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4/08/27 13:01:19
Name   Mandarin
Subject   고인의 유언에 따라 고인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할때
있는분들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일테지만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고인의 유언에 따라 유산을 사회에 환원하려할때 고인의 자식이 그 유언에 동의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I한테 물어봤더니 그냥 두루뭉실하게 말해주네요



0


겨울삼각형
소송걸어서 유산의 50%는 유류분으로 법적상속인이 가져갈 수 있습니다.
2
Mandarin
소송하면 무조건 가져갈수있는건지 항상 다툼의 여지가 있는건지 궁금하옵니다
법적으로 유효하면 자녀의 의사와 상관 없지 않나요? 다만 유효하지 않은 경우인지 법적로 다투는 경우는 왕왕 있는 것으로 압니다.

유언의 무효ㆍ취소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234&ccfNo=4&cciNo=1&cnpClsNo=2

유류분 권리자의 유류분반환청구권
... 더 보기
법적으로 유효하면 자녀의 의사와 상관 없지 않나요? 다만 유효하지 않은 경우인지 법적로 다투는 경우는 왕왕 있는 것으로 압니다.

유언의 무효ㆍ취소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234&ccfNo=4&cciNo=1&cnpClsNo=2

유류분 권리자의 유류분반환청구권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255&ccfNo=6&cciNo=1&cnpClsNo=1

유언대용신탁의 효력 관련 대법원 파기환송 판결을 이끌어 낸 사례
https://www.shinkim.com/kor/media/newsletter/2436
유언장이 법적으로 유효하더라도,
최소한 유류분 만큼 (자기몫의 50~33%)은 받을수 있습니다.
예전에야 유언으로 장남한테 몰빵한다거나 하는일이 많다보니, 억울한 딸이나 배우자를 챙겨주는 이런 법이 생겼지만
이젠 그런일도 없는데...괜히 구하라씨 친모같은 이상한 부작용이 생겨요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255&ccfNo=6&cciNo=1&cnpClsNo=1&search_put=%EC%9C%A0%EB%A5%98%EB%B6%84
2
네. 유류분제도가 있고, 이걸 피하는 유언대용신탁이 있습니다.
1
Mandarin
이것도 찾아보니 많은 사례들이 있네요..모르는 세상일이다..
요즘 유언대용신탁으로 유류분을 씹는 게 잘 안통하는 추세입니다

아직 대판은 없긴한데, 하급심 판례도 점차 이쪽으로..
1
위의 파기환송 결정이 대법원 최신으로 압니다. 법적리스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유언대용신탁 취지 자체를 법원에서 인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잘 설계하면, 본인의 의사대로 유산을 처리하기는 좋은 수단 같습니다.
1
집에 가는 제로스수정됨
좀 애매한 것이 위 파기환송 내용은 신탁약정이 일부무효라도 나머지 부분은 무효가 아닐 수 있다는 취지에서 파기환송된 것인데요 그러한 유효한 신탁약정이 유류분청구권도 방어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단이 나온 것은 아닙니다. Omnic님이 말씀하신것처럼 하급심판례들은 이런 유언대용신탁이 유류분청구권을 침해하는 경우 유류분제도 잠탈이어서 허용될 수 없어서 유류분 청구는 가능하다는 취지로 판결이 내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파기환송된 판결내용은 파기환송되지 않았을 경우 다른 상속인들이 유류분만이 아니라 법정상속분 전체에 대해 상속주장이 가능... 더 보기
좀 애매한 것이 위 파기환송 내용은 신탁약정이 일부무효라도 나머지 부분은 무효가 아닐 수 있다는 취지에서 파기환송된 것인데요 그러한 유효한 신탁약정이 유류분청구권도 방어할 수 있는가에 대한 판단이 나온 것은 아닙니다. Omnic님이 말씀하신것처럼 하급심판례들은 이런 유언대용신탁이 유류분청구권을 침해하는 경우 유류분제도 잠탈이어서 허용될 수 없어서 유류분 청구는 가능하다는 취지로 판결이 내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 파기환송된 판결내용은 파기환송되지 않았을 경우 다른 상속인들이 유류분만이 아니라 법정상속분 전체에 대해 상속주장이 가능했을 것이어서 의미가 있지만 아직 다른 상속인들의 유류분청구도 방어해낼 수 있을 지는 모르는 일입니다. (파기환송전 유언대용신탁을 무효로 판단한 것은 유류분잠탈이어서가 아니라 수탁자를 단독수익자로 한 것이 수탁자의 이익향수금지의무 위반이어서 무효라는 이유를 들었던 것임)
1
네. 유류분 회피(?)용으로 유효한지는 알 수 없는 판결인 것 같습니다.
집에 가는 제로스
흥미로운 판례 소개 감사합니다 :) 기사 링크에 선배 얼굴도 나와서 반갑네요 ㅋㅋㅋ
1
이러한 불합리를 막고 상속인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우리 「민법」은 유류분제도를 인정합니다.

