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4/04/10 11:23:30 |
Name | 카르스 |
Subject | 이스라엘, 6개월간 하루 평균 어린이 75명 살해 |
이스라엘은 현대의 어떤 분쟁과 비교해도 전례 없는 속도로 어린이를 죽이고 다치게 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지난 6개월 동안 가자지구에서 매일 평균 75명의 어린이를 살해했고, 살아남은 어린이 중 상당수는 회복이 불가능한 부상을 입었다. 가자지구에서 한쪽 또는 양쪽 다리를 절단하는 어린이가 매일 평균 10명 이상이다. 게다가 이스라엘 저격수들이 팔레스타인 어린이를 표적으로 삼는다는 가자지구 의사들의 제보도 이어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끊임없는 폭격과 총격으로 어린이를 죽이고 다치게 할 뿐만 아니라 기근 정책으로 굶주리게 하고 있다. 옥스팜은 이스라엘의 식량 봉쇄로 가자지구 인구의 절반이 기근 위험에 처해 있고, 가자지구 북부 주민이 하루 평균 245칼로리만 섭취하고 있다고 최근 보고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최소 27명의 어린이가 기아로 사망했고, 가자지구 북부에서는 5세 미만 어린이의 12~17%가 극심한 영양실조를 겪고 있다고 한다. 의사들은 가자지구 어린이들이 영양실조로 사망하지 않아도 장기간의 굶주림 때문에 성장과 발달이 저해되고 평생 건강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한다. 팔레스타인 어린이들이 겪는 정신적 피해도 매우 심각하다. 유니세프는 지난 2월 이스라엘의 포위 공격으로 팔레스타인 어린이 1만9천명이 고아가 됐다고 보고했고, 구호 단체들은 가자지구의 어린이들이 자살을 암시하는 말을 한다고 전하고 있다. 출처: https://www.vop.co.kr/A00001651355.html ============================================================================== 아동 피해자가 왜 이리 많은지는 인구구조라던가 (만약 존재하는 게 맞다면) 하마스의 민간인 방패 활용 등 논쟁소지가 없진 않지만, 이 정도면 옹호가 절대 불가능한 수준. 이스라엘은 어린이를 죽이는 전쟁, 가자의 아동에 대한 전쟁을 벌인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기사의 섬뜩한 상황 묘사에 하나 추가하자면, 전쟁 봉쇄로 마취제가 부족해서 다리 절단 수술을 마취제 없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동들이요.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르스님의 최근 게시물
|
국력상 상대가 안되니 이스라엘이 멸망까진 안 가더라도 추후 9/11 능가하는 대(對)이스라엘 테러를 맞지 않겠나 하는 생각 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나치는 업보를 맞았고 일본도 도쿄핫 맞았으니...
말씀하신대로 나치는 업보를 맞았고 일본도 도쿄핫 맞았으니...
저 숫자가 얼마나 많은 건지 21세기에 일어난 큰 전쟁이나 분쟁에서의 어린이 사망자 수와 비교하면 이렇습니다.
이라크(2008~2022년): 어린이 3100명으로 하루 0.6명
우크라이나(2022~2023년): 어린이 510명으로 하루 0.7명
예멘(2015~2022년): 어린이 3700명으로 하루 1.5명
아프가니스탄(2009~2020년): 어린이 8099명으로 하루 2명
시리아(2011~2022년): 어린이 12000명으로 하루 3명 꼴로
죽었습니다. https://www.aljazeera.com/news/2023/11/7/is-israels-gaza-war-the-deadliest-conflict-for-children-in-modern-times
이라크(2008~2022년): 어린이 3100명으로 하루 0.6명
우크라이나(2022~2023년): 어린이 510명으로 하루 0.7명
예멘(2015~2022년): 어린이 3700명으로 하루 1.5명
아프가니스탄(2009~2020년): 어린이 8099명으로 하루 2명
시리아(2011~2022년): 어린이 12000명으로 하루 3명 꼴로
죽었습니다. https://www.aljazeera.com/news/2023/11/7/is-israels-gaza-war-the-deadliest-conflict-for-children-in-modern-times
이스라엘은 이번 가자 침공 때 합소라(Habsora, 히브리어로 "복음")란 인공지능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폭격할 목표물의 위치를 생성하는 시스템입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21114060004611
위 기사는 겉핥기 감상문이고, 제대로 된 기사는 이것입니다. 최초 폭로 기사이기도 합니다.
