.8명으로, OECD 평균의 4배나 되는 수준이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남성 자살률은 OECD 신규 가입국 통계까지 포함했을 때 단 한 번도 1위였던 적이 없었다."

    <중앙일보> [리셋 코리아] 20대 여성의 극단 선택, 국가는 심각하게 응답해야
    https://news.joins.com/article/23944663
    1
    링크된 기사 내용 일부 인용합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여성의 자살 시도 건수는 전년 대비 33.5% 증가했다."

    <동아일보>코로나19 이후 자살 고민 상담↑…정부, 예방대책 논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609/107354177/1
    1
    졸린 꿈
    잘읽었습니다. 증가/감 백분율도 궁금하지만 절대수치도 궁금하네요
    매뉴물있뉴
    절대 수치는, 저기 저 20대 남녀 2018 2019년도 자살사망자만 간단히 적자면

    20대 전반 남성 자살자수
    2018년 323명 2019년 311명

    20대 전반 여성 자살자수
    2018년 204명 2019년 266명

    대충 요렇습니다.
    글에있는 자료출처 링크에 들어가시면 절대값도 나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150 사회유나바머를 언급한 터커 칼슨 1 mchvp 21/10/09 3672 2
    12147 사회IT 중소기업을 선택할 그리고 선택한 이들을 위한 -틀-의 조언 13 아재 21/10/07 4545 21
    12133 사회청소년, 정체성의 발전, 인종관계 15 소요 21/10/03 4864 28
    12126 사회산재 발생시 처벌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1 Picard 21/09/30 4080 21
    12120 사회남자의 소득별 기혼율 26 Leeka 21/09/28 7033 2
    12100 사회이제 범인을 찾아보자 (검단신도시 장릉 관련) 51 leiru 21/09/20 5079 6
    12072 사회텍사스의 신개념 낙태금지법. 25 코리몬테아스 21/09/13 4939 10
    11991 사회유치한 황교익씨 이야기 10 녹차김밥 21/08/19 4686 9
    11980 사회동북아에서 급증하는 무자녀 현상 (부제: 초저출산이 비혼'만'의 문제인가?) 19 샨르우르파 21/08/13 5418 20
    11977 사회환경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 협력 가능성에 비관적인 이유. 21 mchvp 21/08/12 4424 1
    11974 사회흑인 정체성정치의 피로함과 미국의 맑시스트 13 은머리 21/08/10 5606 17
    11957 사회상호교차성 전쟁 23 소요 21/08/03 4901 9
    11937 사회왜 공공임대는 해결책이 될 수 없는가 29 Profit 21/07/29 5214 5
    11903 사회KT 품질 때문에 소비자원에 징징댔더니 보상받은 썰 14 매뉴물있뉴 21/07/20 5756 15
    11824 사회보편적 청년 담론의 종말? 12 샨르우르파 21/06/27 4643 6
    11803 사회[군대] 4급 (공익) 기준이 이렇게나 타이트한지 몰랐읍니다. 31 Groot 21/06/18 8999 4
    11778 사회자연선택과 단기적 이익 13 mchvp 21/06/12 5760 6
    11777 사회2-30대 남/여 자살율 비교 18 매뉴물있뉴 21/06/11 4574 1
    11772 사회‘원폭만큼 치명적인’ 미군의 부산항 세균실험 -시사인 5 요일3장18절 21/06/10 4688 4
    11771 사회누군가의 입을 막는다는 것 17 거소 21/06/09 5030 48
    11769 사회부린이들을 위한, '같은평수인데 왜 크기가 달라요' 이야기 11 Leeka 21/06/09 4681 12
    11741 사회낯선 과학자, 김우재씨의 정치 사설 5 맥주만땅 21/06/01 4634 10
    11734 사회의도하지 않은 결과 21 mchvp 21/05/30 5877 19
    11730 사회자녀약취, 자녀양육자의 체류허가 8 私律 21/05/28 4208 9
    1168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완) - 성교육의 이상과 실제 18 소요 21/05/18 5319 2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