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23/03/28 22:07:37 |
Name | 카르스 |
Subject | 미국 이민가도 지속되는 동아시아인의 저출산 패턴 |
흔히 동북아시아의 초저출산의 원인을 이야기할 때 여러 사회구조적, 문화적 문제를 거론합니다. 고학력화, 청년 실업과 불안정한 노동시장, 높은 집값, 낮은 아동 및 보육복지 수준, 집단주의적 문화, 시대에 뒤떨어진 젠더 및 가족규범, 낮은 행복도 등등... 틀린 지적은 아닙니다만, 이 이론엔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커뮤니티에 많이 돌아다녀서 아실 분들도 많을 텐데, 출산율이 높을만한 사회구조와 문화를 가진, 그리고 실제로 높은 미국에 가서도 동아시아인들은 아이를 적게 낳거든요. 단순히 초저출산이 사회구조나 문화의 문제라면, 초저출산을 불러일으킬 원인이 줄어든 나라에 이민가서도 비슷한 패턴인 게 설명되지 않습니다. 커뮤니티에 돌아다니는 버전은 아이를 적게 낳는다만 강조되었는데, 동아시아 출신의 출산 패턴은 단순히 아이를 적게 낳는 것 이상으로 특이합니다. 출산 시점이 꽤나 늦고, 비혼 출산이 매우 드물고, 사회계층 지위와 출산율 간의 특이한 관계 등 전반적인 출산 패턴이 동아시아 국가들과 흡사합니다. Cai and Morgan (2019)는 이를 논문에서 보입니다. 저자는 동아시아 출신인 한국/일본/중국계 미국인을 CJK로 묶고, 출산율과 전반적인 출산 패턴을 백인/히스패닉계/흑인/기타 인종인 미국인들과 비교했습니다. ![]() 2000-2015년의 인종별 출산율 추이. 그 결과는 타 인종에 비해 확실히 낮은 동아시아계 미국인의 출산율입니다. 2000-2015년 기준으로 동아시아계는 1.5 전후의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백인은 물론이고 다른 미국의 주요 인종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입니다. 지금(2020년대 초반)의 동아시아 국가들보다는 현저하게 높은 출산율이지만, '2000-2015년 동일시점으로' 비교하자면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수준에 불과합니다. ![]() 연령별 출산율 분포. 동아시아계 미국인은 단순히 출산율만 낮은 게 아니라, 아이를 매우 늦게 낳는 특이성도 관찰됩니다. 다른 인종들은 20대 전반 혹은 후반에 출산을 제일 많이 하는데(20대 후반과 30대 전반이 비슷한 타 인종들Others는 예외), 동아시아계는 출산을 30대 전반에서 제일 많이 하고 심지어 20대 후반보다 30대 후반에서 출산이 더 많습니다. 특히 20대까지의 출산율이 이례적으로 낮아, 연령별 출산율 분포를 그리면 아예 다른 인종과 따로 그려지는 수준입니다. 저자에 따르면 동아시아계 미국인의 평균 출산 연령은 34세인데, 이는 미국인 평균보다 5세, 미국 백인보다 4세 많은 것이며 다른 인종과는 차이가 더 크다고 합니다. 실제로 평균 34세라는 출산 연령은 한국 일본 대만 등 선진 동아시아 지역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인과관계인지는 애매하지만 '출산을 늦게 할수록 아이를 적게 낳는다'는 잘 알려진 상관관계를 감안하면, 자연스러운 결론일지 모릅니다. ![]() 기혼 출산 비율. 비혼 출산 비율은 1에서 이 수치를 빼야 합니다. 동아시아계는 비혼 출산이 드문 패턴도 관찰됩니다. 백인의 비혼 출산은 전체 출산의 30%가 조금 안 되며, 흑인은 70%에 가까운데, 동아시아계의 비혼 출산은 대체적으로 10% 전후에 그칩니다. 그래도 5%도 안 되는 모국들보단 높지만, 미국 평균은 물론이고 타 인종들에 비해 현저하게 낮습니다. ![]() 연령별 누적 자녀 수. 이러한 독특한 출산 패턴은 연령별 누적 자녀수를 볼 때 더 확실히 보입니다. 출처를 지금까지 데이터들과 다른 걸 썼는데도 비슷한 결과가 나옵니다. 30세 전반까지는 동아시아인들의 자녀 수가 현저하게 적고, 동아시아인들이 출산을 늦게 실현하면서 40대 전반에는 차이가 좁혀지지만 여전히 타 인종들에 비해 적은 자녀 수를 보입니다. ![]() 인종과 사회경제적 특성별 출산율. 