... 더 보기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21114060004611
위 기사는 겉핥기 감상문이고, 제대로 된 기사는 이것입니다. 최초 폭로 기사이기도 합니다.
... 더 보기
이스라엘은 이번 가자 침공 때 합소라(Habsora, 히브리어로 "복음")란 인공지능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폭격할 목표물의 위치를 생성하는 시스템입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21114060004611
위 기사는 겉핥기 감상문이고, 제대로 된 기사는 이것입니다. 최초 폭로 기사이기도 합니다.
https://www.972mag.com/mass-assassination-factory-israel-calculated-bombing-gaza/
간단히 말하면, 이스라엘은 하마스와 그밖의 무장단체 구성원 수만 명을 모조리 목표물로 삼았고, 하마스 사령관 한 명을 암살하기 위해 민간인 수백 명을 죽이는 것을 승인했습니다.
이스라엘은 폭격을 위해 공장처럼 합소라를 돌렸으며, 비단 하마스 요원뿐 아니라 고층건물이나 주거타워, 관공서건물도 하마스를 압박하기 위해 표적이 되었습니다.
폭격으로 수백 가구가 가족 구성원 전체가 몰살되었습니다.
이 언론이 추가 취재를 하여 더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졌습니다. https://www.972mag.com/lavender-ai-israeli-army-gaza/
이스라엘은 라벤더(“Lavender”)란 이름의 인공지능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이번 전쟁에 처음 도입했습니다. 인간인 군인은 합소라(또는 “The Gospel”)와 라벤더가 결정한 폭격 목표물을 승인하는 도장만 찍습니다.
라벤더의 오류율이 10%이지만 폭격하는 데 문제가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표적이 실제 하마스 요원이나 대원인지 등의 검수 절차는 생략되었으며, 유일한 확인 절차는 표적이 남성인가였다 합니다. 합소라와 라벤더를 돌리면 되므로 더 많은 목표물을 입력할 수 있었고 더 많은 표적을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지금까지 2만 명이 넘는 팔레스타인 어린이와 여성이 목숨을 잃었습니다(잔해에 깔린 실종자 빼고).
* 관련 한겨레 기사: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119739.html 무자비한 인공지능, 팔레스타인 민간인 겨누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1135241.html 가자전쟁 6개월 사상자 11만명…AI가 정해준 ‘살상표적’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21114060004611
위 기사는 겉핥기 감상문이고, 제대로 된 기사는 이것입니다. 최초 폭로 기사이기도 합니다.
https://www.972mag.com/mass-assassination-factory-israel-calculated-bombing-gaza/
간단히 말하면, 이스라엘은 하마스와 그밖의 무장단체 구성원 수만 명을 모조리 목표물로 삼았고, 하마스 사령관 한 명을 암살하기 위해 민간인 수백 명을 죽이는 것을 승인했습니다.
이스라엘은 폭격을 위해 공장처럼 합소라를 돌렸으며, 비단 하마스 요원뿐 아니라 고층건물이나 주거타워, 관공서건물도 하마스를 압박하기 위해 표적이 되었습니다.
폭격으로 수백 가구가 가족 구성원 전체가 몰살되었습니다.
