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1/06 05:03:40
Name   눈부심
Subject   젠더와 명칭
오늘 기사를 하나 읽다가 기사작성자의 프로필을 읽는데 이랬어요.



actor의 여성형이 actress인데 그냥 actor라고 소개되어 있었어요. 요즘 제가 회사에서 이멜을 작성할 때 everyone을 받는 소유대명사로 his만 쓰는 경우는 없고 his/her 이렇게 항상 중복사용하는 것이 무의식적으로 당연하게 일어나고 있는 일이긴 한데 actor도 젠더구분 없이 사용하는 줄은 몰랐어요.

곰곰 생각해 보면 옛날에는 policeman, fireman이란 단어가 흔했지만 이런 말은 정말 구닥다리 영어표현들이에요. 불필요한 남녀구분을 없애기 위해 police officer, fire fighter란 말을 사용하고 stewardess란 말 대신에 flight attendant란 말을 사용하고 있어요. 최근에 읽은 기사에 의하면 밀레니얼들로 통하는 요즘 세대들 사이에서는 인터넷에서 they가 단수형 대명사용법으로 쓰인다고도 하더군요. 요즘 세대들은 '정치적 올바름'에 가장 민감한 세대라고들 하거든요. 그래서 위키 찾아봤더니

"Everyone returned to their seats."
"Somebody left their umbrella in the office. Would they please collect it?"

이런 식으로 they/their가 단수형으로 사용되는 예가 나왔어요. 이게 구어체에서는 흔히 듣는 말인데 문어체에서는 저는 아직 써 본 적이 없어요. 그리고 얼마나 용납이 되고 있는지도 모르겠어요. 회사에서 소통할 때 항상 his/her 두 가지 표현을 동시에 사용했지 their를 사용할 생각은 안 해 봤어요.

미국이라 공적인 자리에서는 이제 크리스마스가 되면 '메리 크리스마스'란 말 대신 'Happy Holidays'란 말을 당연히 쓰고 있고요. 서류 다룰 때 젠더가 중요한 경우가 있는데 성인이 되어 바뀌어진 성이 아닌 태어났을 당시의 성을 젠더 디폴트값으로 정하는 게 새로이 추가되었어요. 그런 다음 바뀐 성을 주장하기 위해 서류를 추가로 제출하는 형식인 거죠. 그러니까 트렌스젠더가 있을 경우의 수를 고려하기 시작한 거예요. 그리고 업무 상 통화를 할 때 '배우자'라는 언급이 꼭 이성을 뜻하는 건 아닐 수도 있겠단 걸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됐어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1-17 17:15)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 제가 민감한 게 아니었군요. 지당하신 말씀


까페레인
심지어 여자분을 지칭할때도 고민스러워요. 그녀들의 개인사를 모르니 함께 사는 이가 남편인지 동거인인지 boy friend 인지 애매한 케이스가 많아서 Ms. Mrs. Miss ... 그냥편하게 Ms. 로 통일해서 쓰는데 이게 맞기를 바래요.
눈부심
저는 호칭이 필요할 때면 항상 Ms.를 써요. Miss.는 거의 사장된 분위기인 것 같아요 ㅎ.
아 그리고 같이 사는 사람이 있다고 하면 꼭 남편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 내가 알 수 없는 사실이라는 것이 자연스럽게 됐어요.
오래 전에 자연스러워진 사실이지만 새삼스럽더라고요.
*alchemist*
죄송하지만 처음인 젠더라고 해서 핸드폰 젠더인줄 알았습니다... 쿨럭;;
저는 해외서 일을 했어도 절대적으로 남정네들만 있던 동네에서 해서... 저런 호칭에 대해 고민해본적은 딱히 없어놔서 신기하네요. 다 걍 미스터여서...-_-;; 으으;;
그나저나 every를 their로 받다니 신기하긴 하네요. 성문,맨투맨 거의 끝세대로서 저런 짓을 하면 바로 문법 점수 못 땄었는데 말이지요(...)
눈부심
핸드폰 젠더가 뭔지 저는 또 모르는 .. 킄
저도 성문, 맨투맨 세대라서 요즘 영어책에선 어떻게 가르치나 정말 궁금해요.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저..저도 핸드폰 젠더를 먼저(...)
*alchemist*
그쵸? ㅠㅠ 갑자기 리플 와라락 달려서 깜짝 놀랐습니다 ^^;
까페레인
읔..저도 핸드폰 젠더가 뭘까 궁금해서 찾아보았어요..새로운 단어네요. 영어로는 그냥 cable 로 알고 있었는데 HDMI Cable 이라고 부르는것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더 찾아보니 HDMI male to female cable 이라고 하네요. 여기서 더 정확하게 설명해주실.. 케이블 가이를 불러봐야할까봐요. 그래도 궁근해서 찾아보니, HDMI 명칭은

