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1/27 20:21:56수정됨
Name   다군
File #1   image20250127_201850_001.png (321.0 KB), Download : 1
Subject   中 AI 딥시크, 챗GPT 제치고 美앱스토어 1위…실리콘밸리 충격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7038900009

KISTI DATA INSIGHT 제42호 : 중국 학술적 성과의 영향력 변화: 헤게모니와 효율성을 중심으로
https://www.kisti.re.kr/post/data-insight/6621?t=1737976625897#


⌈엔비디아의 수석 리서치매니저인 짐 팬은 엑스(X)에 "우리는 오픈AI가 표방한 '모두에게 권한을 주는, 진정으로 개방된 프론티어 연구'라는 소명을 비(非)미국 기업이 유지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꼬집었다.

막스플랑크 광학연구소의 인공지능 연구를 이끄는 마리오 크렌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의 개방성은 매우 놀랍다"면서 그에 비하면 오픈AI의 o1이나 o3 모델은 "본질적으로 블랙박스"라고 말했다.⌋

요즘 딥시크가 핫하기는 했는데. 연휴 끝나면 딥시크 써봐야겠습니다. 중국 무섭습니다.


===
'Here’s what the sellside is saying about DeepSeek
AI’s cold war is now a price war
https://www.ft.com/content/c82933fe-be28-463b-8336-d71a2ff5bbbf

*FT Alphaville은 유료 구독자가 아니라도 회원가입 하면 볼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1


cheerful
한국에도 하루 빨리 친중정부가....!?
2
열한시육분
이게 한국의 다음 수십년중 가장 큰 과제죠
성능보다 https://github.com/deepseek-ai/DeepSeek-R1

모든걸 다 올려버린게 더 무서운 점이죠

그럼 안 올린건 어느정도일까? 하는 의문이 바로 나오는...
5
영원한초보
중국어도 없네요
중국어 오 readme써놓으면 보고 싶지 않았는데
국가 영향을 얼마나 받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허락해주세요
빨리 더 가열차게 경쟁해서 가격을 내리거라 이것들아
2
영어 잘하는 것만 확인되면 chatgpt 유료 끊어 버릴 수도...
4
활활태워라
하... 일주일전에 GPT 결제했는데
1
홍차넷에도 봇에도 딥시크 추가해봤는데, 클로드에 비해 대화 능력은 한참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2
중국어(한자) 때문이 좀 큰 것 같아요. 가끔 중국 전용 한자가 들어간 국한문혼용체를 쓰더라구요.
영어로 된 건 각국의 번역본이 있는데, 중국어로 된 건 영어로 된 것 외에는 짝이 맞는게 부족하니, 아무래도 중국어 영어 아닌 언어는 상대적으로 약할 것 같아요. 위의 국한문혼용(?)도 그나마 중국어와 연관이 있는 한국어를 찾아보니 그런거구요.
1
Dr.PepperZero
DeepSeek의 어떤 모델을 추가하셨는지 알 수 없지만, 대화형 모델이라면 차라리 V3가 더 나을수도 있읍니다.
얘는 MoE 모델이라 정리된 데이터를 내뱉는데 더 최적화된 모델이거든요.
다만, 영어/중국어 대화는 잘하는 편이지만 다국어 측면에서는 아직 한참 갈 길이 멀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deepseek-chat (V3) 썼는데 뭐가 좀 별로인거 같아서 지금은 deepseek-reasoner (R1) 로 바꿔놓았습니다.
근데 최근에 서버 상태가 메롱이여서 테스트는 많이 못해봤어요.

@딥시크 Dr.PepperZero님께 예의를 갖춰 인사드려
딥시크AI
토비님, 서버 상태로 인해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최적의 환경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Dr.PepperZero 선생님, 소중한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현재 다국어 처리 성능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학습 데이터를 확장 중이에요. 앞으로도 다양한 언어에서 더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도록 발전하겠습니다. 😊

혹시 특정 분야에서의 언어 이해도나 응답 품질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알려주세요!
Dr.PepperZero
사실 V3도 Claude나 GPT에 비하면 성능이..ㅋㅋㅋㅋㅋ
차라리 라마3.3을 써보시는 것도..
Dr.PepperZero
사실 더 저렴하게 구현한 모델을 이것보다 빠르게 구글이 출시했었읍니다..
왜인지 모르지만 이 사진이 다시 쓰이는...

