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5/01 11:09:14
Name   사슴도치
File #1   16_6_.jpg (34.9 KB), Download : 34
Subject   [사진]광학렌즈의 제조와 비구면렌즈(부제 : 렌즈는 왜 비싼가)


1. 들어가며

 항상 사진에 대한 글은 꿀팁/강좌에 글을 썼었는데, 오늘은 꿀팁과는 별 상관없는 내용이라 다른 카테고리를 선택해 봤습니다. 문과출신인 제가 과학 카테고리에 글을 써도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과학이라는 글자에 점하나를 찍으면 ㅇ을 하나 붙이면 광학이 되니까 그게 그거라는 생각으로 첫 과학 카테고리의 글을 써볼까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광학렌즈의 제조와 비구면렌즈입니다. 사실은 언제 쓸 지 모르는 '렌즈의 왜곡과 수차'라는 글을 쓰기 위한 티저와 같은 글이라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광학렌즈와 일반 유리의 차이점

 광학렌즈의 제1조건은 투명도가 높은 유리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유리들도 육안으로는 투명해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불순물이 꽤 많은 편이죠. 광학렌즈를 구성하는 유리는 두께 100m에서도 일정기준 이상의 광투과율을 가져야 합니다. 이 점에서 일반 유리와의 차이점이 생기는 것이죠. 유리는 규석, 규사성분이 있는 돌과 모래를 그 원료로 하여 만든다는 점은 대부분 알고 있는 사실일 것입니다. 그런 재료 중에서도 특히 불순물이 없는 재료들을 광학렌즈 제조에 사용하게 됩니다. 물론 그만큼 원재료의 값도 비싸지게 되겠죠.

원료부터 차이를 보이고, 심지어 공기거품이나 스크래치같은것도 용납할 수 없기 때문에, 재료부터 가공까지 아무래도 가공단가가 높을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죠.

3. 광학렌즈용 유리의 제조

광학렌즈에 사용하는 유리는 그 종류에 따라 100종 이상, 사용하는 재료는 약 70종류 이상입니다. 물론 렌즈 하나에 들어가는 원료는 적게는 5종에서 많게는 15종정도 사용하죠. 어떤 재료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배합 비율은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끝에 하나의 광학렌즈용 유리가 설계됩니다.

원료배합이 결정되면, 원료를 용해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고온에서 유리는 용해되므로, 고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경써줘야 하는 것이죠. 원료를 용해하는 방법은, 유리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광학유리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고온에서도 버틸 수 있는 백금도가니에 넣고 온도를 높여서 용해합니다. 백금으로 만든 도가니라니!

그 이후엔 용해된 유리를 다양한 형태로 냉각시키게 됩니다. 원료의 배합이 잘못되면 냉각중에 결정화되어 탁해져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되어버립니다. 그리고 냉각 과정에 거품과 맥리라는 줄무늬가 생긴 결합품들 역시 폐기해야 합니다.물론 표면에 생긴 건 사람이 일일이 제거하기도 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하나의 광학유리가 탄생하게 되는 것이죠.

4. 구면수차와 비구면렌즈

 일반적으로 렌즈라고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공의 일부를 잘라낸 것과 같은 깨끗한 구면의 어떤 무엇의 형태죠. 이와 같은 렌즈는 빛을 잘 모으는 형태로 알려져있으나, 이를 카메라에 직접 사용할 경우 카메라의 중앙부분에는 촛점이 또렷하게 맺히는데 주변부는 핀트가 맞지 않거나, 보이는 부분이 늘어지는 등의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첨부된 이미지의 첫번째 그림과 같은 형태인데요. 광축(빛이 일직선으로 들어와서 촛점이 맺히는 선)의 동일 지점을 경주해야 하는 구면적 특성으로 다른 부분을 일주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광축에 제대로 서 있지 못하게 되어 이미지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수차가 큰 렌즈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예전에는 서로 다른 만곡률을 가지는 렌즈들을 여러개 합쳐서 렌즈를 만들었습니다. 여러장 겹쳐서 굴절포인트를 서로 다르게 가져가도록 한 것이죠. 그럼에도 완전히 수차를 제거할 수도 없었고, 부피도 커지고, 무겁고, 렌즈매수도 많고, 당연히 가격도 상승하게 되었죠.

