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4/04 00:52:29수정됨
Name   하트필드
Subject   말 잘 듣던 개
어릴적 시골에 가면 하얗고 쌍커풀이 짙은 똥개가 있었다. 목줄에 묶여 있던 그 개는 매년 명절날 나와 내 동생을 볼때마다 짖곤 했다. 비단 나와 내 동생뿐 아니라 사촌 형들과 누나들이 하나 둘 시골집에 도착하면 그때마다 짖어댔다. 그러다가도 하루만 지나면 얼굴이 좀 익은건지. 아니면 집에서 나오는 사람은 괜찮은건지 짖지 않았다. 오히려 쓰다듬는 손길에도 언제 그렇게 이빨 드러내며 짖었냐는듯 얌전히 있고 배도 까고 그랬다. 저수지에 사촌들과 놀다 돌아오면 어서오라 꼬리 흔들며 반겨주기까지했다.

사촌 형제들을 상대로도 맹렬히 짖어대는 백구는 이상하게도 어른들에게는 짖지 않았다. 중학생이 되고 시골집에 내려간 추석날에도 백구는 나와 동생을 보고 짖어댔다. 나는 개가 우리만 보며 짖는다며, 아니 우리가 본지 몇년인데 얼굴도, 냄새도 못 알아보고 짖어대냐 똥개야, 이제 그만 짖어!라고 장난스레 말을 걸었다. 마당에서 그 소릴 들으신 할아버지는 발로 차면 괜찮아진다고 하셨다. 나는 손주 농담에 어르신의 짖궃은 답인줄 알았는데 할아버지께서 갑자기 뛰어와 발로 차는 시늉을 하자 짖던 개가 깨갱하며 집안으로 들어가 숨어버렸다. 봤지? 말로 백날 짖지마 해도 뭔소린지 못알아 듣는다 이러며 웃으셨던거 같다. 할아버지께 강아지 불쌍하다고, 발로 차지말라고 하는 동생의 말에 이젠 안그런다고, 한번만 발로 찼더니 그 다음 부터는 말 잘 들어서 차지 않는다 말씀하시며 동생을 달래셨다.

며칠전 부모님께서 강형욱이 나와 강아지를 조련하는 프로그램을 재밌게 보시는 모습을 봤다. 불독이었는데 사람을 무는 놈이었다. 이 개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을 시작으로 몇시간의 훈련 끝에 엎드려에 성공한 모습이 나왔다. '자 이제 시작이에요. 이걸 몇년간 계속 반복해서 하셔야해요~'라는 말로 프로는 끝났다. 부모님은 감탄하셨다. 와 역시 전문가는 전문가야

난 백구가 생각났다. 어느 날 목줄 풀려 집을 나가 돌아 오지 않는다는 녀석. 갖고 있던거라곤 다 해져 헐거워진 빨간 목줄과 밥그릇, 흙먼지 가득한 플라스틱 기와 개집이었던 녀석. 명절마다 얼굴도 못알아보고 짖다가 다음날만 되면 배까 뒤집던 녀석. 어른들의 발만봐도 움츠러들어 짖지도 않지만 우리를 향해 참았다는 듯 짖어대던 녀석. 한번만 발로 걷어차주면 그 다음 부터는 기어오르지 않고 말 잘 듣던 녀석.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4-12 16:1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하트필드님의 최근 게시물


    다람쥐
    백구의 다음 행보가 뭔지 알 것 같아 더 가슴아프네요
    글에 통찰력이 있으십니다 다음 글도 올려주세요 ♡
    하트필드
    아이구 쑥시러라. 걍 강형욱 나온 프로보다 삘받아서...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죽은 개가 생각나는데...
    하루는 심심해서 '$%아 이리 와봐' 했더니 오더군요.
    그래서 '그냥 한번 불러봤어'하니까 '에이씨' 하는 표정으로 돌아가는 게 아닙니까.
    어? 이녀석이 이런 말도 알아들어? 해서 다시 불러봤습니다.
    또 오더군요. 그래서 다시 '그냥 한번 불러봤어' 하니까 또 그 표정으로 돌아가더군요.
    그 다음부터는 불러도 안왔습니다. 부르는 용건을 밝히거나, 정황상 왜 부르는지 짐작이 갈 때만 오더군요.
    그게 몇년 갔습니다.
    아마 함께 살다보면 인간이나 동물이나 서로 통하는 그런것들이 있겠다싶어요. 물론 사람마다 다르듯 동물도 그렇겠지만...