성인 되어서 미국으로 이주한 1세대 미국인들은 모국에서 오래 자랐기에 모국 출산패턴의 영향을 피할 수 없다는 주장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러려면 출산율 격차는 1세대 이민자에게만 관찰됐어야 합니다. 미국에서 태어난 2세대 이민자이거나, 집에서 영어를 쓰는 등 미국 사회에 동화가 많이 된 이민자들에서도 출산율의 타 인종과의 격차가 관찰됩니다. 아시아계의 사회계층적 지위가 이질적이라 생기는 문제도 아닙니다. 학력과 무관하게 동아시아계는 타 인종보다 돋보이게 출산율이 낮았거든요. 또 하나 말하자면, 동아시아계는 유독 학력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낮아지는 경향성이 약하게 나타났고, 심지어 소득의 경우 동아시아계는 예외적으로 소득이 높아질수록 출산율이 높아져 다른 인종들과 정반대의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그래서 타 인종은 제일 소득이 낮은 계층에서 출산율이 제일 높았는데, 동아시아계는 거꾸로 그 계층에서 제일 낮았습니다. 잘 알려진 사회경제적 지위와 출산율 간의 (-) 상관관계가 동아시아계에서는 약하거나 거꾸로 나타나는 셈입니다. (-) 상관관계가 예전처럼 항상 성립하지는 않습니다만(Doepke et al., 2022) 그럼에도 이 정도 패턴 차이는 이례적이지요. 사실 이것들은 동아시아 본국에서도 나타나는 패턴인데 이민 가서도 유지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다룬 동북아시아 이민자의 독특한 출산 패턴은 사실 문화 경제학 트렌드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이상할 게 없습니다. 이민자들은 이민 갈 시점의 자국 문화를 그대로 이민국에 가져와 유지하고, 이를 자녀에게 (최소한 어느 정도) 물려줍니다. 출산 패턴도 예외는 아니겠지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사점을 던집니다. 2000-2015년 기준이면 과거에 동북아시아가 출산율이 높고 혼인 연령이 낮을 시절에 미국으로 이민 온 동아시아인(특히 한국계와 중국계)들도 많이 포함할 텐데, 이들조차 저출산과 늦은 출산으로 유도하는 동아시아의 문화라니. 동아시아는 고소득 환경에선 극심한 저출산을 겪을 수밖에 없는 운명인가. 2세대 이민자들도 유지하는 동북아시아의 저출산 패턴이 과연 본국에서 개선이 가능할지, 그리고 서구의 출산 장려정책이 동아시아에서도 같은 효과를 낼지 많은 고민을 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서 동아시아는 단순히 출산율이 낮은 걸 넘어서, 늦은 출산 연령과 낮은 비혼 출산,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와 출산율 간의 특이한 관계 등 출산 패턴 전체가 튀는 게 확인되었습니다. 그렇기에 동아시아 저출산의 퍼즐을 풀려면 단순히 1) 낮은 출산율에 주목하는 걸 넘어 2) 늦은 출산 연령 3)낮은 비혼 출산 4)사회경제적 지위와 출산율 간의 특이한 관계 이 네가지를 동시에 설명하는 동북아 문화의 특수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보다 다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봅니다. 출처: Cai, Y., Morgan, S.P. Persistent low fertility among the East Asia descendants in the United States: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China popul. dev. stud. 2, 384–400 (2019). https://doi.org/10.1007/s42379-019-00024-7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04-11 07:4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6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르스님의 최근 게시물
|
MMORPG에 비유해서 설명하는 얘기가 저한텐 정말 와닿더라고요. 게임인데도 1스탯이라도 낭비 안 하고 스킬 트리 최적화 안 할 거면 아예 시도조차 안 하려고 하는. 갈수록 그 현상이 심해진다고 보이거든요.
