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5/01/25 12:57:00 |
Name | 구밀복검 |
File #1 | PS25012300032.jpg (71.0 KB), Download : 0 |
Subject | 챗GPT 등장후 SW 개발자 권고사직 72% 늘었다 |
.....챗GPT 등장 이전과 비교해 지난해 11월까지 권고사직 대상에 이름을 올린 개발자가 72.2%(7058명) 늘어난 셈이다. 같은 기간 전 직종 권고사직 퇴사자는 71만 208명에서 71만 3263명으로 0.4%(3055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같은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일자리는 오히려 증가했다. 고용보험에 가입한 개발자는 챗GPT가 등장한 2022년 11월 24만 3644명에서 지난해 11월 25만 7775명으로 5.8%(1만 4131명) 늘었다. 같은 기간 고용보험 전체 가입자 증가율인 3.5%(52만 4188명)를 웃도는 수치다. 전문가들은 관련 기업이 저숙련 개발자는 대거 내보내고 숙련 인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43126642040672 개발 수요 자체는 늘고 있지만 주니어는 필요 없다는 것 갠적으로는 코로나 직전에 커리어 시작해서 시니어 문턱 넘은 사람들이 흐름을 잘 타지 않았나 싶읍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밀복검님의 최근 게시물
|
gpt가 생산성을 많이 높여준건 맞습니다.
해외는 모르겠는데 코시국 이후 국내는 자본이 돌지 않아서
많은 회사들이 대규모 감원을 했고 아직 제대로 회복을 못하고 있습니다.
gpt의존도가 높아진 시기와 포스트 코로나가 겹쳐서 gpt 비중을 너무 크게 보면 안됩니다.
gpt때문에 오히려 신입들도 일하기 편해졌습니다.
해외는 모르겠는데 코시국 이후 국내는 자본이 돌지 않아서
많은 회사들이 대규모 감원을 했고 아직 제대로 회복을 못하고 있습니다.
gpt의존도가 높아진 시기와 포스트 코로나가 겹쳐서 gpt 비중을 너무 크게 보면 안됩니다.
gpt때문에 오히려 신입들도 일하기 편해졌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