그러면 고인의 생전시에 그냥 기부를해서 환원해버리는 방법이 있겠네요.
겨울삼각형
사망하기전에 증여 기부 한 금액도 나중에 상속분쟁할때 따질겁니다..
1
집에 가는 제로스
남한테 기부한건 안됩니다. 상속인들끼리는 생전에 따로 증여받은게 특별수익이라고 해서 다시 상속재산에 포함시켜서 계산되어야 하지만 상속인이 아닌 남한테 기부한건 해당없습니다.
3
트랜스메타
상속개시전 1년간의 기부는 유류분산정을 위한 기초재산에 산입되지 않나요?
집에 가는 제로스
아 그렇죠.. 상속개시전 1년내는 산입되는게 맞습니다. 중요한 부분을 누락했네요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346 법률딸배헌터식 장애인주차표지 부정사용 신고 및 고발 방법? 5 Groot 24/12/02 2036 1
16345 법률좋소기업은 노무/법무를 어떻게 해결하나요? 9 [익명] 24/12/01 1614 0
16307 법률소액사기 신고를 하고 싶습니다. 6 whenyouinRome... 24/11/21 1748 0
16275 법률 아파트 매매 후 하수구 문제로 인한 배상 청구 4 누가크래커 24/11/11 1077 0
16264 법률업장에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8 니나 24/11/07 1548 0
16203 법률어제 자전거 사고 났는데 치료비 청구해도 되나요? 7 OneV 24/10/17 1613 0
16192 법률연차 사용 시 인사 평가를 낮게 준다면 법적으로 신고할 수 있나요? 6 [익명] 24/10/11 1900 0
16166 법률1층 베란다 밖에 데크 설치 가능한가요? 24 [익명] 24/09/27 2184 0
16116 법률자금난 겪고있는 회사에서 퇴직원 작성시 퇴직금 부분에 관한 문의 7 [익명] 24/09/02 2021 0
16115 법률며칠 전 노동사건 수임으로 질문글을 올렸던 사람입니다. 13 [익명] 24/09/02 1750 0
16104 법률노동사건 변호사는 어떤 경로로 찾게 되나요? 11 [익명] 24/08/28 1816 0
16103 법률고인의 유언에 따라 고인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할때 16 Mandarin 24/08/27 2298 0
16065 법률아파트 주차 문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7 알로에비누 24/08/11 1974 0
16052 법률영문으로 된 기사나 칼럼을 법원에 제출하고자 할때 절차 및 비용? 13 열한시육분 24/08/06 1926 0
16043 법률외국인노동자 근무에 대한 급여미지급 19 [익명] 24/08/01 2257 0
16019 법률스타트업 법인 내부 갈등과 관련된 법적인 사항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4 [익명] 24/07/23 1842 0
16010 법률상속포기와 관련된 법률적 절차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4 1cm 24/07/17 2113 0
15988 법률주택임대차계약의 묵시적 연장 조건? 8 메존일각 24/07/09 1901 0
15960 법률제 동의 없이 제 목소리를 녹음했는데 이걸 SNS에 올렸습니다. 2 박지운 24/06/26 2374 0
15952 법률전자소송 진행 도움 부탁드립니다. 11 Profit 24/06/25 2216 0
15948 법률고소를 당했(?)습니다. 7 덕후나이트 24/06/23 4342 0
15868 법률임대차관련 질문드립니다. 12 거소 24/05/20 1837 0
15844 법률작년 국내주식 양도세 문의 4 [익명] 24/05/11 2016 0
15810 법률자진퇴사/권고사직/실업급여문의입니다. 8 [익명] 24/04/29 1945 0
15797 법률상속포기 관련 9 [익명] 24/04/25 207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