기회의 땅인 미국으로 이민 간 동아시아인들은 현지인보다 본인의 능력으로 자수성가하려는 상승지향적인 욕구가 더 있을 듯하고, 자연스레 어느 정도 기반이 갖춰진 상태에서 결혼하고 출산하려 할 것이고, (만혼에 노산) 자식에게도 부모들이 생각하는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려고 할 것이고. 그러면 한 아이에게 몰빵하는 게 더 효율적이고 등등등...이 복합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기회의 땅인 미국으로 이민 간 동아시아인들은 현지인보다 본인의 능력으로 자수성가하려는 상승지향적인 욕구가 더 있을 듯하고, 자연스레 어느 정도 기반이 갖춰진 상태에서 결혼하고 출산하려 할 것이고, (만혼에 노산) 자식에게도 부모들이 생각하는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려고 할 것이고. 그러면 한 아이에게 몰빵하는 게 더 효율적이고 등등등...이 복합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향성 측면에서 자식에게도 비슷한 수준의 기회를 제공하려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을 테고요. 부모들 자신이 겪어온 것을 토대로 육아를 생각할 테니 그동안의 고생(?)을 당연히 고려할 수밖에 없고 조금이라도 더 최적화해서 시작하게 해주고 싶고 의식 자체가 변화하지 않는 이상 그런 현상이 달라질 리가요.
가뜩이나 교육비도 비싼데 제도권 교육을 다 마치고 나면 자녀들 또한 연령도 높아질 테니 상황은 계속 대물림 되겠죠.
가뜩이나 교육비도 비싼데 제도권 교육을 다 마치고 나면 자녀들 또한 연령도 높아질 테니 상황은 계속 대물림 되겠죠.
다른 데서도 누군가 비슷하게 말한 것 같은데 자식을 낳고 키우는 과정에 관한 필수 통과지점이 너무 많습니다. 인종과 소득을 가리지 않고, 이성적 관점에서 개인 성취를 바란다면 당연한 귀결입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자식이란 합당한 배우자를 만나 합당한 식을 올리고 합당한 방식으로 낳은 자식만 인정하는데 그걸 충실히 이행한다면 산출물이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부분 때문에 아무리 삶의 질을 개선 정책을 추진하더라도 출산율이 오르지 않습니다. 아니 1인 가구나 여성 인권을 증진하는 것이 출산율과는 어떤 관련도 없습니다. 국가 내 개인의 삶이 나아지더라도 상대적 위치는 동일하고, 자연스레 배우자 선택이나 개인 성취에 부과되는 압력은 여전히 동일하니까요.
이런 부분 때문에 아무리 삶의 질을 개선 정책을 추진하더라도 출산율이 오르지 않습니다. 아니 1인 가구나 여성 인권을 증진하는 것이 출산율과는 어떤 관련도 없습니다. 국가 내 개인의 삶이 나아지더라도 상대적 위치는 동일하고, 자연스레 배우자 선택이나 개인 성취에 부과되는 압력은 여전히 동일하니까요.
오레오// 동북아시아에서 삶의 질을 높여야 할 여지가 많지만, 불완전하게나마 개선되온 부분이 많지요. 다만 통과지점이 많아서 준비된 출산만 하는 문화가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아동 빈곤율을 낮추고 인적자본 수준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지요. 그 장점이 출산율 저하라는 단점보다 작아서 문제.
Iowa// 결혼 자체의 계층화와 상류집단 전유물화는 서구권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출산이 문제죠.
