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2/27 21:35:55수정됨
Name   Zel
Subject   지금 부터 중요한 것- 코로나환자의 병상은 어떻게 배분하여야 하나
오늘 대구에서 안타까운 일이 있었습니다. 바로 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입원 대기하다 사망한 일이지요.

현재 대구는 500명 이상 환자가 확진받고 입원을 못해서 대기 중이며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립니다.
병상부족은 이번 주는 대구 경북이지만 다음 주에는 전국적일 수 있습니다. 병상도 다 같은 병상이 아니고, 음압병상 > 감염 격리병상 > 일반 특실 > 1인실 > 다인실 위주의 서열이 지어질겁니다.

현재는 아마 중증도에 관계없이 대기자 명단을 올리는 것으로 생각되고 아마 순서대로 입원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도 그렇고 정부도 그렇고 이제 경증은 자가격리, 중(가운데)증은 2차급병원, 중환자는 3차병원에 입원하는 완화전략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합니다. 저도 큰 틀에선 동의합니다. 하지만.. 큰 문제가 있습니다.

현재처럼 선입선출의 형태를 유지할려면, 대기자 명단이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하고 서로 감시되어야 합니다. 한마디로 제주도 연돈처럼 되어야 되지요. 나보다 뒷번호가 먼저 입원한다든지 그런 일이 있으면 안됩니다. 그랬다가는 이 대기자 명단의 환자와 가족들의 분노는 감당이 안될겁니다.

선입선출을 포기하고 중등도 위주로 간다고 합시다. 그렇게 중등도 위주로 평가를 할려면... 평가위원회가 필요합니다. 개별병원에게 맡기기엔 너무나 개별병원들은 청탁에 약합니다. 많은 정치인, 고위공무원, 법조인, 기자, 그리고 기업인 들의 병원에 대한 영향력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병원에서 6개월만 일해도 소위 말하는 '원장님 지인', '진료부원장님 지인' 등은 여럿 만나고 소위 VIP가 되어서 빠른 진료와 특혜를 받습니다. 이걸 막기 위해 생긴게 바로 청탁금지법 (김영란법)의 병원 새치기 금지 조항인데, 단연코 대한민국에서 이걸 문자 그대로 지키는 병원은 없고 이걸로 처벌 받았다는 병원도 못봤습니다.

자 그럼 평가위원회는 투명할까요? 물론 이는 검사소견과 증상, 병력, (영상소견) 등을 종합하면 의학적으로 중등도를 평가하는건 어렵지 않습니다. 이런걸 하라고 있는게 보건복지부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필요한게 바로 '블라인드' 평가 입니다. 힘있는 사람이 바이패스하지 않도록 모든 환자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하고 오직 중등도로만 평가하여야 합니다. 물론 시민단체 라든지 언론인이라던지 공무원이라던지 위원회에 소속되어 감시와, 평가를 같이 해줘도 됩니다.

물론, 우선순위를 둬야할 사람들이 있긴 있습니다. 타이타닉에서도 어린이 여성 등의 순위가 있었던 것 처럼.. 일단 공직자들에 대해서는 우선순위를 인정해줘야 할 겁니다. 하지만 공직자의 가족이라던지 지인은 절대 포함되어선 안되겠죠. 그 다음엔 의료진일테고, 뭐 여튼 이런 필수 불가결하고 전염병의 치료를 위해서 먼저 치료받는게 중요한 사람들이 있고 이를 인정해줘야 합니다. 가능하면 이 리스트도 투명하면 좋습니다.

지금 준비해야 합니다. 말하면서도 가능할 지 모르겠지만 저는 이게 정의롭다고 생각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3-09 00:3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3
  • 정의로움엔 추천
  • 하지만 정의는 어려운 것이지요.