    에이씨 표정이라니... 알거같습니다ㅋㅋㅋ
    오디너리안
    진돗개 암컷이라고 도순이라 이름지었던 그리고 시골에서 집지키라고 키우던 멍뭉이가 생각나네요.
    지금은 하늘나라에서 마라톤하고 있으려나? ㅠㅠ
    하트필드

    ㅠㅠ잘 지내고 있을겁니다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4 일상/생각큰고모님 4 Schweigen 20/05/02 5471 27
    953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6 ar15Lover 20/05/01 6379 5
    952 정치/사회[번역-뉴욕타임스] 삼성에 대한 외로운 싸움 6 자공진 20/04/22 5980 25
    951 일상/생각돈으로 헌신에 감사 표하기 28 구밀복검 20/04/22 7871 25
    950 일상/생각자아를 형성해준 말들 30 ebling mis 20/04/21 6215 32
    949 역사도철문, 혹은 수면문 이야기 2 Chere 20/04/18 5691 16
    948 일상/생각아싸, 찐따, 혹은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11 이그나티우스 20/04/17 6618 17
    947 문화/예술[번역] 오피니언 : 코로나 19와 동선추적-우리의 개인적 자유를 희생시킬 수는 없다. 39 步いても步いても 20/04/13 6563 6
    946 창작기대 속에 태어나 기대 속에 살다가 기대 속에 가다 3 LemonTree 20/04/09 5494 15
    945 창작그 애 이름은 ‘엄마 어릴 때’ 14 아침 20/04/08 5489 12
    944 정치/사회해군장관대행의 발언 유출 - 코로나 항모 함장이 해고된 이유. 4 코리몬테아스 20/04/07 6080 11
    943 창작말 잘 듣던 개 6 하트필드 20/04/04 5752 4
    942 정치/사회[데이빋 런시만] 코로나바이러스는 권력의 본성을 드러냈다. 10 기아트윈스 20/04/02 6643 22
    941 일상/생각한국이 코로나19에 잘 대처하는 이유 24 그저그런 20/03/31 6709 10
    940 역사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23 Fate 20/03/26 6720 39
    939 정치/사회가속주의: 전세계의 백인 지상주의자들을 고무하는 모호한 사상 - 기술자본주의적 철학은 어떻게 살인에 대한 정당화로 변형되었는가. 18 구밀복검 20/03/24 8156 23
    938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4) - 젠더는 BDSM 속에서 작동하나요? 6 호라타래 20/03/23 5642 13
    937 과학[코로나] 데이터... 데이터를 보자! 20 기아트윈스 20/03/22 7137 12
    936 역사[번역] 유발 노아 하라리: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 13 기아트윈스 20/03/21 8542 33
    935 의료/건강자존감은 꼭 높아야 하나요? 42 호라타래 20/03/20 8496 45
    933 역사인도에 대하여 7 Fate 20/03/13 7310 20
    932 정치/사회빌게이츠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NEJM 기고문 (시론) 16 Zel 20/03/11 6048 13
    931 기타무림사계 : 변증법의 알레고리 4 작고 둥근 좋은 날 20/03/07 6720 10
    930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 - 성인물 감상은 여성들에게 어떤 이득을 주는가? 28 호라타래 20/03/06 7376 20
    929 기타고구려 멸망 후 유민들의 운명 12 이그나티우스 20/03/01 6253 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