Iowa// 결혼 자체의 계층화와 상류집단 전유물화는 서구권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출산이 문제죠.
네, 이것이 상당히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덕분에 많은 어린이들의 경우 사실상 집안의 정수(에센스)처럼 자라나고 있기도 하고요. 다만, 오히려 그런 것 때문에 출산율 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의 생산성도 저하시키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그래서 저출산의 근본적인 원인을 집이니 돈이니 하는 것보다 이 문화권 내 구성원들의 인식 체계에서 찾는 것입니다. 동북아권 자체 특성이 있고, 거기에 제 의견으로 극도의 황금만능주의, 경쟁만능주의와 같은 한국 고유의 특징이 근본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해결해야할 문제로 보기 때문에 문제인것 아닐까요?
Chat GPT의 등장으로 인간 노동력의 효용성 자체가 다시 생각되어야 할것 같습니다
Chat GPT의 등장으로 인간 노동력의 효용성 자체가 다시 생각되어야 할것 같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미국에서 살면서 동아시아(일본,중국) 동남아시아(베트남, 대만) 친구들이랑 어울리면서 공통적으로(백인, 흑인들한테)
많이 듣는 이야기가, 아시아인들은 실제 나이보다 너무 어려보인다인데, 그런 것도 영향이 있을 거 같네요.
(20후반이나 30이 넘어도 주류 구매 나이 21세 보다 어려보이거나 애매해보여서, 신분증 검사하는 걸 아시아 친구들은
대부분 겪더라구요. 기본 -5~-10세 어려보이는 패시브가 있는듯;;;)
실제 나이를 묻는 문화도 아니니, 보이는 나이가 중요한데 같은 아시아인이 아니면 전세계 ... 더 보기
미국에서 살면서 동아시아(일본,중국) 동남아시아(베트남, 대만) 친구들이랑 어울리면서 공통적으로(백인, 흑인들한테)
많이 듣는 이야기가, 아시아인들은 실제 나이보다 너무 어려보인다인데, 그런 것도 영향이 있을 거 같네요.
(20후반이나 30이 넘어도 주류 구매 나이 21세 보다 어려보이거나 애매해보여서, 신분증 검사하는 걸 아시아 친구들은
대부분 겪더라구요. 기본 -5~-10세 어려보이는 패시브가 있는듯;;;)
실제 나이를 묻는 문화도 아니니, 보이는 나이가 중요한데 같은 아시아인이 아니면 전세계 ... 더 보기
좋은 글 감사합니다.
미국에서 살면서 동아시아(일본,중국) 동남아시아(베트남, 대만) 친구들이랑 어울리면서 공통적으로(백인, 흑인들한테)
많이 듣는 이야기가, 아시아인들은 실제 나이보다 너무 어려보인다인데, 그런 것도 영향이 있을 거 같네요.
(20후반이나 30이 넘어도 주류 구매 나이 21세 보다 어려보이거나 애매해보여서, 신분증 검사하는 걸 아시아 친구들은
대부분 겪더라구요. 기본 -5~-10세 어려보이는 패시브가 있는듯;;;)
실제 나이를 묻는 문화도 아니니, 보이는 나이가 중요한데 같은 아시아인이 아니면 전세계 어딜 다녀도,
다른 인종에게내놔도 어려보이는 게 제 나이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더라구요. 30넘어도, 나 20초중반으로
보이니, 컬리지 다니는 20초반 친구들이랑 밤새 술 먹고 놀고, 같은 아시안 친구들하고만 노는 게 아니면
백인친구들이랑은 나이를 잊고 -5살 정도로 행동하고 놀게 되더라구요. (개인적인 경험이라 편협한 시야긴 하네요 ㅋㅋ)
짤방은 옛날에 레딧에서 유행하던 아시안 에이징 프로세스 ㅋㅋ;
미국에서 살면서 동아시아(일본,중국) 동남아시아(베트남, 대만) 친구들이랑 어울리면서 공통적으로(백인, 흑인들한테)
많이 듣는 이야기가, 아시아인들은 실제 나이보다 너무 어려보인다인데, 그런 것도 영향이 있을 거 같네요.
