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8/06 08:42:27 |
Name | 덕후나이트 |
Subject | 한국은 왜 교복을 없애지 않나요? |
해외 거주자인데 이 나라의 하이스쿨에선 교복을 입지 않고 입고 싶은 옷 아무거나 입을 수 있어서(물론 속옷만 입고 다닌다거나...이러면 공연 음란죄로 걸리겠지만) 편했는데 한국은 중학교~고등학교는 교복을 입더라구요. 전학가면 전학간 학교에 맞춰서 교복 또 사거나 중고품 받아야 하고 교복이 상하면 다음 날 입을 것도 없고(여벌이 있다면 모를까) 그리고 한국 초등학교, 대학교는 교복 없는데 교복 관련으로 별탈 없는데 왜 하필 중학교~고등학교만 저러는건지 이해가 안갑니다. 차라리 초등학교, 대학교도 교복 있으면 "그냥 한국 법이 그런가 보다..." 이러거나, 외국도 입으면 "그냥 범세계적 법인가 보다..." 이러겠는데.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덕후나이트님의 최근 게시물
|
없앴다가 다시 부활시켰죠.
부활시키는 입장에서는 이유가 있겠지만, 저의 생각에는 학교와 교복업자간의 이익관계 때문에 부활시켰다고 봅니다.
부활시킬 때 부활 반대운동했더니 학주가 지랄한 것으로 보아서는....
부활시키는 입장에서는 이유가 있겠지만, 저의 생각에는 학교와 교복업자간의 이익관계 때문에 부활시켰다고 봅니다.
부활시킬 때 부활 반대운동했더니 학주가 지랄한 것으로 보아서는....
군대놀이 좋아하니까 그렇죠 뭐. 심지어 두발 규정 없어진지도 얼마 안 됐는데요. 이것도 반발이 심했고.(않이 근데 두발규정 없어진줄 알았는데 아직 고등학교 절반은 남았네요 헐...) 교복이 가지는 장점 같은 거 다 납득하고 저도 교복은 있는 쪽이 낫지 않을까 하는 입장입니다만 현재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에서 교복의 의미가 그딴게 아니라는 걸 모두 다 알고 있죠. 장점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릴 생각은 전혀 없고 온갖 복장규정, 검열로 군대처럼 굴리면서 말은 교복의 실용성, 장점 어쩌고 하는지 원.
아 외국사시니 잘 모르실 것 같... 더 보기
아 외국사시니 잘 모르실 것 같... 더 보기
군대놀이 좋아하니까 그렇죠 뭐. 심지어 두발 규정 없어진지도 얼마 안 됐는데요. 이것도 반발이 심했고.(않이 근데 두발규정 없어진줄 알았는데 아직 고등학교 절반은 남았네요 헐...) 교복이 가지는 장점 같은 거 다 납득하고 저도 교복은 있는 쪽이 낫지 않을까 하는 입장입니다만 현재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에서 교복의 의미가 그딴게 아니라는 걸 모두 다 알고 있죠. 장점과 실용적인 부분을 살릴 생각은 전혀 없고 온갖 복장규정, 검열로 군대처럼 굴리면서 말은 교복의 실용성, 장점 어쩌고 하는지 원.
아 외국사시니 잘 모르실 것 같아서 한국 교복 복장규정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여름에 아무리 더워도 학교에서 입으라 하기 전엔 반팔하복을 입을 수 없습니다. 긴팔 걷어 입을 수도 없어요. 겨울에도 마찬가지죠. 자켓 입어라 할 때부터 입습니다. 자켓 벗고 외투를 걸쳐서도 안 되며 입을 수 있는 외투 색, 종류도 규정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옷 폼 수정하는 건 안되죠. 모든 학교가 이렇진 않겠지만 상당수가 이러한 복장 규정이 있습니다. 야 추우면 자켓 입고 다녀야지 에 대한 대답이 "자켓 마음대로 입으면 안 돼요. 학교에서 입으라 해야 입을 수 있어요" 인 상황에서, 심지어 교육부가 학교에게 직접 겉옷 규정 같은 거 없애라고 공문 내려도 현장에서 안 지키는 판에 학교들이 교복은 이러이러한 장점이 있어서 입히는 거야라고 해봐야 군대식 복종훈련을 빼고 이야기 할 수가 없죠.
