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3/01 20:01:00
Name   Hitam
Subject   인도네시아 이야기

안녕하세요.

홍차넷 회원님들 히땀입니다.
취업준비를 하며 간간히 들리는 홍차넷에 인도네시아에 대해 써보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비록 글재주가 없어 주절주절 빙빙 돌아가는 이야기가 되겠지만 혹시나 지인분들과 인도네시아에 여행가시면
잠깐의 이야기로 활용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고등학교때 C언어와 자바를 배우면서 선생님께서 들려주신 이야기가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 당시 선생님께서 자바를 설명하시면서 자바개발진이 자바산 커피를 좋아했다고 해서 자바라고 붙였다는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진실인지 아닌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만 자바산 커피는 인도네시아의 자바섬(Pulau Jawa)에서 생산됩니다.
즉 자바커피를 좋아한 개발진이 자바 프로그래밍언어를 개발했다는....죄송합니다...

먼저 들어가기 전에 제가 인도네시아어를 배웠다고 말하면 항상 듣는 질문이 크게
1. 인도네시아가 어디냐?
2. 거기 인도아니냐?
크게 이 두 질문을 많이 듣습니다. 첫번째 질문에 답하기 전에 항상 저는 발리섬에 대해 먼저 설명합니다.
한국에서 발리섬이라 하면 '발리에서 생긴일-feat.조인성', '신혼여행의 여행지' 이렇게 크게 두 가지로 많이 알고 있습니다.(순전히 제 경험입니다.)
정확히는 자바섬(Pulau JAVA)에 위치한 자카르타(수도)에서 서쪽으로 약 3시간(정확하지 않습니다)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섬입니다.
또한 한국에서 신혼여행지와 휴양지로 매우 인기가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실 저는 발리보다는 발리 옆에 있는 롬복섬을 더욱 추천드립니다. 발리가 북적북적한 휴양지라면 롬복은 정말 조용하고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휴양지 인것 같습니다. 재미있던 사실은 외국인들은 롬복섬을 잘 알고 많이 가지만 의외로 한국인들은 발리를 좋아하고 잘 알고 계시더라구요.) 
이렇게 설명하면 '발리는 인도네시아에 있구나' 라고 이해합니다. 하하하.. 
많은 분들이 발리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기에 이게 가장 쉽게 설명하는 인도네시아가 아닐까라고 생각합니다.

두번째 질문인 '인도 아니냐?' 라는 대답에 대해서는
인도는 'India'(인디아/힌디아)라고 불리며 인도네시아는 'Indonesia'(인도네시아)로 표기됩니다. 
'인도네시아'단어속에 '인도' 때문에 많이들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아마 Indo+nesia가 합쳐져 생긴 단어인 것 같습니다.
nesia는 어느나라 언어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군도라는 뜻을 포함합니다. 즉, 인도네시아는 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인도라는 뜻이 됩니다.
많은 섬들로 이루어진 국가답게 세계에서 최고로 많은 섬을 보유한 국가입니다. 약 18000여개가 넘는 섬들로 이루어진 국가이고 
이 때문에 해상과 공중교통이 매우 발달 되어 있는 국가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간략하게 인도네시아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크게 세계 인구 4위, 18000개의 섬, 300개가 넘는 종족, 최대의 이슬람 국가로 설명이 됩니다.

