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7/15 11:43:20
Name   nm막장
Subject   직장인인데 강의해서 수익을 내는 것이 허용되나요?
안녕하세요

모(대)기업 연구소종사자 입니다.
요즘 몇몇 채널을 통해서 (온라인)강의제안이 들어왔습니다.
퇴근 이후 혹은 주말을 이용해서 강의안을 만들고 촬영을 하고 수익을 내는 것은 일반적인 규정에 벗어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대부분 그렇지 않은 것 처럼 보이긴 하지만 가끔 겸업금지 조항을 들어서 회사에서 규제를 하면서 분쟁이 발생될 소지가 가능할 듯 한데요

어떤이는 부가 수입이 연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회사가 알 수 있게 되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도 하고
타 기업에 속해서 진행한다면 문제가 되고 프리랜서나 자기가 사업자를 내는 경우라면 문제가 없다고도 하는데 (수익은 없지만 이미 개인사업자 이긴 합니다..서류상..)

이런 쪽을 알아보려면 어디부터 찾아봐야 할지 알고 싶습니다.

생각해보면 회사가 나를 평생 먹여살려줄 것도 아닌데 근무시간외의 행위에 대해 규제한다면 그것 자체가 좀 합리적인 것 같지는 않습니다
미리 감사드려요~



0


회사내규에 겸업금지조항부터 찾아보시고
규정 없으면 일에 지장없게 할테니 허락해달라고 요청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욥??
1
근무시간 외에 하는 행위가 근무에 영향을 끼치거나, 근무하는 회사에 손해를 끼칠 수 있다면 사측에서도 조치의 필요성을 느낄 수는 있죠. 겸업이 이유불문 전면 금지가 아니라면 인사과에 문의해보는 것이 가장 깔끔합니다
1
맞아요. 이런건 회사마다 규정이 다를수 있쟎아요. 저희 회사는 겸업이 가능한데 대신 회사 손님을 상대로는 이익을 창출할 수 없다 이런 규정이 있어요.
1
서포트벡터
저는 공공 연구직인데, 원장 승인 나면 가능합니다. 연구소들은 겸임교수가 꽤 흔한 편이라 내규가 분명 있을텐데, 그것부터 알아보시는게 좋을 듯 하네요.

제가 아는 대기업들중엔 금지인 곳도 허용인 곳도 있습니다.
1
듣보잡
사내 HR부서에 문의하는게 정석 같읍니다.
1
절름발이이리
근무하시는 회사 규칙상의 문제입니다.
1
카리나남편
대기업이면 취업규칙이 공개되어있을겁니다.
1
회바회 회사 by 회사 라는 뜻.. + 카리나남편님 말씀처럼 규모가 조금 있는 회사는 취업규칙이 OJT때 공유가 됩니다. 저는 파일 형태로 저희팀 신입들에게 직접 줬습니다.
1
nm막장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취업규칙을 먼저 들여다봐야 하고 그 이유가 저의 고민하는 부분이 회사마다 케바케일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네요
윗선이랑 사이가 별로 좋지 않다보니 괜한 갈등을 일으키고 싶진 않은데 어쨌든 숨어서는 해결이 안될 문제 같습니다
제 예상이 꼭 맞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구요
감사합니다
타는저녁놀
취업규칙에 있겠지만 대기업일수록 안 될 가능성이 높긴 합니다. 업무 외 시간이라고 해도 마음이 콩밭에 갈 수도 있으니 안 된다 이런 취지죠.
1
사레레
윗분들이 잘 설명해 주셨지만
글쓴님이 소송을 불사할 각오로 무조건 해야한다 하면 취업규칙에 겸직금지조항이 나와 있더라도 막을수 있는 법적 근거는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저도 회사다니면서 강연나갈일이 있어 관심있게 좀 찾아봤어요
업무외 시간 겸직활동이 회사에 피해를 끼치지 않는 다음에야 그걸 막을 법적 근거는 없다는 거죠
다만 그렇게까지 해서 회사랑 각을 세워봤자 무슨 득을 보겠다고 그러겠어요 회사가 하지말라면 대부분은 안하고 말겠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145 법률투자사기를 당한것 같습니다ㅠㅠ 3 [익명] 23/08/19 2905 0
15121 법률근로계약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7 [익명] 23/08/09 2684 0
15068 법률민사에서 이겨도 돈 못받는 경우 18 매뉴물있뉴 23/07/24 3844 0
15054 법률안 좋게 나간 퇴사 근로자가 권익위원회에 신고를 했다는데... 7 [익명] 23/07/19 3088 0
15046 법률아파트 매매시 주의사항을 알고 싶습니다 7 [익명] 23/07/17 3422 0
15035 법률직장인인데 강의해서 수익을 내는 것이 허용되나요? 11 nm막장 23/07/15 5759 0
14966 법률전세집 조명 파손 시 세입자 입장 6 하마소 23/06/26 2231 0
14945 법률전세재계약 관련 질문입니다 7 [익명] 23/06/20 5660 0
14936 법률부동산 전월세 계약만료 관련 질문드립니다. 3 왼쪽의지배자 23/06/16 3239 0
14927 법률신호가 없는 골목->도로 진입 방법 퓨리 23/06/15 3457 0
14850 법률임대 작업실에 열쇠 설치 4 [익명] 23/05/25 2684 0
14802 법률전입신고 질문입니다 4 아서 모건 23/05/11 4624 0
14796 법률어머니 생활비 보내드리는거 증여세 질문입니다. 8 Picard 23/05/10 5599 0
14771 법률기타 소득 50만원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인가요? 4 [익명] 23/05/03 5479 0
14708 법률친구 동생이 간호조무사인데요 4 아서 모건 23/04/17 3462 0
14701 법률차량 물피도주를 당했습니다.. 수리비 청구는 얼마나 해야 할까요? 14 똘빼 23/04/14 4605 0
14630 법률상속분할 협의서 작성시 상속인 1인의 연락두절 2 tannenbaum 23/03/28 4319 0
14612 법률- 12 시간아달려라 23/03/23 5710 0
14588 법률원청-하청-재하청 관계에서 지시/보고 2 [익명] 23/03/16 3388 0
14564 법률토지 증여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2 주글래사귈래 23/03/09 4435 0
14558 법률연봉협상시 싸인 안하면 짤리나요 11 [익명] 23/03/07 5592 0
14535 법률퇴직금 지급 기준에 대해 4 먹이 23/02/28 2302 0
14534 법률가압류 압류 조언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9 [익명] 23/02/28 4999 0
14482 법률자동차사고 질문입니다 8 아비치 23/02/13 5558 0
14466 법률폭력 신고 의무 관련 5 먹이 23/02/09 565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