Technically speaking, HDMI (which stands for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is a global... 더 보기
읔..저도 핸드폰 젠더가 뭘까 궁금해서 찾아보았어요..새로운 단어네요. 영어로는 그냥 cable 로 알고 있었는데 HDMI Cable 이라고 부르는것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네요. 더 찾아보니 HDMI male to female cable 이라고 하네요. 여기서 더 정확하게 설명해주실.. 케이블 가이를 불러봐야할까봐요. 그래도 궁근해서 찾아보니, HDMI 명칭은

Technically speaking, HDMI (which stands for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is a global connectivity standard developed by a consortium of major electronics manufacturers including Hitachi, Panasonic, Philips, Sony, Thomson (RCA), Toshiba, and Silicon Image.
같은 물건을 지칭하는 것이 맞는지... 한국에서는 male / female 때문에 젠더라 부르는건가요? 왜 젠더라고 부르게되었는지 궁금하네요. 오늘도 새로운 것 하나 배웠군요. :) 평소에 USB 라고 부르면 늘 USB drive 라고 부르라해서 내가 잘못 알았나 했는데 우리말로 USB 라고 쓰는 것 맞지요? 아니면 USB 메모리라고 더 많이 사용하나요? 질문게시판에 적어야하나 봅니다.
요철이 있어 짝으로 끼우는 케이블 끄트머리들을 과거부터 암놈 숫놈이라고 부르곤 했었지요. 생긴 모양 때문에 그런건데... 같은 의미로 그렇게 쓰는 겁니다. HDMI뿐 아니라 끼워서 형식을 바꿔주는 놈들이면 다 젠더라고 불러요.

저는 젠더라고 부르길래 외국에서도 그렇게 쓰나보다 했어요.