이 언론이 추가 취재를 하여 더 구체적인 내용이 밝혀졌습니다. https://www.972mag.com/lavender-ai-israeli-army-gaza/
이스라엘은 라벤더(“Lavender”)란 이름의 인공지능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이번 전쟁에 처음 도입했습니다. 인간인 군인은 합소라(또는 “The Gospel”)와 라벤더가 결정한 폭격 목표물을 승인하는 도장만 찍습니다.
라벤더의 오류율이 10%이지만 폭격하는 데 문제가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표적이 실제 하마스 요원이나 대원인지 등의 검수 절차는 생략되었으며, 유일한 확인 절차는 표적이 남성인가였다 합니다. 합소라와 라벤더를 돌리면 되므로 더 많은 목표물을 입력할 수 있었고 더 많은 표적을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지금까지 2만 명이 넘는 팔레스타인 어린이와 여성이 목숨을 잃었습니다(잔해에 깔린 실종자 빼고).
* 관련 한겨레 기사: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119739.html 무자비한 인공지능, 팔레스타인 민간인 겨누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1135241.html 가자전쟁 6개월 사상자 11만명…AI가 정해준 ‘살상표적’
기사 감사합니다.라벤다 라는 AI 관련 기사를 보니 참으로 과학자나 엔지니어의 테크놀러지를 연구 할때의 책임과 ethic 에 대한 딜레마에 대해 생각해보게 됩니다.
이스라엘군은 지상 침공 후 저격수를 곳곳에 배치하고 군사작전 지역을 사살 구역(kill zone)으로 지정해서 구역에 들어오는 사람은 다 쏴죽이는데요.
https://www.haaretz.com/israel-... 더 보기
https://www.haaretz.com/israel-... 더 보기
이스라엘군은 지상 침공 후 저격수를 곳곳에 배치하고 군사작전 지역을 사살 구역(kill zone)으로 지정해서 구역에 들어오는 사람은 다 쏴죽이는데요.
https://www.haaretz.com/israel-news/2024-03-31/ty-article-magazine/.premium/israel-created-kill-zones-in-gaza-anyone-who-crosses-into-them-is-shot/0000018e-946c-d4de-afee-f46da9ee0000
그래서 교회에 기도하러 가는 모녀를 쏴죽인 사건(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1120747.html)이나 백기를 든 십대 형제를 쏴죽일 사건(https://khan.co.kr/world/mideast-africa/article/202401301628001)이 국내언론에도 알려졌지만, 이런 일은 예외적인 사건이 아니라 현지언론 보면 이런 일들이 최근까지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명백히 고의적이고 비인도적이면서 잔혹한 살상을 하고 있습니다.
힌드 라자브 사건이 한 예인데, 힌드 라자브라는 6살 소녀가 아마도 사촌네 가족과 함께 살다가 1월에 이스라엘군의 대피 명령을 받고 피난을 가게 되었습니다.
다함께 승용차로 이동 중 이스라엘군이 총을 난사해 다섯 명이 그자리에서 죽고, 15살 사촌언니와 힌드 라자브만 살아남았습니다. 사촌언니가 구급대에 전화를 걸어 도움을 요청하여 통화가 되자 이스라엘군이 사촌언니를 쏴죽였고 구급대원 두 명이 출동하면서 한편으로는 전화로 힌드 라자브를 달래고 한편으로는 이스라엘군과 조율하면서 허가를 얻어 3시간만에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구급대원이 도착하자 이스라엘군이 탱크로 포격하여 세 명 모두 죽었습니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01426
https://www.haaretz.com/israel-news/2024-03-31/ty-article-magazine/.premium/israel-created-kill-zones-in-gaza-anyone-who-crosses-into-them-is-shot/0000018e-946c-d4de-afee-f46da9ee0000
그래서 교회에 기도하러 가는 모녀를 쏴죽인 사건(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1120747.html)이나 백기를 든 십대 형제를 쏴죽일 사건(https://khan.co.kr/world/mideast-africa/article/202401301628001)이 국내언론에도 알려졌지만, 이런 일은 예외적인 사건이 아니라 현지언론 보면 이런 일들이 최근까지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명백히 고의적이고 비인도적이면서 잔혹한 살상을 하고 있습니다.