 이를 해결해준 렌즈가 바로 비구면렌즈입니다. 렌즈 자체를 구면이 아닌 럭비공처럼 깎아서 하나의 렌즈가 서로 다른 굴절포인트를 갖게 만든 것이죠. 즉 계산된 복잡한 곡선을 통해서 수차 제거를 도모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비구면렌즈에도 문제점이 있었으니 바로 제조방법의 문제였습니다. 구면렌즈의 경우 광학렌즈 덩어리(잉곳)을 깎아서 제조하는 형태로 만들어졌었는데, 비구면렌즈의 경우 사람의 손으로 이를 하나하나 깎기가 어려웠던 것이죠.
그래서 비구면렌즈의 경우에는 금형에 넣어 프레스화 시켜서 제조했습니다. 금형에 거의 완성된 형태의 유리를 넣고, 금형에 열을 가하여 유리가 변형되면 프레스로 눌러준 후 냉각시키는 것이죠.

 그러나 이 방법에도 문제점이 하나 있습니다. 앞서 유리는 고온에서 녹는다고 했는데, 금형에 열을 가하는 과정에서 금형이 몇번 쓰지도 못하고 망가지게 되는 것이었죠. 그래서 또 생각해낸 거싱 낮은 온도에서 녹는 유리를 개발하게 됩니다. 21세기에 발표된 섭씨 375도에서 녹는 유리인 비드론, 325도에서 녹는 슈퍼비드론이 이런 필요에 따라 개발된 유리죠.

 이와 같은 이유로 광학유리는 한번 더 비싸지게 됩니다. 물론 과거의 구면렌즈를 통한 수차제거보다는 양산도 더 가능해지고, 품질관리도 더 쉬워지긴 했지만요.

5. 나가며

 렌즈의 구면수차는 대부분 없을수록 좋은 것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라이카같은 경우에는 일부러 렌즈 윗부분을 구면으로 남겨두어(상면만곡) 조금 소프트한 느낌으로 사진이 나오게 렌즈를 설계한다고 합니다. 이런 렌즈로 찍을 경우, 사진이 다소 부드럽고 독특한 느낌을 주는 형태로 담을 수 있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딱 좋은 만큼의 수차를 남긴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 일반적으로 비구면렌즈를 채용하여 수차를 없에고 있는 것이 현실이죠. 후보정이 발전해서 렌즈를 통한 효과를 후보정으로도 어느정도 구현하게 된 점도 있구요.

 오늘은 딱히 사진생활에 유용한 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재밌게 읽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5-15 07:55)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8
  • 광학계는 추천


Beer Inside
전자제품용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를 만드는 코닝이 백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기사가 생각이 납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296463
사슴도치
금수저 금수저 하지만 백금도가니가 최고입니다..저런 백금도가니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은행에 따로 보관한다고 하더라구요
Beer Inside
1조짜리 백금도가니를 어느 은행이 받아줄까요....

물론 코닝이니 백금도가니가 쉴 수도 없겠지만.
사슴도치
1조짜리면 백금도가니가 아니라 백금시스템이라고 불러야 할 것 같습니다 ㅎㅎ

"생산설비를 증설해야 할 경우 백금값 상승에 따른 투자 부담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할 정도니 지금까지도 충분히 쉬지않고 돌아가고 있다는 것이겠죠 ㅎㅎ
Beer Inside
저 회사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고릴라글래스를 만들죠.

대주주가 코닝과 홍석현이였는데, 홍석현이 jTBC를 만들면서
지분을 팔아버리고 이제 삼성이라는 글자는 버렸을겁니다.