USB 드라이브는 한국에선 다들 축약해서 USB라고 쓰지요. 축약이전의 원형이 뭔지는 모두 잊고 그냥 사는듯합니다.
damianhwang
예전에 외자사 다닐 때 해외쪽 친구들이랑 의사소통하면서 USB 드라이브를 한국친구들이 습관적으로 USB라고 부르니까 못알아듣더라고요;
그래서 니네는 뭐라고 부르냐 그랬더니..memory stick...이래요;;;
그거 쏘니 고유 상품명....인데..라고 생각은 했으나..유럽쪽 친구들이었는데 아무튼 그렇게 부른다네요;
요새는 뭐라고 부르나 모르겠으요;;
아마존에서 상품검색할때는 USB flash drive로 검색하면 나오긴 헌데 말입져;
\'his/her로 병행표기 하는 것 보다는 their가 자연스러울 수도 있겠군\'이라고 생각했다가 다시 \'자연... 스러운가?\'라고 다시 생각하게 되네요 ㅎㅎ
덕분에 새로운거 잘 배웠습니다.
눈부심
저는 고등학교 때 their로 받으면 틀린다고 강조, 강조하던 게 생각이 나요. 요즘도 그러나 궁금스..흐흐.
레지엔
아예 무성적으로 its를 써야....
they가 소유격일 때는 그래도 나은데 주격이나 목적격으로 쓰인 건 정말 적응이 안 되더라구요. singular they라고 꽤 오래된 용법인데 근대 영문법에 안 맞다고 폐기됐다가 인위적으로 다시 살아나는 중인가 봅니다. 고중세 언어로 가면 인칭대명사 복수형을 단수로 쓰는 경우는 의외로 꽤 있어요.
암튼 매닝 상병인가 그 양반처럼 꽤 시간 걸려서 성전환하는 도중의 인물을 기사에서 지칭하려면 꼭 필요할 듯...
요새 미국에서 공중화장실을 all gender restroom으로 바꾸는 추세라고 신문에서 봤는데, 성소수자 배려 차원에서 남녀구분 없이 한 화장실을 쓰도록 설계한다고요. 그것도 괜찮은 거 같아요.
눈부심
저는 몇 년 전에 국제전자센터 식당화장실에 갔다가 표지판에 남자여자 싸인이 같이 있었고 입구는 두 개 따로 있었는데 싸인판이 걸린 곳 바로 앞 입구에 들어가서 볼 일을 봤거든요. 들어가자마자 남자변기가 있었는데 옛날처럼 남녀공용화장실인 줄 알고 아무렇지도 않게 일을 본 거예요 ㅋㅋ. 손 씻고 있는데 아저씨가 \'여기 남자화장실입니다\' 그래서 잽싸게 뛰어 나왔어요 킄.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이럴 때를 위해 레이디스앤젠틀맨이 필요합니다.
눈부심
입에 착착 감기는 표현이 제일인 것 같아요.
레지엔
이게 약간 좀 다른 분야에서는 난감한 경우가 있는데, 병원에서 환자 정보를 표기할 때 곤란해집니다. 보통 male/female로 구분하고 필요하면 추가적인 정보를 차팅하는 형태가 되는데 외국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처음부터 모든 성소수자의 칸을 만들거나 아니면 빼라\'라는 요구가 적잖이 있습니다. 근데 진료 목적이건 연구 목적이건 성별을 뺄 수는 없거든요-_-; 특히 트랜스젠더의 경우 반대 성의 호르몬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케이스와 다른 목적에서 성호르몬과 연관된 약을 먹고 있는 사람을 어떻게 카테고리를 다르게 잡을 것인가 같은 것도 특정 분야에서는 좀 이슈거리입니다.
눈부심
젠더문제하면 가장 인상적인 인물로 떠오르는 사람이 Ellen Pao라고 실리콘 밸리지역 테크회사에서 근무하던 베테랑 여성직원이에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성별차이가 극명하게 나는 분야 중 하나가 IT분야인데 Ellen Pao가 자신이 진급하지 못한 건 테크회사의 깊게 뿌리박힌 남녀차별의식 때문이고 이걸 문제제기한 이후로 회사에서 일종의 복수, 냉대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회사측을 상대로 수백만달러의 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건 적이 있어요. 소송이 이슈일 때 엄청 재미가 있었어요. 보통 회사에 제기되는 젠더문제관련 소송은 피... 더 보기
젠더문제하면 가장 인상적인 인물로 떠오르는 사람이 Ellen Pao라고 실리콘 밸리지역 테크회사에서 근무하던 베테랑 여성직원이에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성별차이가 극명하게 나는 분야 중 하나가 IT분야인데 Ellen Pao가 자신이 진급하지 못한 건 테크회사의 깊게 뿌리박힌 남녀차별의식 때문이고 이걸 문제제기한 이후로 회사에서 일종의 복수, 냉대를 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회사측을 상대로 수백만달러의 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건 적이 있어요. 소송이 이슈일 때 엄청 재미가 있었어요. 보통 회사에 제기되는 젠더문제관련 소송은 피해자, 가해자가 확실한 성희롱이 아니면 감히 누구도 문제제기할 생각을 못하잖아요. Ellen Pao의 소송으로 회사 내에서 젠더문제인 것도 같으면서 참으로 애매하기 짝이 없는 남성위주의 회사문화가 법적으로는 어떻게 해석될 건지 너무너무 흥미진진하더라고요. 회사단합을 위해 스키장을 갈 때 여자들은 쏙 빼놓고 간다든지 밥 먹으로 갈 때도 남자들만 뭉쳐서 회사의 연장업무인지 회식인지 모를 시간을 갖는 거라든지.

