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5/30 13:55:21 |
Name | 호미밭의 파스꾼 |
Subject | 크레마있는 바디감(?)짙은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
평소 맥화골 or 샷추가한 아메리카노를 각성용으로만 소비해온 미각 둔감한 아재인데도 몇달 전, 평소 동선과 겹치지 않는 카페에서 마신 아아메의 맛이 잊혀지질 않습니다. 웃긴 건, 몇 주 후에 재방문했더니 평소 먹는 아아메와 똑같은 크레마도 없고 밀도도 옅은 커피가 나왔다는 점이네요ㅋㅋ 제목에 쓴 것처럼, 얼음과 물을 채운 후에도 크레마가 채 사라지지 않았고, 2샷에 불과했지만 밀도와 스모키함이 아주 짙었습니다. 머신? 원두? 물-에스프레소-얼음을 배합하는 순서의 차이 중 어떤 것이 저런 커피를 만들게 한 걸까요? 일반적인 커피 전문점에서 저 맛을 재현하고 싶다면 어떻게 주문하는 것이 좋을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호미밭의 파스꾼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잘은 모르겠지만 집에서 에스프레소 뽑아보면서 알게된 건데요. 크레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가볼때는 원두의 신선도인것 같아요. 물론 실력도 중요하겠지만요. 볶은지 얼마안되는 원두일 경우에는 크레마가 많이 나오는데 실온에 볶은 원두를 보관할 수록 점점 더 크레마가 줄어들어서 나오거든요. 볶은 커피콩을 살때 날짜를 확인해보면, 지난 2주 안에 볶은 콩은 아주 상태가 좋지만..
보통 마트에서 파는 원두들은 한 달 지난 커피빈도 많이 유통이 되거든요. 그러면 크레마양에서 차이가 아주 크게 감소하는 걸 보았어요.
그래서 일단 어... 더 보기
보통 마트에서 파는 원두들은 한 달 지난 커피빈도 많이 유통이 되거든요. 그러면 크레마양에서 차이가 아주 크게 감소하는 걸 보았어요.
그래서 일단 어... 더 보기
저는 잘은 모르겠지만 집에서 에스프레소 뽑아보면서 알게된 건데요. 크레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가볼때는 원두의 신선도인것 같아요. 물론 실력도 중요하겠지만요. 볶은지 얼마안되는 원두일 경우에는 크레마가 많이 나오는데 실온에 볶은 원두를 보관할 수록 점점 더 크레마가 줄어들어서 나오거든요. 볶은 커피콩을 살때 날짜를 확인해보면, 지난 2주 안에 볶은 콩은 아주 상태가 좋지만..
보통 마트에서 파는 원두들은 한 달 지난 커피빈도 많이 유통이 되거든요. 그러면 크레마양에서 차이가 아주 크게 감소하는 걸 보았어요.
그래서 일단 어느 가게를 가시든지 에스프레소를 주문해보는 겁니다. 크레마가 충분히 많이 나오는 에스프레소를 준다면 바리스타 실력도 믿음직하고 원두 상태도 좋으니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주문하시고, 크레마 상태가 별로면 그 집의 탬핑 기술이나 원두 상태가 안좋으니깐 스킵 하시면될 듯해요.
보통 마트에서 파는 원두들은 한 달 지난 커피빈도 많이 유통이 되거든요. 그러면 크레마양에서 차이가 아주 크게 감소하는 걸 보았어요.
그래서 일단 어느 가게를 가시든지 에스프레소를 주문해보는 겁니다. 크레마가 충분히 많이 나오는 에스프레소를 준다면 바리스타 실력도 믿음직하고 원두 상태도 좋으니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주문하시고, 크레마 상태가 별로면 그 집의 탬핑 기술이나 원두 상태가 안좋으니깐 스킵 하시면될 듯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