좋은 말씀입니다. 대부분 비슷하게 예측하시듯 잘 안 될 것 같아서 아쉽네요.
아마 누군가 지적을 안하면 뭉갤려고 하겠지요. 이 글은 퍼가셔도 좋습니다. (원래 다 괜찮지만)
6
아마 본인들을 위해서라도 안하겠죠 ㅋ 하루이틀 봅니까.

병실도 병실인데. 도대체 정부는 부족한 level D 어떻게 충당하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니지. 정부는 도대체 생각이라는 걸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럴땐 서로 공생하겠죠. 그냥 한번 지적 해봤습니다.
Level D 구하러 지금 외교부, 복지부 공무원들 전세계에 가야 안됩니까 ㅠ 중국이 어디 방역복 지원했다던데 최소 우리가 준것도 받아오고.. 아 뉴스란 보니 좀 줬네요 땡큐
요즘 정말 너무 짜증납니다 ㅠㅠ 숨만 쉬다가도 짜증이 갑자기 확 ㅠㅠ
대부분의 의료진들이 비슷한 생각이지요. 개개의 정치성을 떠나 기본적인게 안되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4 일상/생각큰고모님 4 Schweigen 20/05/02 5465 27
953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6 ar15Lover 20/05/01 6377 5
952 정치/사회[번역-뉴욕타임스] 삼성에 대한 외로운 싸움 6 자공진 20/04/22 5976 25
951 일상/생각돈으로 헌신에 감사 표하기 28 구밀복검 20/04/22 7863 25
950 일상/생각자아를 형성해준 말들 30 ebling mis 20/04/21 6212 32
949 역사도철문, 혹은 수면문 이야기 2 Chere 20/04/18 5687 16
948 일상/생각아싸, 찐따, 혹은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11 이그나티우스 20/04/17 6614 17
947 문화/예술[번역] 오피니언 : 코로나 19와 동선추적-우리의 개인적 자유를 희생시킬 수는 없다. 39 步いても步いても 20/04/13 6562 6
946 창작기대 속에 태어나 기대 속에 살다가 기대 속에 가다 3 LemonTree 20/04/09 5492 15
945 창작그 애 이름은 ‘엄마 어릴 때’ 14 아침 20/04/08 5485 12
944 정치/사회해군장관대행의 발언 유출 - 코로나 항모 함장이 해고된 이유. 4 코리몬테아스 20/04/07 6075 11
943 창작말 잘 듣던 개 6 하트필드 20/04/04 5751 4
942 정치/사회[데이빋 런시만] 코로나바이러스는 권력의 본성을 드러냈다. 10 기아트윈스 20/04/02 6637 22
941 일상/생각한국이 코로나19에 잘 대처하는 이유 24 그저그런 20/03/31 6705 10
940 역사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23 Fate 20/03/26 6717 39
939 정치/사회가속주의: 전세계의 백인 지상주의자들을 고무하는 모호한 사상 - 기술자본주의적 철학은 어떻게 살인에 대한 정당화로 변형되었는가. 18 구밀복검 20/03/24 8143 23
938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4) - 젠더는 BDSM 속에서 작동하나요? 6 호라타래 20/03/23 5639 13
937 과학[코로나] 데이터... 데이터를 보자! 20 기아트윈스 20/03/22 7134 12
936 역사[번역] 유발 노아 하라리: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 13 기아트윈스 20/03/21 8540 33
935 의료/건강자존감은 꼭 높아야 하나요? 42 호라타래 20/03/20 8493 45
933 역사인도에 대하여 7 Fate 20/03/13 7303 20
932 정치/사회빌게이츠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NEJM 기고문 (시론) 16 Zel 20/03/11 6041 13
931 기타무림사계 : 변증법의 알레고리 4 작고 둥근 좋은 날 20/03/07 6714 10
930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 - 성인물 감상은 여성들에게 어떤 이득을 주는가? 28 호라타래 20/03/06 7369 20
929 기타고구려 멸망 후 유민들의 운명 12 이그나티우스 20/03/01 6245 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