그 애매하기 짝이 없는 미묘한 상황을 법원이 유무죄 여부를 결정해야 하니까 동료여성직원이 엘런의 입장에 동조하며 회사가 좀 남녀차별이 있는 편이다라고 증언하는 것, 회사의 성장에 여성들이 기여한 바에 비해 마땅한 진급을 하지 못하는 회사분위기에 수긍하면서도 엘런은 성격이 내성적이라 상사입장에선 진급을 고려하는 데 소극적이었을 수 있다는 증언이라든지, 엘런이 미혼이었을 때 상사인 남자와 연인관계였다가 파토났다는 상황이라든지, 엘런이 좀 떽떽거려서 여자들이 싫어하기도 했다라든지 어찌 보면 여고생들 싸움으로 비출 법한도 한 정황을 열심히 모으고 진지하게 고민하고 그러더라고요. 그러다가 잘 나가는 테크분야의 여성CEO가 엘런의 회사는 성차별 하는 것 별로 못 느꼈다란 한 마디 해주면 기사가 쏟아지고 암튼 열기가 대단했었어요.

엘런이 Reddit의 CEO중 한 명이었거든요. 아마 커뮤니티의 전반적인 트롤발언을 제재하는 것이었던가 그걸 근절하려는 시도를 하다가 이용자들의 성토 때문에 자리에서 물러났을 거예요. 온라인에서 엄청난 악플세례를 받았는데 (아직은 많은 남성들의 주적인 듯) 그렇다고 마냥 욕만 듣는 건 아니고 남녀성문제를 제기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도 있더라고요. 이 사람의 남편이 흑인금융가인데 원래 게이였어요. 성향이 바이였는지 결혼은 엘런과 했죠. 남편에 대한 이런 저런 소문도 많은데 그건 그냥 사람들이 그런가보다하는 것 같더라고요. 순전히 그녀의 사생활이니까요(물론 악플에선 다 까발려지고 욕 듣지만). 결국 엘런은 소송에서 패했지만 대단한 이슈를 몰고 오긴 했어요.
shadowtaki
많이 배웠습니다. 생각할 것을 준 좋은 글인데 고맙다는 말 밖에 드릴게 없네요. 이런 글들을 더 자주 보고 싶습니다.
눈부심
호호 감사합니다!
제 마음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댓글이네요. 작성자님 고맙습니다.
재밌다재밌다
메리크리스마스는 어떤 맥락에서 해피 홀리데이가 되는 건지 알 수 있을까요?
눈부심
기독교신자들에게는 축성탄절이지만 보통 많은 사람들에게는 \'저마다의 이유로 노는 날\'임이 명백하니 빨간 날을 즐기는 이들을 모두 포용하기 위해 그렇게 바꾼 것 같아요.
다른 종교의 축일이기도 하고(이를테면 하누카) 크리스마스가 종교 중립적인 표현이 아니기 때문이죠.
damianhwang
이런 운동이 로마시대에 일어났다면...오늘날 라틴어 배울 때 좀 더 편했을 텐데 말입죠;;;
눈부심
프랑스어도 젠더에 따라 차이나는 단어 많던데 옛날엔 왜 그렇게 못 나눠서 안달들이었을까요 하하. 전 성경에 사람 수 셀 때 여자는 포함하지도 않았다는 거 이제 알았어요. 예수님이 수천명을 먹이고도 남을 생선과 와인(?)을 만들어 주셨다고 할 때 여자는 포함이 안 돼서 한 명은 실제 4인 가족의 가장을 의미한다고 보고 곱하기 4하면 정확하다고 하더라고요 ㅎ.
오로지
학부 시절에 his/her 에 해당하는 여/남 표기를 공식문서에 남기려고 싸웠던 기억이 나네요.
눈부심
오호 그니까 번역할 때 말씀하시는가 보아요. 글군요..
오로지
아... 아녀
과에서 MT 같은 거 갈때 \'반(反)성폭력자치규약\' 따위를 만들어서 함께 읽는 시간을 가지곤 했는데요. 예를 들면
<\'여/남\'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가진다.>
같은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었어요. 이 부분을 그냥 \'우리는\'으로 바꾸자, \'남녀\'를 괜히 \'여/남\'으로 써서 위화감을 조성한다 등의 의견이 많았죠.
사실 한국말이니까 \'우리는\'으로 써도 무방하긴 한데, 여/남으로 써서 남기는게 훨씬 많은 고민을 가능케 할 것 같아서요.