인도네시아의 공식명칭은  Republik Indonesia 입니다.  
인도네시아는 한국에서 서남쪽으로 약 7~8시간 정도 떨어진 국가이고 무려 인구가 세계 4위입니다. 
공식적으로는 약 2억 6천만이라는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산간지방이나 열대우림속에 아직 확인 안된 종족 혹은 인구를 파악한다면 3억에 달할지도 모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아마 동남아시아에서 제일 폭발적인 인구증가가 일어나는 곳이 인도네시아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압도적인 인구수로 동남아시아에서 강력한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웃나라와의 관계는 가장 사이가 안좋은 국가로는 말레이시아를 들 수 있습니다. 아마 한국이 일본이나 중국을 싫어하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인기 있는 스포츠인 축구를 설명하자면 인도네시아vs말레이시아 경기가 시작되면 모두 TV앞에 모여 축구를 보고 이기는 날에는 광란의 밤이 시작됩니다... 거리에 오토바이가 모여 빵빵 경적을 울리며 광란의 질주를 시작합니다.
또한 건국 당시 영토설정의 문제와 말레이시아에서 일하는 인도네시아인의 처우 문제 등 다양한 문제와 
몇년전 산림화재로 인해 연기가 말레이시아와 싱가폴까지 날아가 굉장히 날카로운 비방이 오고간 적도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를 이루는 국가 구성원은 종족으로 분류합니다. 수마트라족, 아쩨족, 자바족, 순다족 등 약 300개가 넘는 종족이 있습니다. 아직 미확인된 종족이 존재하고 이를 확인한다면 앞으로 더욱 늘어나리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에 공식어Bahasa Indonesia(바하사 인도네시아)가 존재합니다. 
각 종족의 고유언어인 수마트라어, 다약어, 자바어, 순다어 등 굉장히 많기에 각 종족의 종족어와 공식어로 나뉩니다.
심지어 종족어로 인해 같은 인도네시아인이라도 의사소통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크게 종족어를 배우고 공식어를 배워 인도네시아인들은 두가지 언어를 배웁니다.
대부분의 인도네시아인들이 공식어인 바하사 인도네시아를 배우기에 의사소통은 문제없지만 
간간히 나이가 많으신 어르신들의 경우 의사소통이 안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공식적인 종교는 이슬람, 불교, 유교, 카톨릭 그리고 기독교 및 기타(토테미즘/애니미즘)가 존재하지만 압도적으로 이슬람이 우세합니다. 약 인구의 90%가 무슬림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인도네시아의 주민등록증에는 종교가 표시됩니다. 그러니까 공식적으로는 모든 인구가 종교를 가지고 있는 국가가 됩니다. 그래서 종교가 없는 사람에 대해 굉장히 신기하고 놀라워합니다. 인도네시아 교환학생 시절 당시 종교를 물어보는 인도네시아 친구들에게 무교라고 했다가 어떻게 그럴수가 있냐고 신을 믿어야 한다며 이슬람에 귀의하라고 강력하게 설득당했던 적이 있습니다.

종교에 대해 잠깐 이야기하자면 인도네시아 역사에 이슬람이 등장하게 된 계기는 인도네시아 서쪽에 위치한 수마트라섬 아쩨주에서 시작됩니다. 이슬람이 인도네시아에서 전파된 계기는 14세기 아랍과의 무역으로 시작됩니다.  
이러한 아랍과의 무역으로 인해 최초로 이슬람이 인도네시아에 들어오게 됩니다.  인도네시아 서쪽에 위치한 수마트라섬에 아쩨왕국에서 이슬람을 왕국종교로 선택하게 됩니다. 채택하게 된 계기는 강력한 왕권확립 및 왕을 '하늘이 보내준 사신'이라는 명목을 강화하기 위해 선택하게 됩니다.
즉 아쩨왕국의 왕이 자신을 '선지자'로 칭하게 되어 인도네시아에서 이슬람은 시작되게 됩니다..


계속....


ps-
저도 학부생으로 배운지라 많이 모자릅니다 허허.. 그저 간단한 이야기로만 들어주세요 히히..
궁금한데 이미지 삽입은 어떻게 하나요?? 
글 사이에 그림도 넣고 싶은데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3-13 15:50)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1
  • 인도네시아 매력쩝니다
  • 인도네시아 전문가라니!
  • 재밌네요...!!
이 게시판에 등록된 Hitam님의 최근 게시물


givemecake
인도네시아 참 멋진 나라죠.
몽골군의 침략이 있던 13세기, 인도네시아의 한 유력자는 몽골군을 이용해 자신의 정적을 쳐부수게 한 후 그 몽골군을 기습해 어부지리를 취하고.....
헛... 역사책에서 언뜻 봤던 인도네시아 역사를 아시다니...
인도네시아 고대사를 배우며 몽골군이 여기까지 내려온걸 보고 새삼 몽골의 대단함을 다시 느꼈던 적이 있습니다. 히히..
Beer Inside
보르네오섬을 말레이시아와 나누어가지고 있으니 사이가 좋을리가....