힌드 라자브 사건이 한 예인데, 힌드 라자브라는 6살 소녀가 아마도 사촌네 가족과 함께 살다가 1월에 이스라엘군의 대피 명령을 받고 피난을 가게 되었습니다.
다함께 승용차로 이동 중 이스라엘군이 총을 난사해 다섯 명이 그자리에서 죽고, 15살 사촌언니와 힌드 라자브만 살아남았습니다. 사촌언니가 구급대에 전화를 걸어 도움을 요청하여 통화가 되자 이스라엘군이 사촌언니를 쏴죽였고 구급대원 두 명이 출동하면서 한편으로는 전화로 힌드 라자브를 달래고 한편으로는 이스라엘군과 조율하면서 허가를 얻어 3시간만에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구급대원이 도착하자 이스라엘군이 탱크로 포격하여 세 명 모두 죽었습니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001426
가자 주민을 죽이는 무기로 드론도 있는데요.
이스라엘군은 이번 전쟁에서 드론을 운용합니다. 사실상 가자지구 전역에서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비롯해 현대전에서 드론이 쓰이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미얀마에서는 적군을 공격하는 데만 드론을 쓰지만, 가자지구에서는 드론이 민간인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라파에도 공중에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24시간 날아다니므로 밤에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폭격 외에도 난민캠프나 대피소에도 드론이 불쑥 나타나서 총을 쏘곤 합니다. 이렇게 죽은 어린이, 민간인도 매우 많습니다.
병원건물 안에 피신해서 놀고 ... 더 보기
이스라엘군은 이번 전쟁에서 드론을 운용합니다. 사실상 가자지구 전역에서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비롯해 현대전에서 드론이 쓰이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미얀마에서는 적군을 공격하는 데만 드론을 쓰지만, 가자지구에서는 드론이 민간인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라파에도 공중에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24시간 날아다니므로 밤에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폭격 외에도 난민캠프나 대피소에도 드론이 불쑥 나타나서 총을 쏘곤 합니다. 이렇게 죽은 어린이, 민간인도 매우 많습니다.
병원건물 안에 피신해서 놀고 ... 더 보기
가자 주민을 죽이는 무기로 드론도 있는데요.
이스라엘군은 이번 전쟁에서 드론을 운용합니다. 사실상 가자지구 전역에서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비롯해 현대전에서 드론이 쓰이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미얀마에서는 적군을 공격하는 데만 드론을 쓰지만, 가자지구에서는 드론이 민간인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라파에도 공중에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24시간 날아다니므로 밤에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폭격 외에도 난민캠프나 대피소에도 드론이 불쑥 나타나서 총을 쏘곤 합니다. 이렇게 죽은 어린이, 민간인도 매우 많습니다.
병원건물 안에 피신해서 놀고 있는 어린이를 창밖에 드론이 나타나서 쏴죽인 사례도 있습니다. (https://www.khan.co.kr/world/mideast-africa/article/202404031640001)
이스라엘군은 이번 전쟁에서 드론을 운용합니다. 사실상 가자지구 전역에서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비롯해 현대전에서 드론이 쓰이고 있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미얀마에서는 적군을 공격하는 데만 드론을 쓰지만, 가자지구에서는 드론이 민간인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라파에도 공중에 드론이 날아다니고 있습니다. 24시간 날아다니므로 밤에 잠을 이루기 힘듭니다.
폭격 외에도 난민캠프나 대피소에도 드론이 불쑥 나타나서 총을 쏘곤 합니다. 이렇게 죽은 어린이, 민간인도 매우 많습니다.
병원건물 안에 피신해서 놀고 있는 어린이를 창밖에 드론이 나타나서 쏴죽인 사례도 있습니다. (https://www.khan.co.kr/world/mideast-africa/article/202404031640001)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