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3/10 17:47:49수정됨
Name   카르스
File #1   0005163634_001_20250310163818357.jpg (85.4 KB), Download : 0
Subject   달라는 만큼 다 줬던 사회보험료…10년 증가율 OECD 1위 불렀다


양당 모두에서 감세론이 불거지고 있는 제일 큰 이유

나쁜 변화라곤 생각은 안 하는데(기사에서 말하듯 관리는 필요하지만)
이 결과로 지금은 최소한 무조건적인 증세론이 먹힐 상황은 아닙니다.

비록 문자 그대로의 증세는 아니지만, 최소한 준조세로 분류되는 사회보험료는 OECD 최상위권으로 올렸습니다.
곧 처리될 가능성이 높은 연금개혁까지 더하면...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63634?sid=101

* (수정): 허락해주세요님의 지적을 받아드려 표현을 정정하고 순화했습니다.



0


제가 잘 모르는 주제라 선생님의 논지에 찬반 의견을 표시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그냥 '국가 사회보험부담 증가율'이라고 하면 될 것 같은데, 'GDP대비 사회보험부담 증가율'이라고 해야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두 가지가 다른 지표인가요? 제가 통계는 잘 모르지만 기사 작성자가 '한국이 GDP의 40%를 사회보험에 쏟아붓고 있다고? (거봐 역시 XXX XXX...)'라는 독자의 착각을 의도한 것처럼 느껴집니다.
1
GDP 대비 사회보험부담은 금액이 아니라 %로 나오는 값이고, 그 %값이 증가했다는 뜻 같은데
만약 그냥 사회보험부담 금액 자체의 증가율로 했으면 어떻게 나왔을까 싶긴 하네요.
1
%p 증가가 아니라 % 증가니까 같은 값일 거라 생각하는데, 그래도 다들 정확하게 읽고 쓴다고 상정하는 게 옳겠지요. 제가 요즘 시국에 생각이 삐딱해지다보니 뻘소리를 못참은 것 같아서 적어놓고 조금 후회했습니다.
1
카르스
복지국가 규모는 통상적으로 GDP대비로 많이 산출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1
댓글창을 어지럽혀 죄송합니다.
1
허락해주세요
준조세는 세금이 아닙니다. 세금은 반대급부가 없고 사회보험은 반대급부가 있습니다.
4
허락해주세요
평소 조심스럽게 접근하시는 것에 대비해서 이 건에 대해 너무 함부로 강한 의견을 말씀하시는 듯 하군요.

증세는 안 했습니다. 그게 "사실"입니다.

도를 넘은 레토릭은 이와 같이 준조세가 올랐다고 증세했다는 논리입니다. 아니, 준조세라는 "단어" 자체가 레토릭입니다.
7
카르스
돌이켜보니 말씀대로 주장이 너무 센데 틀린 이야기까지 했네요.

문제되는 부분은 수정하고 표현은 순화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
- 달라는 만큼 줬다는데, 돌려 주었다는 것인지 국가에서 달라는 대로 주었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준조세인만큼 국가에서 철저히 걷어가지만, 실제로 충분히 지급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 준조세의 나쁜 점은 세금이 아니라서 정부 마음대로 쓴다는 것이지요. 세금은 의회의 감시를 받는데 준조세는 아니지요.
5
그렇게 심평원에서 삭감킥을 날려대는데 이런 흐름이 가속화되는게 더 위험할걸요?
일단 약가인하빔 맞고 퇴출되는 저가약이 널리고 널려서 로컬 원장님들도 대체조제 해도 신경 안쓰신지 좀 됬고, 약국에선 품절약 피해서 이리저리 제네릭 알아보고 다니고, 제약회사에선 주원료 부형제 죄다 중국 아님 인도산으로 돌리고 있고...
감세 얘기 하기 전에 현실화좀 했으면...
2
건강보험료 찾아보니까 2015년 6.07%에서 현재 7.09%니까 16% 오르긴했네요...ㅋㅋㅋ
2
이렇게 사회보험 올리는 거 별로예요.
그냥 세금을 올려서 사회서비스를 강화했으면..
사회보험 넘나 시장주의적인 것..
3
맥주만땅
별로일 뿐만 아니라 감시 받지 않고 사용해서....
2
바이오센서
증가율이 높다는 것은 기존에 얼마였는지에 따라서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기도…
1
노바로마
사실 준조세의 증가율이 높은건 주목할 건일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준조세와 조세의 범위는 국가마다 다르기도 하고, 수준값이 아니라 변화율값이면 좀 지엽적인 항목 같아요.

