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4/12/23 10:20:05 |
Name | Mandarin |
Subject | 타이레놀이 왜 재고가 없을까요? 선생님들 |
우리나라는 의료 선진국 아닌가요..? 타이레놀 재고가 없다고 하옵니다. 복제약만 재고가 있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Mandarin님의 최근 게시물
|
https://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313808
타이레놀 약가가 1정당 90원에서 70원으로 내렸습니다.
하지만 편의점이나 약국에서 일반약으로는 10정도 아닌 8정에 2000원에서 3000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제가 제약회사 사장이라도 급여약으로 공급할 요인이 없지요.
타이레놀 약가가 1정당 90원에서 70원으로 내렸습니다.
하지만 편의점이나 약국에서 일반약으로는 10정도 아닌 8정에 2000원에서 3000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제가 제약회사 사장이라도 급여약으로 공급할 요인이 없지요.
향남공장 가동 중단·매각 한국얀센, 국내 제조 품목 정리 완료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294387
이거랑 관계는 없을까요?
‘현재 가장 대표적인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정임 하지만 지난 10년간 약가를 살펴본 결과, 약가수가가 마이너스 7%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기업들의 입장에서도 대부분 위탁생산을 통해 하고 있고, 일반약보다 저렴하여 원가 ... 더 보기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294387
이거랑 관계는 없을까요?
‘현재 가장 대표적인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정임 하지만 지난 10년간 약가를 살펴본 결과, 약가수가가 마이너스 7%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기업들의 입장에서도 대부분 위탁생산을 통해 하고 있고, 일반약보다 저렴하여 원가 ... 더 보기
향남공장 가동 중단·매각 한국얀센, 국내 제조 품목 정리 완료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294387
이거랑 관계는 없을까요?
‘현재 가장 대표적인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정임 하지만 지난 10년간 약가를 살펴본 결과, 약가수가가 마이너스 7%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기업들의 입장에서도 대부분 위탁생산을 통해 하고 있고, 일반약보다 저렴하여 원가 대비 마진도 없는 조제용 의약품을 많이 생산할 이유가 적은 상황.’
감기약 대란 시국서 타이레놀 생산량 늘려 달라 끈질기게 설득한 이 사람?
http://www.medipharmhealth.co.kr/news/article.html?no=85665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294387
이거랑 관계는 없을까요?
‘현재 가장 대표적인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정임 하지만 지난 10년간 약가를 살펴본 결과, 약가수가가 마이너스 7%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기업들의 입장에서도 대부분 위탁생산을 통해 하고 있고, 일반약보다 저렴하여 원가 대비 마진도 없는 조제용 의약품을 많이 생산할 이유가 적은 상황.’
감기약 대란 시국서 타이레놀 생산량 늘려 달라 끈질기게 설득한 이 사람?
http://www.medipharmhealth.co.kr/news/article.html?no=85665
복제약이 아니라 제네릭입니다...
타이레놀은 약가가 너무 저렴해서 팔면 팔수록 손해입니다. 이미 국내산 타이레놀은 사라진지 오래이고 유통중인 타이레놀은 대부분 동남아공장에서 만든 수입의약품이죠.
그나마 국내 중소기업들이 제네릭을 만들고 있으니 제네릭으로 드시면 됩니다.
타이레놀은 약가가 너무 저렴해서 팔면 팔수록 손해입니다. 이미 국내산 타이레놀은 사라진지 오래이고 유통중인 타이레놀은 대부분 동남아공장에서 만든 수입의약품이죠.
그나마 국내 중소기업들이 제네릭을 만들고 있으니 제네릭으로 드시면 됩니다.
보통 주성분과 부형제 원약분량이 모두 동일하면 복제약,
원약분량이 주성분은 같고 부형제는 다르지만 의약품동등성시험에 적합하면 제네릭이라고 합니다.
원약분량이 주성분은 같고 부형제는 다르지만 의약품동등성시험에 적합하면 제네릭이라고 합니다.
저는 잘 모르긴하는데, 말씀하신 논리구조라면 타이레놀은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이니까 아세트아미노펜 동일용량으로 나오는 약은 전부 제네릭이면서 복제약인것도 맞는것 아닌지요?
이건 마취 쪽도 비슷합니다. 전신 마취에서 꼭 필요한 근이완제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각각 필요한 상황이 있습니다만, 현재 국내에서는 이미 한 종류는 단종이고, 나머지 하나도 단종될 것 같습니다.
문제는 근이완제가 알러지가 잘 생기는 약이라는 것....그래서 가까운 미래에 남은 약 하나에 알러지 체질인 분들은 수술을 받지 못하거나, 아나필락시스를 감수하고 수술 받아야 합니다. 마취 후 근이완제로 아나필락시스가 생기면 심폐소생술까지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은 당연히 못하고 중환자실로 가구요...
문제는 근이완제가 알러지가 잘 생기는 약이라는 것....그래서 가까운 미래에 남은 약 하나에 알러지 체질인 분들은 수술을 받지 못하거나, 아나필락시스를 감수하고 수술 받아야 합니다. 마취 후 근이완제로 아나필락시스가 생기면 심폐소생술까지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은 당연히 못하고 중환자실로 가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