스마트폰시대에 가장 안정적으로 돈을 버는 회사 중 하나이지요.
April_fool
이쯤에서 보는 실제 유리렌즈 생산 과정 :
https://gigglehd.com/gg/dica/352870

카메라 렌즈 만들기 :
https://www.youtube.com/watch?v=_GCwlGZNd3I
DIY Camera Lens


요즘은 안경렌즈에서도 비구면 렌즈가 대세입니다. 근데 근래에는 ... 더 보기
이쯤에서 보는 실제 유리렌즈 생산 과정 :
https://gigglehd.com/gg/dica/352870

카메라 렌즈 만들기 :
https://www.youtube.com/watch?v=_GCwlGZNd3I
DIY Camera Lens


요즘은 안경렌즈에서도 비구면 렌즈가 대세입니다. 근데 근래에는 [개인맞춤형] 렌즈라는 게 나왔죠. 이건 사실 프리폼(Freeform) 렌즈라는 것인데, 안경렌즈의 한쪽 면만 금형으로 만들고 다른 한쪽 면은 CNC 기계로 하나하나 깎아서 만드는 것입니다. 당연히 꽤 비싸죠.
https://www.youtube.com/watch?v=Wyjrx9Qdswk
cutting digital lenses
사슴도치
오 재밌게봤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집정관
안경렌즈밖에 모르는데 드문드문 비슷한 단어들이 나오네용
사슴도치
광학렌즈인 점에서는 똑같으니까요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0 게임[LOL] 소드 논쟁으로 보는 '롤 실력' 이야기. 19 Jace.WoM 19/10/27 10936 9
168 창작[SF단편] 펭귄 밀크 11 중년의 럴커 16/03/11 7451 5
177 기타[空知] 녹차넷을 엽니다. 7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01 8680 9
651 문화/예술[강철의 연금술사] 소년만화가 육체를 바라보는 관점(스압) 4 자일리톨 18/06/23 9245 18
629 여행[괌간토비] 가족여행지로 괌을 선택한 이유 17 Toby 18/05/08 8262 18
1184 문학[그림책] 누가 진짜 엄마야? 3 늘쩡 22/04/13 3834 12
18 정치/사회[나기홍석1탄: 여시사태]호명과 소명, call과 calling 9 난커피가더좋아 15/06/10 9234 0
24 정치/사회[나기홍석2탄]'역오디션 현상'과 맹기용 20 난커피가더좋아 15/06/13 9002 0
1403 문학[눈마새] 나가 사회가 위기를 억제해 온 방법 10 meson 24/07/14 2403 12
841 일상/생각[단상] 결혼을 수선하다. 35 다람쥐 19/08/08 6973 93
799 문학[단편] 어느 게임 마니아의 일상생활 18 트린 19/04/29 7550 14
942 정치/사회[데이빋 런시만] 코로나바이러스는 권력의 본성을 드러냈다. 10 기아트윈스 20/04/02 6526 22
267 기타[마르크스 사상사 시리즈] 1. 맑스?마르크스? 29 nickyo 16/09/21 7684 5
952 정치/사회[번역-뉴욕타임스] 삼성에 대한 외로운 싸움 6 자공진 20/04/22 5898 25
947 문화/예술[번역] 오피니언 : 코로나 19와 동선추적-우리의 개인적 자유를 희생시킬 수는 없다. 39 步いても步いても 20/04/13 6485 6
936 역사[번역] 유발 노아 하라리: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 13 기아트윈스 20/03/21 8439 33
837 과학[번역] 인종 평등을 위한 과학적 기초 上 17 구밀복검 19/07/27 7424 10
561 음악[번외] Jazz For Christmas Time - 국내 스트리밍 사이트를 중심으로 (3) 4 Erzenico 17/12/11 7291 3
1215 여행[베트남 붕따우 여행] 중장년 분들에게 추천하는 여행지. 긴글주의 18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19 4527 15
770 체육/스포츠[사이클] 랜스 암스트롱 (1) - It's not about the bike. 12 AGuyWithGlasses 19/02/17 6562 9
422 과학[사진]광학렌즈의 제조와 비구면렌즈(부제 : 렌즈는 왜 비싼가) 9 사슴도치 17/05/01 8629 8
640 꿀팁/강좌[사진]꿀팁. 내가 써본 보정하기 좋은 어플순위 13 사슴도치 18/05/31 9064 14
365 꿀팁/강좌[사진]노출의 3요소와 PSAM 27 사슴도치 17/02/15 9586 13
1019 꿀팁/강좌[사진]노출차이가 큰 풍경사진 찍기 - GND필터 사용하기 9 사슴도치 20/10/18 4945 5
443 꿀팁/강좌[사진]을 찍는 자세 20 사슴도치 17/06/02 8944 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