준조세(정확히는 사회보장기여금)와 조세의 세율을 합친 국민부담률을 봐야 할거 같은데 말이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38 사회80년대생부터 남성보다 여성이…`고학력` 비율 더 높아졌다 14 메리메리 25/03/28 1892 0
1737 사회애터미, 산불피해지원에 100억 기부…역대 재난재해 성금 최고 16 danielbard 25/03/28 1427 10
1736 정치단순 ‘경험’을 ‘경력’으로?…꼬리 무는 심우정 딸 채용 특혜 의혹 18 cheerful 25/03/28 1476 0
1735 정치특별심사 대상된 '한국 인권위'…결정문 보니 '계엄령 대응' 정조준 14 dolmusa 25/03/28 1364 0
1734 경제"예스 키즈 효과"… 현대백화점 식당가, 3040 매출 31.7% 상승 11 Leeka 25/03/27 1782 0
1733 정치검찰,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2심 무죄'에 상고 15 명동의밤 25/03/27 1534 0
1732 사회"국가재난에 무대책·무전략"…산불 대응 예산만 투입 효과 거꾸로 2 다군 25/03/27 1430 2
1731 사회산불로 주지스님도 입적…"사찰 지키셨던 듯 하다" 6 swear 25/03/27 1339 0
1730 사회의성 산불 키운 소나무 불폭탄, 혼효림이 해법이다 8 오호라 25/03/27 1581 1
1729 사회서울시에 '싱크홀 경고'했던 공사 관계자 "이번 사고는 인재" 5 cheerful 25/03/27 1579 2
1727 경제명일동 싱크홀도 위험지역이었다…"다른 곳 공개 못해" 서울시 속사정 16 매뉴물있뉴 25/03/27 1720 2
1726 사회대구 달성군 함박산 산불 12시간30분 만에 완진…밤샘 사투 1 swear 25/03/27 761 1
1725 정치지지부진 위례신사선, 위례 안 지나는 위례과천선..."고통은 12만여 주민 몫" 3 Leeka 25/03/27 1070 0
1724 사회전국에 비…남부·제주 밤까지 이어져 8 swear 25/03/26 1311 0
1723 정치'이재명 골프사진' 공개한 이기인 "졸지에 사진 조작범 돼" 20 danielbard 25/03/26 2081 0
1722 사회충북 영동서 산불, 1시간만에 진화…주민이 소각하다 발생 9 swear 25/03/26 1050 0
1721 정치법원 난동자 모인 남부구치소 ‘좌표 찍기’… ‘민원테러’에 업무 마비 5 the hive 25/03/26 1103 0
1720 정치이재명 선거법 2심 무죄…"김문기·백현동 허위발언 아냐" 39 매뉴물있뉴 25/03/26 2923 0
1719 정치방통위, 신동호 EBS 사장 선임…EBS 노사 일제히 반발(종합) 5 다군 25/03/26 1100 0
1718 경제서울 주택시가총액 2천320조원…수도권에 67.7% 집중 5 다군 25/03/26 1239 0
1717 사회의성서 산불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1명 사망…30년된 노후 기종(종합3보) 7 다군 25/03/26 1033 0
1716 사회'산청 산불' 지리산 넘었다 1 swear 25/03/26 1015 0
1715 정치안철수 “이재명 2심 선고, 유죄든 무죄든 대선 출마 안 돼” 25 명동의밤 25/03/26 1822 0
1714 방송/연예최불암, 14년 지킨 KBS '한국인의 밥상' 하차…후임은 최수종 13 swear 25/03/26 1241 2
1713 사회진실화해위 "미아를 고아로 조작해 해외 입양…정부 사과해야" 다군 25/03/26 978 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