(20후반이나 30이 넘어도 주류 구매 나이 21세 보다 어려보이거나 애매해보여서, 신분증 검사하는 걸 아시아 친구들은
대부분 겪더라구요. 기본 -5~-10세 어려보이는 패시브가 있는듯;;;)
실제 나이를 묻는 문화도 아니니, 보이는 나이가 중요한데 같은 아시아인이 아니면 전세계 어딜 다녀도,
다른 인종에게내놔도 어려보이는 게 제 나이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더라구요. 30넘어도, 나 20초중반으로
보이니, 컬리지 다니는 20초반 친구들이랑 밤새 술 먹고 놀고, 같은 아시안 친구들하고만 노는 게 아니면
백인친구들이랑은 나이를 잊고 -5살 정도로 행동하고 놀게 되더라구요. (개인적인 경험이라 편협한 시야긴 하네요 ㅋㅋ)
짤방은 옛날에 레딧에서 유행하던 아시안 에이징 프로세스 ㅋㅋ;
반대로 히스패닉과 흑인은 어찌 이른 나이에 많은 아이를 낳는지 궁금하네요.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건지, 아이들은 자기 밥그릇은 갖고 태어난다 생각하는 건지.
저희 부모님 세대 분들도 아이가 7명 안팎은 기본이긴 하셨던 것 같아요. 그 중 일부는 영아 때 사망하고..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건지, 아이들은 자기 밥그릇은 갖고 태어난다 생각하는 건지.
저희 부모님 세대 분들도 아이가 7명 안팎은 기본이긴 하셨던 것 같아요. 그 중 일부는 영아 때 사망하고..
미국에서 산지 10년쯤 되어가고 이민 1세대가 될지 한국으로 돌아갈진 모르지만 제가 관찰한 바에 의하면,
미국에서 동아시아 사람들의 생활 수준과 양식은 다른 인종의 그것들에 비해 굉장히 균일한 편입니다. 중산층-미국은 중산층의 스펙트럼이 한국에 비해 넓지만-에 전문직이 많은 것을 쉽게 볼 수 있죠. 중산층에 전문직이라는 것은 20-30대의 일부를 더 나은 커리어에 투자했다는 뜻이고 위 자료에서도 볼 수 있지만 다자녀를 갖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답이 되기도 합니다. 미국 스테레오 타입으로 동양인 부모가 자녀들을 의사나 변호사 ... 더 보기
미국에서 동아시아 사람들의 생활 수준과 양식은 다른 인종의 그것들에 비해 굉장히 균일한 편입니다. 중산층-미국은 중산층의 스펙트럼이 한국에 비해 넓지만-에 전문직이 많은 것을 쉽게 볼 수 있죠. 중산층에 전문직이라는 것은 20-30대의 일부를 더 나은 커리어에 투자했다는 뜻이고 위 자료에서도 볼 수 있지만 다자녀를 갖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답이 되기도 합니다. 미국 스테레오 타입으로 동양인 부모가 자녀들을 의사나 변호사 ... 더 보기
미국에서 산지 10년쯤 되어가고 이민 1세대가 될지 한국으로 돌아갈진 모르지만 제가 관찰한 바에 의하면,
미국에서 동아시아 사람들의 생활 수준과 양식은 다른 인종의 그것들에 비해 굉장히 균일한 편입니다. 중산층-미국은 중산층의 스펙트럼이 한국에 비해 넓지만-에 전문직이 많은 것을 쉽게 볼 수 있죠. 중산층에 전문직이라는 것은 20-30대의 일부를 더 나은 커리어에 투자했다는 뜻이고 위 자료에서도 볼 수 있지만 다자녀를 갖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답이 되기도 합니다. 미국 스테레오 타입으로 동양인 부모가 자녀들을 의사나 변호사 만들고 싶어하는거 뭐 그런거 생각하셔도 크게 틀리진 않습니다.
