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24/03/26 12:11:44 |
Name | 카르스 |
Subject | UN 세계행복보고서 2024가 말하는, 한국과 동북아에 대한 의외의 이야기 |
얼마전에 UN의 World Happiness Report 2024가 발표되었는데, 다소 놀랍고 고정관념과 다른 내용들이 꽤 있어서 소개합니다. 보고서는 https://worldhappiness.report/ed/2024/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1. 한국은 올해 실질적으로 최초 6점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과거에도 6점대 기록이 있었지만, 수치가 너무 높게 튄 2011년 자료(직전 3년치 데이터 평균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를 포함한 것이라 실질적으로 최초라고 봐야 합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의의가 큽니다. 이건 2022년까지 데이터만 나와 있고, 2023년엔 한국과 일본 모두 6점을 근소히 넘습니다. 이게 향후 행복도 상승의 중대기점이 될지 궁금합니다. 중대기점이 된다면, 한국은 좋은 의미로 대만처럼 되는 겁니다. 대만은 한국 일본과 비슷했다가 2010년부터 홀로 높아져서 지금은 6.5점으로 30위권까지 올라갔거든요. 2. 한국은 과거(2006-2010년) 대비 행복도 상승이 제일 컸던 선진국 중 하나입니다. 세계적으로도 140여개국 중 48위라 의미가 있는 수치인데, 한국보다 앞선 국가들 절대다수는 개도국입니다. 한국보다 행복도가 더 많이 올라간 선진국은 (앞서 말한) 대만과 아이슬란드 정도에 그칩니다. 사실, 선진국들은 국가 단위로 보면 행복도가 횡보하거나 하락한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지역 단위로 봐도 북미+호주뉴질랜드는 행복도가 하락했고, 서유럽은 다른 연령층은 그대로인데 청년층은 행복도가 낮아졌습니다. 3. 한국은 특히 장노년층에서 행복도가 크게 올라갔습니다. 40대 전반 이전도 행복도가 오르긴 했는데 상대적으로 오름세가 작습니다. 노인들의 경제/건강상태 호전과 노인 복지 확충 덕으로 추측합니다. 세대 단위로 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4. 한국보다 행복한 선진국들도, 청년끼리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도리어 불행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한국의 청년들의 행복도는 이제 프랑스 독일 스페인 그리스와 큰 차이 없고, 심지어 캐나다, 미국, 일본과 비교하면 앞서기까지 합니다. 재미있게도, 이런 경우는 일본 그리스 정도를 제외하면 타 세대는 행복해서 전체평균은 괜찮게 나오는데 유독 청년만 불행한 케이스라는 겁니다. 누군가는 한국이 특히 청년에게 가혹하다고 하는데, 행복도로 봤을때 진짜 청년에게 가혹한 선진국들은 따로 있습니다. 한국의 연령별 행복도 상대순위 편차는 그렇게 크지 않거든요. 30세 미만 52위 - 30-44세 45위 - 45-59세 55위 - 60세 이상 59위. + 참고로 한국과 전체평균은 거의 똑같은데 청년이 한국인보다 불행한 일본은 30세 미만 73위 - 30-44 63위 - 45-59세 52위 - 60세 이상 36위. 한국과 일본을 비교해보면 45세 미만은 한국인이 더 행복하고 45세 이상은 일본인이 더 행복합니다. 지역 단위로 가도 결론은 비슷합니다. 2,에서 꺼낸 그림을 다시 보자면, 동아시아와 서유럽/북미+호주뉴질랜드 지역끼리 비교하면 이제 청년층에서는 행복도가 큰 차이가 나지 않거나 오히려 다소 앞섭니다. 5. 한국과 타 선진국 간 청소년의 행복도 격차도 과거에 비해 감소했습니다. 한국이 향상되서가 아니라 선진국 전반이 나빠진 게 큽니다. 사실 한국(더 나아가 동아시아 선진국들)은 제자리걸음인데, 타 선진국은 과거대비 청소년 행복도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소셜 미디어가 제1원인으로 지목되는데 어떨지. PISA 기준으로, 영국 청소년들은 이제 한국보다 불행합니다. 이런 놀라운 발견들을 종합하자면 두 가지 결론이 나옵니다. 1) 1-3을 종합하자면 한국의 행복도 추이는 최소한 중장기적으로는 꾸준히 우상향해왔고, 상승 속도도 결코 느리지 않습니다. 한국 사회를 비평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실. 불행해서 출산율이 낮아졌다니 자살율이 높아졌다니 온갖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런 분석은 최소한 시계열적으로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과거보단 개선되어 왔으니... 2) 4-5를 종합하자면, 한국 더 나아가 동아시아인들 청소년-청년들이 입시지옥, 엄격한 문화, 열악한 노동시장 등으로 불행하다는 고정관념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수정되거나 완화될 필요가 있음. 물론, 격차의 축소는 우리가 선방한 덕 있지만 서구 선진국들이 자빠진 데에도 기인해서 여전히 겸손해야 합니다. 뜯어보면 우리에게 놀라운 이야기가 많은데 별로 주목을 못 받아 보입니다. 한국이 생각보다 괜찮게 나와서, 조회수 빨아먹기 나쁜 구조라서 그런가요? + https://sovidence.tistory.com/1254 블로그에서도 저와 비슷한 이야기를 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04-08 21:2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9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르스님의 최근 게시물
|
아직 보고서 전체를 살펴보지 못했는데, 이 분야 원탑이던 남아시아쪽 방글라데시나 부탄은 어찌 되었는지 궁금해지네요.
