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12/21 21:44:05
Name   구밀복검
Subject   1기 신도시의 미래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1220/130692980/2

지난달 분당과 일산 등 1기 신도시 5곳에서 가장 먼저 재건축에 돌입할 ‘선도지구’가 선정됐다... 1991년 입주를 시작한 1기 신도시가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는 재건축 사업의 첫발을 뗀 것이다. 정부 목표대로 2030년 입주가 시작되면 1기 신도시 조성 이후 39년 만에 ‘시즌2’가 열리게 된다.

..1기 신도시를 추진한 배경은 집값 급등이었다. 1980년대 말은 국내 부동산 역사에서 ‘2차 급등기’로 불릴 만큼 시장이 과열됐다. 1986∼1988년 3저 호황(저달러·저유가·저금리)이 이어지면서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10.8%에 달했다. 풍부한 유동성은 부동산 가격을 밀어올렸다. 전국 집값 상승률은 1988년 13.2%, 1989년 14.6%, 1990년 21.0%에 달했다... 투기꾼들도 판을 쳤다. 1977년 3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목화아파트 분양 경쟁률은 당시 최고치인 45 대 1이었다. 뒤이어 분양한 여의도 화랑아파트 경쟁률은 70 대 1까지 치솟았다. 그런데 해당 아파트 당첨자 중 3분의 1이 무자격자로 드러났다. 문희갑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시로서는 (집값 문제가) 체제 붕괴 위협으로 인식될 정도였다. 이 때문에 주택 200만 채 건설을 추진하기로 하고 신도시를 물색한 것”이라고 했다.

1988년 대통령에 취임한 노 전 대통령은 이듬해 주택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곧바로 200만 채 건설에 나섰다... 엄청난 속도전이었다... 1989년 4월 신도시 건설을 발표한 후 7개월 만인 11월 분당 시범단지(4030채)가 분양에 나섰다. 첫 입주는 2년도 채 지나지 않아 1991년 9월 시작됐다. 이어 1992년 3월 평촌, 4월 산본, 8월 일산, 1993년 2월 중동에서 차례대로 입주 대열이 이어졌다... 1기 신도시는 집값 안정에도 도움이 됐다. 1기 신도시 입주가 시작된 1991년 서울 집값은 1986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0.5%)했다. 1992년 ―5.0%, 1993년 ―2.9%, 1994년 ―0.1%, 1995년 ―0.2% 등 집값 하락세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전까지 이어졌다

...1기 신도시는 쾌적한 주거 환경으로 2000년대 전성기를 맞았다... 하지만 1기 신도시는 자급자족력을 갖추지 못한 한계가 뚜렷했다. 입주 당시부터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하고 베드타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일자리를 만들지 못하는 신도시다 보니 서울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해당 지역 거주민 가운데 신도시 외 서울·경기 출근 비율이 분당(52.4%)과 일산(56.1%)은 절반이 넘는다. 평촌(60.4%)과 산본(69.4%)은 더 높다. 게다가 ‘선입주 후교통’ 정책으로 아직도 대중교통 수용 능력이 부족해 승용차 중심 교통 패턴이 굳어졌다... 그나마 분당은 주요 공기업 본사가 들어서며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다. 인근에 2기 신도시인 성남 판교까지 들어섰다.

정부는 ‘얼죽신’(얼어죽어도 신축 선호) 시대에 고밀 개발을 통해 신규 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하지만 산적한 과제가 많다. 업계에서는 최근 공사비 급등으로 인해 가구당 분담금이 수억 원씩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규모 이주도 리스크 중 하나다. 정부는 19일 분당·평촌·산본 3곳에 대해 해당 지역 및 인근에 이주용 주택 7700채를 짓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문제는 기준금리 인하 지연, 고환율 등으로 공사비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계산해 놓은 주택 공급 속도가 현실과의 괴리가 클 수 있다는 얘기다. 예상보다 공급이 느린 상황에서 이주 수요가 한 번에 몰리면 특정 지역 전월세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고난들을 뚫어내고 새 단장을 마칠 1기 신도시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신도시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체 부동산 시장의 미래가 이번 ‘메가 프로젝트’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도권의 라스트 댄스 vs 응 라스트 댄스가 바로 1991 노태우 메타였어
6공화국은 다시 태어날 수 있을까요
거듭 나면 가는 나라 재건축 나라
믿음으로 가는 나라 신도시 나라



2


cheerful
일산에서 고등학교를 보냈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그동네 재건축 한다고 뭐가 달라질까요... 어차피 베드타운인데
같이 고등학교 다니던 친구들 중에 지금도 일산에 남아있는 애들이 거의 없습니다 ㅎㅎㅎ
서울 살았던 입장에서
주변 친구들은 대부분 경인지역으로 각자 흩어졌는데
일산 사시는 분들은 어디로 흩어지셨나요?

