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6/13 14:37:05
Name   루이보스차넷
Subject   1931년 화교배척폭동과 학살
http://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912.html
사실 이건 제가 전에 알고 나서부터 관심을 가진 사건인데 좀 잘 정리된 글이 있어서 보고 있습니다.
읽어보니 한국에서의 반중/혐중감정은 되게 옛날부터 있었던 거 같네요.
이런 일이 잘 안 알려졌다는 것이 안타깝네요...
그냥 타임라인에 올리려다가 더 많은사람들한테 읽어보라고 여기에 올립니다.



0


    기아트윈스
    일제의 이간질이라고 본 건 근거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제 개인적인 감상은 일제도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몰랐다.. 정도인데

    참고로 나무위키
    https://namu.wiki/w/1931%EB%85%84%20%ED%8F%89%EC%96%91%ED%99%94%EA%B5%90%20%ED%95%99%EC%82%B4
    루이보스차넷
    나무위키도 한번 읽어 보았는데 그래도 이해하기 좋게 정리는 잘 되있더라고요. 하지만 꺼무위키라(...)
    대충 찾아보니 저 사건을 만보산 사건을 둘러싼 오보와 엮어서 설명하는 레파토리가 대부분인데 그 오보의 원인을 조선일보의 특파원인 김이삼이 일제에게 매수되어 의도적으로 허위정보를 퍼트렸다고 보는 것 같더라고요. 근데 딱히 확실한 증거 같은 건 없어서 살짝 음모론 느낌도 나고 오보 하나에 저정도급 학살의 인과를 몰빵하는 것도 뭔가 좀 어색하죠. 전공자가 아니라 확언하긴 뭣하지만 우리가 일본에게 요구하는 잣대에 비추어 봤을 때 이게 만족할만한 스탠스인지 모르겠습니다.
    기아트윈스
    직접증거 없이 김이삼 매수론을 정설로 삼으면 그거 그냥 뇌피셜급 아닌가...
    메오라시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915
    제목은 마음에 안 들지만, 내용 중에
    윤치호는 이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기고 있지. “〈조선일보〉는 호외를 발행했지만, 동일인으로부터 똑같은 소리를 접한 〈동아일보〉는 호외를 발행하지 않았다. 그러자 이름만 대면 다 알 만한 종로경찰서 형사가 동아일보사에 전화를 걸어 이토록 중대한 사건에 대해 호외를 발행하지 않은 이유를 추궁했다(1931년 7월13일, 윤치호 일기).”

    김이삼 기자가 어떤 사람이었는지는 사건 직후 피살되어서 영원히 알 수 없겠고요. 위와 같이 일제가 폭동을 부추겼다는 간접 증거가 있습니다.
    Cascade
    사실 자기 나라 역사 교육에 치부를 적는 일이 더 드문 거죠

    벨기에는 콩고 작살낸 건 철저히 숨기고 있고, 그나마 독일은 숨길 수 없을 만큼 제대로 뚜까맞아서 하는 척이라도 하는 거죠. 일본도 무조건 항복 안하고 올림픽 작전 개시됬으면 지금처럼 대놓고 역사왜곡은 못했을 겁니다.

    역사는 승자의 것인데, 한국 사회에서 중국은 철저히 적성국가였으니... 굳이 그걸 꺼낼 이유가 없었던 거죠.
    그것도 광복 이후 40년간 중국은 적국이었죠. 북한과 손잡고 남한을 침략한... 그러니 딱히 생각해줄 필요를 못 느끼기도 했을 겁니다... 더 보기
    사실 자기 나라 역사 교육에 치부를 적는 일이 더 드문 거죠

    벨기에는 콩고 작살낸 건 철저히 숨기고 있고, 그나마 독일은 숨길 수 없을 만큼 제대로 뚜까맞아서 하는 척이라도 하는 거죠. 일본도 무조건 항복 안하고 올림픽 작전 개시됬으면 지금처럼 대놓고 역사왜곡은 못했을 겁니다.

