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11/14 17:44:02
Name   [익명]
Subject   국민연금 추가 납부 관련
안녕하세요.

국민연금 추가 납부에 대해서 홍차넷 선생님들께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추납을 할 경우에 대한 계산을 해 보았는데 과연 이득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깁니다. 제 계산이 맞는지 살펴봐주시고 잘 못 된 부분을 집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현재 67개월정도 추납이 가능합니다.
그럴 경우 추납금액은 29,300,000원 정도입니다. 지금상태로 60세까지 납부한다면, 그 경우 65세 이후 매달 받을 연금액이 1194천원에서 1405천원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제 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대략 139개월정도를 211,000원씩 받으면 추납한 원금과 같아지는 것 같습니다.

2. 거기에 추납금액에 대한 이자수익을 산정한다면 손익분기점은 더 뒤로 밀리게 될 겁니다.
(경우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게 될 수 있겠지만) 연 3% 복리 계산을 했을 때 52,000,000만원(15.4%일반세율계산)이 됩니다. 이건 대략 20년 이상을211,000원씩 수령해야하는 금액이 됩니다. 게다가 연금개시 후 (52,000,000 - (211,000 × 개월 수 ) ) × 이율(3%?) 에 대한 이자도 계산 되어야겠지요.

3. 그렇다면 제가 65세 연금개시 후 최소 85세이상 아니 92,3세정도 이상까지 받아야 제가 추납한 금액보다 이익이 난다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제 계산은 이러한데, 대부분 국민연급 추납이 유리하다고들 말씀하셔서 제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좀 복잡할 수도 있겠지만 한 번 살펴봐주시고 지적 및 의견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니면 제가 연 3%복리 계산이 너무 높기 때문인가요? ^^;;;

답변 주시는 선생님들께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0


[글쓴이]
계산하다보니 느낀건데, 제가 수학을 참 못하나봅니다. 헷깔려요...으흐흐흐....ㅜㅜ
맥주만땅
요즘 평균적으로 80세 이상은 살고, 아마 선생님 때는 평균 수명이 90세가 될 겁니다.

일찍 죽는다고 생각하면 연금만큼 쓸모 없는 것이 없지요.

저희 아버지가 은퇴할 때 까지만 해도 연금 대신 퇴직금 일시불을 신청하신 분들이 많았습니다.

그걸로 강남 아파트를 샀으면 부자가 되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지요.

저희 아버지도 아마 80세 넘어까지 자신이 연금 받고 살 줄 몰랐을 겁니다.
[글쓴이]
그르게요. 저도 그 생각을 해서 지금의 80세 정도의 평균수명이 90세 넘어서겠다고 생각했는데, 그렇다고하더라도 국민연금 추가납부가 그닥 이득이란 생각이 안들어서 그럽니다.

제 계산대로라면 92, 93세까지 살아봐야 내 돈 내가 받는 결과라서요. 뭐 100세까지 산다던가 한다면 당연히 국민연금 추납을 하는 게 낫다라고 결론을 내리겠지요.

혹시 국민연금 추납이 이득이라고 하시는 분들은 어떤 계산(?) 혹은 이유로 그렇게 말씀하시는지가 조금 더 자세히 궁금합니다.
봉다리소녀
제일 수혜자는 엑스세대인걸로알아요 그다음은 못받을확율이..엑스세대는 20대에 밀레니엄을 본세대죠
[글쓴이]
감사합니다. 찾아보니 관련 기사가 있네요.
그런데 기사내용이 너무 단촐해서 잘 이해가 앙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40 경제운전자보험 질문입니다 3 헬리제의우울 20/01/17 3491 0
8628 경제중국 부채 폭탄 터질까요? 5 흥차넷 20/01/13 4343 0
8599 경제서울에 부동산 투자 vs 계속 오르는 공룡기업의 주식 사기 16 [익명] 20/01/08 3673 0
8565 경제대포통장 관련 연락이 왔는데 금융관련해서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28 [익명] 19/12/31 5067 0
8458 경제차량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설치 vs 순정 배터리 교체 3 세나개 19/12/12 5110 0
8422 경제돌 선물 질문입니다 2 헬리제의우울 19/12/06 3558 0
8416 경제중국이 잘살게 된 이유가 뭔가요? 10 [익명] 19/12/05 3571 0
8400 경제청약저축 비과세한도로 인한 이체 지연 3 침묵의공처가 19/12/03 4760 0
8382 경제강남 오피스텔 전세에 관하여.... 3 [익명] 19/11/30 3104 0
8381 경제2탄) 집문제 질문드립니다 !!! 7 [익명] 19/11/29 3231 0
8343 경제집문제.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19 [익명] 19/11/25 4080 0
8331 경제적금을 잘 들어보려고 합니다!! 11 [익명] 19/11/23 3441 0
8268 경제국민연금 추가 납부 관련 5 [익명] 19/11/14 3114 0
8211 경제대출과 투자 질문좀 드려요 7 [익명] 19/11/07 3415 0
8167 경제수지구청역 vs 죽전역 아파트? 13 [익명] 19/11/01 6702 0
8162 경제종잣돈 굴리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12 [익명] 19/10/31 3493 0
8132 경제전세계약 관련 질문.. 2 [익명] 19/10/28 2699 0
8130 경제전세대출로 집 계약하려고 하는 해당 집이 매매계약이 된다고 합니다 6 뒹굴이 19/10/28 3556 0
8129 경제주택 청약을 한번 해보고 싶습니다. 5 [익명] 19/10/28 3257 0
8127 경제결혼하고 같이 살 집을 마련하려고 합니다.. 34 [익명] 19/10/28 4516 0
8021 경제대학생 신분 부모동의 없이 대출 받을 경로 있을까요? 1 [익명] 19/10/12 2768 0
8020 경제대학생 신카쓰면 신용등급 도움되나요 13 [익명] 19/10/12 3154 0
8007 경제차량 다이렉트 보험 질문드립니다. 2 눈팅중 19/10/10 3430 0
7999 경제은행 OPT 발급관련 문의입니다. 12 켈로그김 19/10/08 5317 0
7978 경제우리나라가 일본 경제를 잡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요? 59 원영사랑 19/10/04 484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