뭐... 그랬습니다 ㅠㅠㅠ
아 맞다. 저는 his/her도 아니고 her/his도 아니고 대뜸 her로 받은 경우도 봤습니다. 예전에는 당사자의 성을 알 수 없는 명사 the scientist라든가 the teacher 같으면 대표성인 his로 받았는데 그걸 her로 받더라는... 물어보니 학계나 저널에서 그렇게 쓰는 경우들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남성인지 여성인지 모를 때는 여성을 디폴트로 간주한다는.
눈부심
제가 they/their의 단수사용을 검색해봤더니 어떤 미국인이 저렇게 사용하니까 댓글에서 누가 문법오류를 수정해 주더래요. 그러면 자긴 get over it이러면서 계속 쓴다고 하더라고요 ㅎ.
새의선물
gender equality에서 gender neutral로 이동하는 중인듯 싶어요...
눈부심
오호... gender neutral. 그렇군요. 말씀하시니까 동영상 하나가 생각나는데 제가 정말 좋아하는 동영상인데 우리말로 옮기기가 참 까다로워서 가져오질 못했는데 언젠가 기회 되면 가지고 와 볼게요.
혼돈의카오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덕분에 하나 알아갑니다.
이상하게, 홍차넷을 매일들어온다고생각하는데, 추천게시판 올라오는 것을 보면 못 읽은글들이 있어서 반갑네요.
눈부심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기쁩니다!
눈부심
오호.. 역사는 짧지만 갑자기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였군요.
그래서 요즘은스튜어디스/스튜어드도 flight attendant. cabin crue(?) 로 한다고 들었어요 ㅎ
눈부심
곰곰 생각해보니 아마 crew인건가봐요. cabin crew라고도 표현하는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0 기타아들이 말을 참 잘합니다. 37 Toby 16/05/30 6797 25
198 기타커피 이야기 - Caffeine (리뉴얼버전) 15 모모스 16/04/29 6990 3
182 기타[회고록] 그 밤은 추웠고, 난 홍조를 띠었네. 4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2 6059 10
181 기타왜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않으면 안 되는가 22 Moira 16/04/08 8612 6
177 기타[空知] 녹차넷을 엽니다. 7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01 8686 9
164 기타인도네시아 이야기 28 Hitam 16/03/01 6730 11
145 기타천재 소년의 마음 속 온도 12 Darwin4078 16/01/22 7234 17
138 기타젠더와 명칭 39 눈부심 16/01/06 7798 4
136 기타신년 해돋이 6 나단 16/01/01 6419 4
117 기타연말, 연초에 선물하기 좋은 와인 30 마르코폴로 15/11/24 8770 7
107 기타베이즈 정리, 몬티홀의 문제, 삶과 죽음의 확률 27 Beer Inside 15/11/02 20832 8
92 기타세계화, 무역 그리고 전염병 12 마르코폴로 15/10/20 8923 11
80 기타gentlemen and ladies는 왜 안 되는 걸까?... 8 Neandertal 15/09/30 6388 7
75 기타소주 이야기 20 모모스 15/09/23 6593 2
41 기타하고 싶은 일이 무언지 모르겠다는 그대에게 32 ArcanumToss 15/07/08 19364 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