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9/28 14:39:05 |
Name | 벤젠 C6H6 |
Subject | 비전문가가 전문가의 말의 신뢰도를 평가할 때 어떤 방법이 가장 최선일까요? |
비전문가가 전문가들의 말의 신뢰도를 평가할 때 어떤 방법이 가장 최선일까요? 비전문가가 자기가 어떤 지식을 얻고자 하는 필요를 느끼는 해당 전문분야의 특정 이슈에 대해서, 자신이 거기에 대해서 전문적인 전공지식이나 현장경험을 쌓지 못했으므로, 여러 전문가들의 말을 참고하여 판단내릴 수밖에 없을텐데요.. 그런데 그 전문가들의 여러 의견들을 듣고서도 과연 그 말의 신뢰도, 타당성 등등을 어떻게 판단내리는 것이 그나마 그 비전문가 입장에서 최선의 합리적 입장이 될 것이냐-에 대한 질문입니다. case1) 순수한 의견 대립으로 보이는 두 전문가의 견해 차이가 있다. A전문가는 자기 판단에 a라고 주장한다. B전문가는 자기 판단에 b라고 주장한다. case2) 한 전문가는 뒤가 구리고, 다른 한 전문가는 그 전문성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A전문가는 그 분야에서 상당히 높은 지식을 갖추었고 오랜 현장경험이 있지만 정치적이어서 혹은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서 믿기가 그렇다. B전문가는 A전문가의 그런 점을 지적하는데 이 사람/집단은 그 분야에 A전문가보다는 전문성이 좀 떨어지는 것 같다. 주장하는 동기는 순수한 것 같긴 한데.. 이외에도 여러 case들이 있을텐데 전문가들의 의견의 신뢰도, 타당성 등등을 어떻게 가늠하고 또 그 의견들을 어떻게 가공해서 나의 필요에 맞는 정보로 수용하느냐-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들을 받습니다. 물론 만약 해당 분야와 이슈에 대해 제대로 된 통찰력을 보이는 전문가가 하나도 없는 막장 상태라면.. 답이 없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벤젠 C6H6님의 최근 게시물
|
근데 사실 공공부분의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의 의사결정에
'~~~위원회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같이 모든거에 위원회라의 이름을 넣어서 10~20명 사이의 사람들이 자료를 보고 서명하는 절차를 갖추도록 아에 부처 고시든 법령이든으로 때려버립니다.
하다못해 모든 과기 관련법의 모법인 과학기술기본법 조차도
제9조(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설치 및 심의사항) ① 과학기술 주요 정책·과학기술혁신 및 산업화 관련 인력정책·지역기술혁신정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계획 및 사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예산의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 더 보기
'~~~위원회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같이 모든거에 위원회라의 이름을 넣어서 10~20명 사이의 사람들이 자료를 보고 서명하는 절차를 갖추도록 아에 부처 고시든 법령이든으로 때려버립니다.
하다못해 모든 과기 관련법의 모법인 과학기술기본법 조차도
제9조(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설치 및 심의사항) ① 과학기술 주요 정책·과학기술혁신 및 산업화 관련 인력정책·지역기술혁신정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계획 및 사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예산의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 더 보기
근데 사실 공공부분의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의 의사결정에
'~~~위원회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같이 모든거에 위원회라의 이름을 넣어서 10~20명 사이의 사람들이 자료를 보고 서명하는 절차를 갖추도록 아에 부처 고시든 법령이든으로 때려버립니다.
하다못해 모든 과기 관련법의 모법인 과학기술기본법 조차도
제9조(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설치 및 심의사항) ① 과학기술 주요 정책·과학기술혁신 및 산업화 관련 인력정책·지역기술혁신정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계획 및 사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예산의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이하 "심의회"라 한다)를 둔다. <개정 2014.5.28.>
라고 해버리는데요 공공부분 직원의 비위가 개인적인 이득을 위한 비위가 아닌 이상 대부분 이 위원회라는게 다 있기때문에 사실상 쉐도우복싱같은 형태가 되어버린다랄까....
'~~~위원회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같이 모든거에 위원회라의 이름을 넣어서 10~20명 사이의 사람들이 자료를 보고 서명하는 절차를 갖추도록 아에 부처 고시든 법령이든으로 때려버립니다.
하다못해 모든 과기 관련법의 모법인 과학기술기본법 조차도
제9조(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설치 및 심의사항) ① 과학기술 주요 정책·과학기술혁신 및 산업화 관련 인력정책·지역기술혁신정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계획 및 사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예산의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이하 "심의회"라 한다)를 둔다. <개정 2014.5.28.>
라고 해버리는데요 공공부분 직원의 비위가 개인적인 이득을 위한 비위가 아닌 이상 대부분 이 위원회라는게 다 있기때문에 사실상 쉐도우복싱같은 형태가 되어버린다랄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