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5/05/23 19:13:39 |
Name | 다마고 |
Subject | NYT 발행인 “자유로운 국민에겐 자유 언론이 필요하다” |
NYT 발행인 “자유로운 국민에겐 자유 언론이 필요하다” (조선일보, 2025.5.2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6971?sid=110 A.G. 설즈버거(뉴욕타임스 발행인)이 자유 언론의 중요성과, 언론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조선일보에서 이런 글을 번역해서 기사로 내보내는 거 자체가 웃기긴 합니다만, 좋은 글이라고 생각해서 공유합니다. 본문은 약 2,800자 정도로 추정됩니다. 아래는 글 본문 중간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그대로 소개합니다. --------------- 노트르담 대학의 두 저명한 동문에 관한 이야기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이 이야기는 권력과 언론 사이에 존재하기 마련인 긴장 관계를 이해하는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한쪽에는 35년 동안 노트르담 대학 총장을 역임한 테오도르 헤스버그 신부가 있습니다. 다른 한쪽은 대학 신문인 ‘디옵저버’를 창간한 야심 찬 학생 기자 밥 앤슨입니다. 1960년대 중반의 정치적·문화적 혼란 가운데 테드 신부는 (어쩌면 너그러운 마음에서, 아니면 학생 언론에 우호적인 기사가 나오게 하려고) 젊은 기자에게 총장 사무실에 언제든 방문해도 좋다고 초대를 했습니다. 취재원에 대한 접근권과 둘 사이의 권력 격차를 고려할 때, 앤슨은 이 관계를 좋게 유지하고 싶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앤슨은 언론의 독립성을 중요하게 여겼고, 가장 첨예한 대학 내 문제에 겁 없이 뛰어들겠다는 의지를 증명했습니다. 테드 신부에게 ‘디옵저버’는 골칫거리가 되었으며, 급기야 (기사 때문에) 총장 사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까지 했습니다. 보도에 대한 대학 측의 불만이 너무 커진 나머지 앤슨을 퇴학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될 정도였습니다. 이 이야기는 앤슨이 졸업하는 것으로 끝날 수도 있었겠죠. 하지만 몇 년 후, 앤슨은 타임지 기자로 취재하던 중 북베트남 군인들에게 포로로 잡혔습니다. 테드 신부는 그의 석방을 위해 노력했으며, 교황에게까지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앤슨은 후일 테드 신부를 “내 수호천사”라고 부르며, “내 생명을 구하기 위해 하늘과 땅을 뒤흔들었다”고 말했습니다. 테드 신부는 다른 영적인 은유를 사용했습니다. 앤슨을 구출한 것은 “지옥에서 악마를 끌어내는 것과 같았다”고 농담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앤슨은 바로 노트르담 대학으로 돌아와 대학, 사랑받는 미식축구 팀, 그리고 테드 신부에 대한 부정적인 기사를 또다시 작성했습니다. 그럼에도 테드 신부는 자신과 같은 공인들을 비판하는 언론의 가치를 결코 폄하하지 않았습니다. “당신은 학생 신문 편집장이었죠.” 그는 앤슨에게 말했습니다. “모든 편집장은 애를 먹입니다. 그게 직무의 일부죠.” 자유 언론은 애를 먹일 수 있지만, 이 또한 건강한 민주주의의 일부입니다. 0
|
조선일보가(특히나 정치면이) 언론윤리를 지켜가면서 보도했다면 저 말이 옳을 수 있겠죠.
근데 적어도 여태 봐 온 조선일보의 스탠스를 보면 저걸 명분삼아서 차기 정부가 들어서도 우리를 건들지 말라 라는 주장으로밖에 읽히지 않습니다. 제가 배배 꼬여서 그런지는 몰라도.
근데 적어도 여태 봐 온 조선일보의 스탠스를 보면 저걸 명분삼아서 차기 정부가 들어서도 우리를 건들지 말라 라는 주장으로밖에 읽히지 않습니다. 제가 배배 꼬여서 그런지는 몰라도.
MBC 전용기 배제 당하고 뉴스타파 압색 당하고 구속영장 때릴 때 꼬셔서 부채질하긴 했지만, 실은 조선일보 내가 이렇게 자유 언론이고, 건강한 민주주의 좋아한다 이거지... 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