이런 내용은 보수적 일간지에서 매우 반길 소식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이런 내용은 보수적 일간지에서 매우 반길 소식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뭐 저는 다른 분들이 많이 공감못하시기는 한데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상대적으로도 절대적으로도 어지간한 선진국보다도 낫다고 생각해서 썩 놀랍진 않읍니다. 우리나라 행복도가 낮게 측정되는 이유는 객관적인 이유보다는 구성원들의 심리적인 이유가 더 크다고 생각하고 있읍니다. 유달리 튀는 저출산 기조도 비슷하게 생각하고요.
써주신대로 행복도 상승이 있었다면 중장년층이 캐리한게 맞지 싶고, 그래서 저희가 노년층이 아닌 이상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것과 통계과의 괴리는 분명 존재할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연... 더 보기
써주신대로 행복도 상승이 있었다면 중장년층이 캐리한게 맞지 싶고, 그래서 저희가 노년층이 아닌 이상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것과 통계과의 괴리는 분명 존재할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연... 더 보기
뭐 저는 다른 분들이 많이 공감못하시기는 한데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상대적으로도 절대적으로도 어지간한 선진국보다도 낫다고 생각해서 썩 놀랍진 않읍니다. 우리나라 행복도가 낮게 측정되는 이유는 객관적인 이유보다는 구성원들의 심리적인 이유가 더 크다고 생각하고 있읍니다. 유달리 튀는 저출산 기조도 비슷하게 생각하고요.
써주신대로 행복도 상승이 있었다면 중장년층이 캐리한게 맞지 싶고, 그래서 저희가 노년층이 아닌 이상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것과 통계과의 괴리는 분명 존재할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연령대별 행복도에서 한국은 젊은층의 상대적 행복도가 장년층이나 노년층보다 높은 국가다. 국가별 랭킹에서 전체는 52위인데, 30대 이하 젊은층(Young)은 52위, 노년층(Old)은 59위다. 30대와 40대 초반(Lower Middle Age)은 45위로 상대적 랭킹이 가장 높다. 86세대가 속하는 장년층(Upper Middle Age)은 55위로, 젊은층이나 젊은 장년층보다는 낮다.]
위 그래프랑 블로그글에서는 또 그것도 아니군요. 절대수치로는 청년층 행복도가 더 높네요. 저는 청년층이 아니라 뇌내분석으로는 뭐라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 같읍니다...
써주신대로 행복도 상승이 있었다면 중장년층이 캐리한게 맞지 싶고, 그래서 저희가 노년층이 아닌 이상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것과 통계과의 괴리는 분명 존재할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연령대별 행복도에서 한국은 젊은층의 상대적 행복도가 장년층이나 노년층보다 높은 국가다. 국가별 랭킹에서 전체는 52위인데, 30대 이하 젊은층(Young)은 52위, 노년층(Old)은 59위다. 30대와 40대 초반(Lower Middle Age)은 45위로 상대적 랭킹이 가장 높다. 86세대가 속하는 장년층(Upper Middle Age)은 55위로, 젊은층이나 젊은 장년층보다는 낮다.]
위 그래프랑 블로그글에서는 또 그것도 아니군요. 절대수치로는 청년층 행복도가 더 높네요. 저는 청년층이 아니라 뇌내분석으로는 뭐라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 같읍니다...
객관적으로 소득이나 일반적인 생활수준을 봐서는 당연한 것 같기도 합니다만...
헬조선 타령을 들으며 자살률 1위를 찍는 한국이 캐리하는 행복지수 상위권?
이건 좀 귀하군요@_@;;;
헬조선 타령을 들으며 자살률 1위를 찍는 한국이 캐리하는 행복지수 상위권?
이건 좀 귀하군요@_@;;;
헬조선 타령은 사실 유행을 탄거지 실제로 인식이 그렇게 나쁜지는 의문이죠. 한때 확 열풍이 불다가 문재인 당선 후 확 식었잖아요. 나쁜 대통령 탄핵 후의 하잎이 있었다곤 해도, 실제로 인식이 그 정도로 나빴으면 계속 헬조선 소리 나왔을거라 봐야죠.
그리고 윗분 말씀대로 한국의 자살은 청소년도 높은게 맞지만 노년층이 더욱 문제가 있었고, 자살율에는 행복지수가 양의 상관관계 정도만 관계가 있지 그 외의 다른 여러 요소들의 영향이 커서요. 대표적으로 셀럽 자살 후 자살이 증가하는데, 이게 불행해져서 그렇다고 해석하긴 어렵잖아요.
그리고 윗분 말씀대로 한국의 자살은 청소년도 높은게 맞지만 노년층이 더욱 문제가 있었고, 자살율에는 행복지수가 양의 상관관계 정도만 관계가 있지 그 외의 다른 여러 요소들의 영향이 커서요. 대표적으로 셀럽 자살 후 자살이 증가하는데, 이게 불행해져서 그렇다고 해석하긴 어렵잖아요.
피크가 2009년인데, 이때 서브프라임 터지고 난리일 때 아니었나요.
경제적인 것과 행복지수가 별 연관이 없다고 해석을 해야 할런지....
경제적인 것과 행복지수가 별 연관이 없다고 해석을 해야 할런지....
어쨌거나 본인이 행복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행동을 하고 있고 그게 결과로 드러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봅니다. 다만, 요게 장기적 우상향이 되려면 현 20대 중후반 친구들이 취업이 좀 수월해야하는데... 요게 쉽지 않아 보이는게 고민이긴하네요. ai가 해결해주지 않을까요 산업구조가 재편되지 않을까요 다 맞는 말이긴한데... 그 속에 들어가있으려면 어쨌거나 사회에 진출을 해야 얻을 수 있을텐데 그런 기회를 얻기 힘든 세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