아 외국사시니 잘 모르실 것 같아서 한국 교복 복장규정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여름에 아무리 더워도 학교에서 입으라 하기 전엔 반팔하복을 입을 수 없습니다. 긴팔 걷어 입을 수도 없어요. 겨울에도 마찬가지죠. 자켓 입어라 할 때부터 입습니다. 자켓 벗고 외투를 걸쳐서도 안 되며 입을 수 있는 외투 색, 종류도 규정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옷 폼 수정하는 건 안되죠. 모든 학교가 이렇진 않겠지만 상당수가 이러한 복장 규정이 있습니다. 야 추우면 자켓 입고 다녀야지 에 대한 대답이 "자켓 마음대로 입으면 안 돼요. 학교에서 입으라 해야 입을 수 있어요" 인 상황에서, 심지어 교육부가 학교에게 직접 겉옷 규정 같은 거 없애라고 공문 내려도 현장에서 안 지키는 판에 학교들이 교복은 이러이러한 장점이 있어서 입히는 거야라고 해봐야 군대식 복종훈련을 빼고 이야기 할 수가 없죠.
지금이 교복이 없어진 상태입니다.
과거 중고교생 모두가 같은 교복을 입는 것이 강제 되었던 시절에서 '교복자율화'가 되면서 교복을 입히던 그렇지 않던 선택에 맡기는 제도로 바뀐 것이죠.
제도 변경 후 모두 평상복을 입게 되자 오히려 빈부격차가 드러나고 위화감이 조성되며 매일 입을 옷이 필요하니 오히려 의류비가 더 들어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습니다.
저는 중학교 시절에는 평복을 입고 다녔으나
고등학교 때 학생회 투표로 교복을 입자고 학생들 스스로 결정해서 교복을 선택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 무렵 많은 학교... 더 보기
과거 중고교생 모두가 같은 교복을 입는 것이 강제 되었던 시절에서 '교복자율화'가 되면서 교복을 입히던 그렇지 않던 선택에 맡기는 제도로 바뀐 것이죠.
제도 변경 후 모두 평상복을 입게 되자 오히려 빈부격차가 드러나고 위화감이 조성되며 매일 입을 옷이 필요하니 오히려 의류비가 더 들어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습니다.
저는 중학교 시절에는 평복을 입고 다녔으나
고등학교 때 학생회 투표로 교복을 입자고 학생들 스스로 결정해서 교복을 선택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 무렵 많은 학교... 더 보기
지금이 교복이 없어진 상태입니다.
과거 중고교생 모두가 같은 교복을 입는 것이 강제 되었던 시절에서 '교복자율화'가 되면서 교복을 입히던 그렇지 않던 선택에 맡기는 제도로 바뀐 것이죠.
제도 변경 후 모두 평상복을 입게 되자 오히려 빈부격차가 드러나고 위화감이 조성되며 매일 입을 옷이 필요하니 오히려 의류비가 더 들어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습니다.
저는 중학교 시절에는 평복을 입고 다녔으나
고등학교 때 학생회 투표로 교복을 입자고 학생들 스스로 결정해서 교복을 선택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 무렵 많은 학교들이 교복을 선택하던 것을 기억합니다.
다만 지금의 학생들은 대부분의 학교가 교복을 선택한 상황에서 선택권 없이 교복 착용을 하고 있어 이 것이 제도에 의한 것이라 오해할 법 합니다.
현재의 교복 착용은 학교의 선택에 의한 것입니다.
과거 중고교생 모두가 같은 교복을 입는 것이 강제 되었던 시절에서 '교복자율화'가 되면서 교복을 입히던 그렇지 않던 선택에 맡기는 제도로 바뀐 것이죠.
제도 변경 후 모두 평상복을 입게 되자 오히려 빈부격차가 드러나고 위화감이 조성되며 매일 입을 옷이 필요하니 오히려 의류비가 더 들어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습니다.
저는 중학교 시절에는 평복을 입고 다녔으나
고등학교 때 학생회 투표로 교복을 입자고 학생들 스스로 결정해서 교복을 선택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 무렵 많은 학교들이 교복을 선택하던 것을 기억합니다.
다만 지금의 학생들은 대부분의 학교가 교복을 선택한 상황에서 선택권 없이 교복 착용을 하고 있어 이 것이 제도에 의한 것이라 오해할 법 합니다.
현재의 교복 착용은 학교의 선택에 의한 것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