막상 서울에서 나와 보니 여러모로 서울 재입성은 쉽지 않던데 말이죠 ㅠ
저도 일산 출신인데, 아직 연락하는 중학교 동창 저 포함 4명 중 1명만 아직 일산에 살고, 둘은 서울, 하나는 검단으로 갔네요.
개인적으로 서울은 그렇게 살고 싶은 도시는 아니라... 일산에 돌아가고 싶은데 일자리도 없고 도시 노후화와 인구의 고령화 때문에 미래가 걱정되네요...
2
cheerful
1기 신도시 때 분양 받고 입주하셨던 세대들이 벌써 칠순 잔치를 하고 있으니 말이죠....
cheerful
삼성 취업하고 아산에 있는 친구, 지방 의전가서 결혼하고 대구에 있는 친구, 그리고 서울 나와있는 애들 등등 있는데
일산에 남아 있는 친구들은 없더라고요 ㅎ
고기먹고싶다
서울에 직장이 있는데 서울에서 집못사면 일산 파주 김포에서 사는거죠 뭐
2
꿀래디에이터
서울(서부)에..

강남 일산 출퇴근 며칠 했는데 죽을 뻔 했습니다
FTHR컨설팅
모두다 배드타운인건 맞는데 평촌은 동탄 수원쪽에 일자리가 많아졌고
분당은 판교일자리가 생기면서 새로운 블록을 형성했지만
일산은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16 사회故 서희원 이어 배우 양우성도 독감으로 사망...향년 27세 8 Leeka 25/02/06 1459 0
1206 사회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민낯은 ‘비정규 백화점’ 방송사 2 다군 25/02/05 1356 1
1204 사회무안공항 장기 폐쇄…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 검토 11 먹이 25/02/05 1588 0
1201 사회'1등 로펌' 김앤장의 오징어게임 20 자공진 25/02/04 2084 8
1192 사회“소방관·어린이 동상에 왜 이런 게 있지?” 메리메리 25/02/04 1134 0
1176 사회"방 안에 불이 켜져 몰랐어"…설 명절에 60대 남성 고독사 1 swear 25/01/31 1564 1
1161 사회김해공항서 에어부산 항공기 불에 타…176명 모두 탈출(종합3보) 8 다군 25/01/28 1551 4
1150 사회대법원, 인천 건축왕 ‘2심 감형’ 징역 7년 확정 4 구밀복검 25/01/26 1444 0
1138 사회'직원 성희롱' 혐의 조민호 하나재단 이사장 해임 1 다군 25/01/24 1387 0
1128 사회장애인 돕던 천사였는데…뇌사상태서 4명에 새 삶, 진짜 천사 됐다 swear 25/01/23 1102 2
1127 사회"알몸으로 꿇고" 잔혹 성착취…박사방보다 악랄한 '목사방' 3 매뉴물있뉴 25/01/23 1463 1
1122 사회10대 포함 200여명 무차별 성착취…텔레그램 '자경단' 일당 검거 4 다군 25/01/23 1468 0
1114 사회보리차만 먹다 뇌손상으로 숨진 아기…수목장 치러준 검찰 4 swear 25/01/22 1719 0
1098 사회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 당시 공항공사 사장 숨진 채 발견(종합) 3 Leeka 25/01/22 1588 0
1071 사회"65년 뒤 기후위기 피해로 인류 절반 사망" 극단 전망 나와 4 트린 25/01/19 1722 0
1055 사회성심당 SNS 해킹에 누리꾼 분노 4 노바로마 25/01/18 1544 0
1051 사회'강제 재수' 몰린 수험생 구제받았다…DGIST 입학 결정 3 the 25/01/17 1633 8
1049 사회 "하나도 두렵지 않았다" 무안공항서 혼자 봉사한 초등생이 한 말 1 swear 25/01/17 1428 6
1048 사회"월급 날아간다" 압박에 투신한 현장실습생, 2심서 산재 인정 4 swear 25/01/17 1656 1
1030 사회어린이집서 친구 치아 부러뜨린 4살…3000만원 배상 청구에 법원 판결은? 17 swear 25/01/16 1623 0
1021 사회실종 7시간 만에 발견된 60대...강추위에도 무사 구조된 이유 7 메리메리 25/01/15 1675 1
1010 사회정부, 이달부터 산·바다에 뼛가루 뿌리는 산분장 허용 5 쮸물 25/01/14 1792 1
1007 사회“친구 구하려다”…물에 빠진 친구들 구한 중학생 숨져 4 swear 25/01/14 1577 0
1003 사회“무리에 못 끼면 한여름 에어컨 근처도 못 가”…경로당 갑질·왕따에 ‘노노학대’ 급증 6 swear 25/01/14 1599 0
998 사회무안공항에 모인 기자들... 언론의 '조별 과제'가 시험대에 오르다 6 카르스 25/01/13 1705 1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