뭐 어찌되었던 DeepSeek-R1은 Reasoning 모델이라, 일반적인 LLM과는 조금 다르긴 하고,
기본 베이스 모델이 되었던 DeepSeek-V3도 데이터를 GPT로 생성된 데이터를 불법으로 끌어다 썼다는 의혹도 있기도 합니다.
DeepSeek의 신드롬은 연구윤리같은건 크게 상관 없이, 최신 이론들을 가장 빠르고 민첩하게 대응해서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어서 빚어진 결과정도로 생각합니다.
... 더 보기
사실 더 저렴하게 구현한 모델을 이것보다 빠르게 구글이 출시했었읍니다..
왜인지 모르지만 이 사진이 다시 쓰이는...

뭐 어찌되었던 DeepSeek-R1은 Reasoning 모델이라, 일반적인 LLM과는 조금 다르긴 하고,
기본 베이스 모델이 되었던 DeepSeek-V3도 데이터를 GPT로 생성된 데이터를 불법으로 끌어다 썼다는 의혹도 있기도 합니다.
DeepSeek의 신드롬은 연구윤리같은건 크게 상관 없이, 최신 이론들을 가장 빠르고 민첩하게 대응해서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어서 빚어진 결과정도로 생각합니다.

가성비 제품들을 누구보다 빠르게 쏟아내던 공산품 시장의 알리같은 포지션이 DeepSeek인 것 같아요.
분명 경계해야하지만, 이것의 등장으로 모든 AI판이 다 망해버릴 것이다는건 조금 많이 갔다 시프요

정리하면 DeepSeek 쇼크는 AI판 알리/테무사태임
1

MS와 오픈AI 측에 이어 백악관(David Sacks)까지 지재권 침해라고 나섰더군요. 금융시장에서의 문제는 알리나 테무가 되는 것이 아니라 CAPEX가 확 주는 것 아닌가, Nvidia로 대표되는 AI관련주들 가치가 과도하게 높게 매겨진 것이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었던 것 같습니다. 딥시크가 아니라도 전기차 시장의 BYD 같은 AI 회사들이 중국 측에서 나올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만, MS 수장이 얘기한 것처럼 비용, 가격이 더 내려가면 제본스 역설로 앞으로 오히려 AI가 더 빨리 대중화되고, 관련 기술/제품 수요가 더 늘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1
Dr.PepperZero
제 업이 AI 쪽이라, 금융시장에서의 충격은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새로운 시각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쪽 업계에서는 사실 DeepSeek 자체는 DeepSeek-Coder가 나왔을 때부터 신선한 충격으로 이미 자리잡고 있었어서, 이번 일이 새롭고 큰 사태라기보다 이렇게 서로 치고받고 싸우다보면 대중화는 빨라지고, 더 많은 서비스들이 창출될 수 있겠다는 기대감이 더 큰 것 같습니다.

아마, 중국이라는 트레잇을 달고 있는 AI기업들이 더 등장한다 하더라도 메인스트림에 큰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하진 않아요. 다만, 또 하나의 빅네임이 등장했기 때문에 경쟁이 가속화되고 더 많은 사람이 AI 서비스에 친숙해져서 시장이 더 넓어지고 저 같은 서비스 개발자들의 먹거리가 더 늘어났으면 합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95 과학/기술2038년까지 신규 원전 2기·SMR 1기 건설…11차 전기본 확정 5 메리메리 25/02/21 942 0
1347 과학/기술메타 '휴머노이드 로봇' 참전…빅테크 '피지컬 AI' 경쟁 본격화 4 소피 25/02/17 588 0
1196 과학/기술60년 만에 풀린 물리학 이론…1차원 전자계 최초 구현 3 활활태워라 25/02/04 1203 1
1157 과학/기술中 AI 딥시크, 챗GPT 제치고 美앱스토어 1위…실리콘밸리 충격 16 다군 25/01/27 1578 1
809 과학/기술아무도 없는 치킨집서 불이?…'튀김 찌꺼기'가 원인일 줄이야 1 맥주만땅 24/12/27 1208 1
348 과학/기술새벽 자율주행 버스 첫출발 도봉산역-영등포역 3 오디너리안 24/11/27 1399 1
281 과학/기술30년 친구 과학자, 치매 치료 연구로 5천억 잭팟 터트렸다 2 오구 24/11/14 1716 0
105 과학/기술노벨 화학상도 AI…단백질 암호 풀어낸 '알파고 아버지' 등 3인(종합2보) 14 VinHaDaddy 24/10/09 2126 1
52 과학/기술국내 첫 자율주행 택시, 오늘 밤부터 운행 시작 1 오디너리안 24/09/27 1692 0
29 과학/기술AI 수요로 인하여 쓰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운영을 재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7 맥주만땅 24/09/24 2095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