다만 이건 현상이고 그럼 왜 동양인 부모는 자녀에게 전문직을 원하며 그것이 대물림되는가를 알아야 하는데.. 뭐 학술적 설명은 모르겠으나 한국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이니 대충은 어떤 느낌인지 다들 아실거고. 또 미국이란 나라에서 아시안은 2세라도 인종적 소수자로 살아야하며, 불확실의 스펙트럼이 큰 나라다보니 그렇다라고 이야기 할 수 있겠네요. 변호사, 의사가 된다고 많은 경우 미국식 부자로 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에 반해 별 볼일 없는 커리어 혹은, 커리어라는 것이 없었을때의 삶은 기본적인 사회보장에서도 벗어나게되며 거기에 인종적 최약자인 아시아인으로 살게 되니까요. 자식 못되는 꼴 못보는 우리 멘탈리티로는 자식의 그런 삶을 받아들이기 힘들고 최대한 안그렇게 되게 노력하게 되죠. 노력과 시간에 비해 저런 전문직이 가치가 있는가? 는 모르겠으나 어쨌든 시간들여서 공부하면 못될것도 없는 직종에 안정적인 페이첵이 나오니까.
미국에서 동아시아 사람들의 생활 수준과 양식은 다른 인종의 그것들에 비해 굉장히 균일한 편입니다. 중산층-미국은 중산층의 스펙트럼이 한국에 비해 넓지만-에 전문직이 많은 것을 쉽게 볼 수 있죠. 중산층에 전문직이라는 것은 20-30대의 일부를 더 나은 커리어에 투자했다는 뜻이고 위 자료에서도 볼 수 있지만 다자녀를 갖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답이 되기도 합니다. 미국 스테레오 타입으로 동양인 부모가 자녀들을 의사나 변호사 만들고 싶어하는거 뭐 그런거 생각하셔도 크게 틀리진 않습니다.
다만 이건 현상이고 그럼 왜 동양인 부모는 자녀에게 전문직을 원하며 그것이 대물림되는가를 알아야 하는데.. 뭐 학술적 설명은 모르겠으나 한국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이니 대충은 어떤 느낌인지 다들 아실거고. 또 미국이란 나라에서 아시안은 2세라도 인종적 소수자로 살아야하며, 불확실의 스펙트럼이 큰 나라다보니 그렇다라고 이야기 할 수 있겠네요. 변호사, 의사가 된다고 많은 경우 미국식 부자로 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에 반해 별 볼일 없는 커리어 혹은, 커리어라는 것이 없었을때의 삶은 기본적인 사회보장에서도 벗어나게되며 거기에 인종적 최약자인 아시아인으로 살게 되니까요. 자식 못되는 꼴 못보는 우리 멘탈리티로는 자식의 그런 삶을 받아들이기 힘들고 최대한 안그렇게 되게 노력하게 되죠. 노력과 시간에 비해 저런 전문직이 가치가 있는가? 는 모르겠으나 어쨌든 시간들여서 공부하면 못될것도 없는 직종에 안정적인 페이첵이 나오니까.
인종별로 직업 분포도 그래프도 함께 있어야 더 설득력이 있지 않을까요? 일례로 고소득 전문직(변호사, VC, 엔지니어)가 많은 실리콘밸리에서는 출산이 꽤 늦는걸로 알고 있어요
사회적으로 자리잡는 과정에서 빌드업에 더 투자하고 오래하는 추세는 관련이 없을까요.
제 조카도 어릴때 이민갔는데 결혼 적령기 임에도. 아직 생각 없답니다.
어느정도 위치 달할때 까지 열심히 빌드업에 바쁠 뿐.
제 조카도 어릴때 이민갔는데 결혼 적령기 임에도. 아직 생각 없답니다.
어느정도 위치 달할때 까지 열심히 빌드업에 바쁠 뿐.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