    역사는 승자의 것인데, 한국 사회에서 중국은 철저히 적성국가였으니... 굳이 그걸 꺼낼 이유가 없었던 거죠.
    그것도 광복 이후 40년간 중국은 적국이었죠. 북한과 손잡고 남한을 침략한... 그러니 딱히 생각해줄 필요를 못 느끼기도 했을 겁니다. 오히려 한국의 반중 감정은 과거에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았을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화교 박해받은 것 또한 사실이지만 중국에서 조선족이 홀대받은 것 또한 사실이죠. 지금 중국이 밀어주는 도시와 연길만 비교해봐도 뭐...

    러시아는 그냥 시베리아 횡단열차 태워서 강제이주시켰고.... 서로가 서로를 적국으로 바라보지 않은 지 이제 30년 좀 넘었을 뿐이라... 서로가 서로를 증오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일련의 역사는 묻힐 수 밖에 없었던 거죠.


    왜 몰랐냐 하면, 모를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다는 거...
    1
    루이보스차넷
    역시나 이게 답인 것 같네요...
    토끼모자를쓴펭귄
    프로듀스 한국 일본 연예인들이 같이 나왔던 시즌에 일본 연예인이 이토 히로부미인가 거기 생가에 가서 사진 찍었다고 하지 않았나요? 그것때문에 욕 많이 먹었는데 억울한거죠. 자기네 나라에는 위인이고 뭐 우리나라에 해가 된 인물이었다 교육이나 제대로 받았겠냐고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460 역사자유시 '참변'의 실제원인과 실체 열린음악회 21/03/02 5282 6
    11246 역사용병의 역사 2 - 현대편 4 트린 20/12/18 4900 6
    11241 역사용병의 역사 1 - 고대편 10 트린 20/12/17 6133 9
    11236 역사전원 착검! 군용 격투술 9 트린 20/12/16 5349 2
    11232 역사맛있게 잘 먹겠습니다. 전투식량의 역사 23 트린 20/12/15 5085 9
    11224 역사세상에 이런 것이, 특이한 비살상 무기들 트린 20/12/14 5511 7
    11215 역사두 번째 기회를 주는 방탄복 4 트린 20/12/11 4298 21
    11210 역사생존을 위한 패션, 군복 7 트린 20/12/10 4683 12
    11188 역사인도 마이소르국의 마지막 술탄의 유물이 영국에서 발견되다 5 열린음악회 20/12/01 4348 2
    11151 역사똥과 군인과의 가깝고도 먼 관계 4 트린 20/11/19 4030 2
    10970 역사대한민국 1기 신도시들 8-90년대 11 유럽마니아 20/09/18 5331 2
    10820 역사1911년 영국 상원의 탄생 2 코리몬테아스 20/07/27 4245 7
    10779 역사백선엽을 위한 변명 37 DX루카포드 20/07/14 5832 1
    10681 역사1931년 화교배척폭동과 학살 8 루이보스차넷 20/06/13 4392 0
    10665 역사경찰사와 영국성 3 코리몬테아스 20/06/08 4312 7
    10620 역사일본 보신전쟁 시기 막부파와 근왕파 번藩들의 지도 6 유럽마니아 20/05/26 4792 1
    10581 역사[사진다수] 아직도 현역인 유럽의 범선들 9 유럽마니아 20/05/13 4550 1
    10570 역사1980년대 홍콩 특유의 감성 10 유럽마니아 20/05/09 5239 5
    10567 역사일본 센고쿠 지다이 다이묘들의 家紋지도 업그레이드판 8 유럽마니아 20/05/09 5015 3
    10513 역사도철문, 혹은 수면문 이야기 2 Chere 20/04/18 4833 14
    10486 역사[스압] 아직도 현역인 유럽의 범선들 5 유럽마니아 20/04/11 4565 1
    10432 역사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22 Fate 20/03/26 6527 36
    10410 역사[번역] 유발 노아 하라리: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 11 기아트윈스 20/03/21 8059 26
    10379 역사인도에 대하여 6 Fate 20/03/13 6035 18
    10335 역사고구려 멸망 후 유민들의 운명 12 이그나티우스 20/03/01 4225 1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