태국에서 만난 인도네시아인은 발리에서 쇼핑하러 방콕에 왔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발리에는 백화점이 없나? 같은 생각을 하기도...
사실 말레이시아인과 인도네시아인은 믈라유인에서 파생된 같은 혈통의 나라임에도 불구하도
자신들이 믈라유인의 정통 계승자라던가 역사에 대해 자존심이 강한것 같아요..
방콕까지 쇼핑하러 간건 저도 의외긴하네요..
발리에선 라코스테가 저렴합니다! 폴로나!
세계구조
인니가 인구 4위인건 처음 알았네요. 크구나...
네 인구수를 바탕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맹주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작년인가 제작년인가 헷갈리는데 한국 gdp 순위 바로 밑에 위치해 있었는데
지금 다시 확인해보니 16위로 내려갔네요. 히히
인도네시아 인구가 많은 섬나라로 알고 있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저는 말레이시아랑 인도네시아 헷갈려서... 그쪽 사람이 보면 무척 기분 나빠하겠죠네요;
아마도.. 그럴 것 같습니다만.. 사실 저도 말레이시아인이나 인니인을 처음봐서는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ㅠㅠ..
이상하게 저는 동남아시아인을 잘 구별 못 하겠어요. 교환학생 시절 당시 인니친구들은 어느 국가 사람인지 딱딱 맞추는데
저는 다 비슷비슷하게 느껴져서...
April_fool
글 사이에 이미지 삽입은 HTML 태그를 넣어야 합니다.
예시 :
<img src=\"http://img주소.com/이미지파일.jpg\" width=\"640\" />
요렇게 해도 되고 홍차넷에서는 아래처럼 본문안에 이미지 주소만 써도 자동으로 변환됩니다.
http://img주소.com/이미지파일.jpg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그림도 같이 올릴게요!
기아트윈스
누가 \"나는 Indo에서 왔어\" 그래서 인도인줄 알았더니 인도네시아더군요. 영어 표기로는 인도네시아는 Indo, 인도는 India.

헷갈헷갈...@_@
히히.. 사실 관심이 덜한 분들에겐 정말 어렵습니다. 저도 배우기 전까지는 헷갈렸던 적이..
인니는 베네딕트 앤더슨의 정신의 고향, 상상의 공동체가 태어난 좋은 나라입니다 히히
그러고보니 자바 아이콘이 커피군요 그렇군요! 자바산 커피에서 따온 게 맞는지도 모르겠어요.
선생님께서도 자바아이콘을 보여주시면서 이야기를 해주신거라 히히..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wish burn
나라 크기에 비하면 인지도가 엄청 낮은 나라죠.
우리나라랑 비슷한 정치역사를 지녔고,코린도 그룹(한국인이 세운 인도네시아 기업인데 재계 상위권이랍니다)이란 흥미로운 회사도 있다던데..
오! 코린도를 아시다니!
정치 역시 한국과 비슷합니다. 일본에게서 독립한 것도 똑같고 사실 독립한 날짜도 똑같지만 네덜란드의 간섭으로 약 3년정도 공식독립일이
늦춰졌습니다.
코린도는 Korea+Indonesia 합쳐서 코린도라고 부릅니다!
인도네시아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굉장히 좋은 기업입니다!
givemecake
코린도 아직도 팜유 하나요?
류세라
메리츠하고 관련 있지 않나요? 저희 아버님이 메리츠그룹 인도네시아 지점장을 하셨다가 5년 임기 마치고 2주전에 돌아오셨는데..
자카르타에서 아버지 사무실에 갔었는데 코린도와 메리츠 뭐시기라고 써 있더라구요.
Dr.Pepper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뭐, 가본 건 자카르타랑 발리가 전부지만..
음식이 정말 맛있고 다양한 종교에서 비롯된 버라이어티한 문화/예술도 정말 멋진 나라 중에 하나입니다.

내년 여름 휴가 목표는 롬복이지만 롬복으로 가기가 애매해서 고민 중입니다.ㅠ

다음 번엔 음식 얘기도 많이 해주세요!
나시고랭/미고랭만 있는게 아니라 사테나 른당이나 템페같은 정말 맛있는 요리들이 많습니다!
아 또 먹부림하러 가고 싶네요 -
사실 나시고랭이 우리 말로 바꾸자면 볶음밥이지요.

