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5/03/02 15:41:51 |
Name | 구밀복검 |
File #1 | news_p.v1.20250211.0447de1fef7b4fa3bcb6f61f5612bb0a_P1.jpg (212.4 KB), Download : 0 |
File #2 | 202502241832174375_l.webp (27.2 KB), Download : 1 |
Subject | ‘서울 국평’ 1억 떨어질 때 상위 20%는 4억 올랐다 |
요 두 그림이 부동산 시장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듯헙니다 1분위부터 4분위까지 다 21년보다 떨어졌는데 5분위만 오름 6억 원 이하 아파트도 늘어났는데 50억 원 초과 아파트도 같이 늘어남 그나마 이 범주는 '서울'에 국한된 거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17109 같은 서울 지역 내에서도 이 같은 격차는 벌어졌다. 지난달 서울 1분위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4억9047만원으로 한 달 전(4억9089만원)보다 하락했을 뿐더러, 고점이던 2022년 7월(5억8195만원)보다 1억원 가까이 하락했다. 이 기간 서울 5분위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4억4718만원에서 27억3666만원으로 3억원 가까이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울 25개 구 가운데 3.3(평)㎡ 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가장 비싼 강남구(9619만원)와 가장 저렴한 도봉구(2673만원)의 격차가 6946만원으로 집계되며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2241823202511 자료에 따르면 50억원 초과 단지가 있는 지역은 2021년에는 강남·서초·용산구 등 3곳에 불과했다. 이후 2024년에는 성동·송파·영등포·종로·중구 등이 포함되면서 8곳으로 증가했다. 전체 비중도 0.5%에서 1.1%로 늘어났다... 송파·영등포구에서도 지난해 처음 50억원 초과 단지가 등장했다... 반면 외곽지역은 6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가 되레 급증했다. 도봉구는 6억원 이하 비중이 2021년 33.0%에서 지난해에는 52.4%를 기록했다. 절반가량이 저가 아파트인 셈이다. 노원구 역시 이 기간 6억원 이하 비중이 22.0%에서 46.6%로 늘었고, 강북구 역시 6.5%에서 29.7%로 급증했다... 외곽지역의 경우 2021년 당시 6억 초과~9억원 이하 아파트에 있던 단지들 상당수가 가격이 떨어지면서 저가 아파트 대열에 합류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밀복검님의 최근 게시물
|
제 체감으로도 2019년 정도 가격이 적정해보이긴 합니다. 그때보다 한 10% 정도 높으니 한 2년 더 주차해서 경상 성장율에 녹으면 될 듯?
근데 한편으로 환율이 완전 박살나서 원화 자산이 지금 달러 표기로는 저렴하다는 걸 감안하면 분산 투자용으로 그럭저럭 살 만한..
근데 한편으로 환율이 완전 박살나서 원화 자산이 지금 달러 표기로는 저렴하다는 걸 감안하면 분산 투자용으로 그럭저럭 살 만한..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