나시 = 밥, 고랭 = 볶음 이거든요 ㅎㅎ
미고랭의 미는 면 이라는 뜻입니다.
April_fool
과연, 볶음밥/볶음면 요리인 것이로군요.
Dr.Pepper
네 저도 알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인도네시아 음식의 이름이 주재료명+조리법형태입니다.
나시짬뿌르 -> 쌀+비빔 -> 직역하면 비빔밥인데 밥 옆에 여러 고명이나 사테 같은 꼬치 들을 얹어주는 형태의 음식입니다.
아얌고랭 -> 닭+볶음 -> 치킨!!과 유사한 형태의 닭 튀김입니다.
소또아얌->국물+닭 -> 닭으로 만든 스프형태의 음식입니다.
아얌고랭도 맛있고 가도가도라는 샐러드도 참 맛있습니다.

아 또 가서 막 먹고싶네요ㅠ
핫 사떼나 른당 뗌뻬를 아시다니!!

인도네시아친구가 이야기 해주기로 몇년전에 페이스북에서 가장 맛있는 세계음식으로 사떼인가... 른당인가가 꼽혔다고 해준적이 있습니다.
저는 그 특유의 감칠맛과 향신료가 좋더라구요. 처음에는 적응하기가 굉장히 힘들었는데 먹으면 먹을수록 뭔가 오묘한 맛이 입안에 감도는..
가도가도는 먹으면 먹을수록 땅콩맛이나서 뭔가 땅콩샐러드 먹는것같기도하고 아닌것같기도 하면서 고소한맛이..
가도가도에 면을 비벼먹으면 참 맛있더라구요
히히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Dr.Pepper
CNN인터내셔널인가? 거기서 선정한 TOP50 중에 1위가 른당 3위가 나시고랭이었나 했을겁니다.
이번에 발리 여행갔다가 마트에서 가도가도랑 사테용 땅콩소스 사와서 집에서 해먹고 있습니다.

빈땅과 사떼라면 진짜 행복함을 느낄 수 있는 조합이죠! ㅋㅋ
우와 완전 새로운 글이네요. 얼른 다음 글!
히히 감사합니다. 최대한 빠르게 다음글 올리겠습니다!
류세라
아버지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보험회사 지부장이셔서 자카르타만 3번 가봤습니다.
자카르타만 따지자면 혼자 돌아다니고 하기엔 지하철도 없어서 돌아다니기 힘들고, 항상 교통체증이 심하지만,
사람들이 굉장히 친절하며, 물가가 저렴한 나라입니다.

주로 쇼핑몰을 많이 갔었는데, 역시 명품은 비싸다였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8 기타커피 이야기 - Caffeine (리뉴얼버전) 15 모모스 16/04/29 6977 3
182 기타[회고록] 그 밤은 추웠고, 난 홍조를 띠었네. 4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2 6043 10
181 기타왜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않으면 안 되는가 22 Moira 16/04/08 8601 6
177 기타[空知] 녹차넷을 엽니다. 7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01 8670 9
164 기타인도네시아 이야기 28 Hitam 16/03/01 6713 11
145 기타천재 소년의 마음 속 온도 12 Darwin4078 16/01/22 7220 17
138 기타젠더와 명칭 39 눈부심 16/01/06 7784 4
136 기타신년 해돋이 6 나단 16/01/01 6405 4
117 기타연말, 연초에 선물하기 좋은 와인 30 마르코폴로 15/11/24 8750 7
107 기타베이즈 정리, 몬티홀의 문제, 삶과 죽음의 확률 27 Beer Inside 15/11/02 20817 8
92 기타세계화, 무역 그리고 전염병 12 마르코폴로 15/10/20 8906 11
80 기타gentlemen and ladies는 왜 안 되는 걸까?... 8 Neandertal 15/09/30 6373 7
75 기타소주 이야기 20 모모스 15/09/23 6581 2
41 기타하고 싶은 일이 무언지 모르겠다는 그대에게 32 ArcanumToss 15/07/08 19351 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