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4/04/07 12:28:48 |
Name | 카르스 |
Subject | 이-팔 전쟁 그 후, 유럽에서 커지는 반유대주의 |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594 이스라엘은 명백히 선을 넘은 지 오래지만, 그걸 핑계로 유대인에 대한 무차별적 혐오를 정당화하려는 세력이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한쪽에 반유대주의를 핑계로 이스라엘에 대한 정당한 비판조차 틀어막는 부류가 있다면, 다른 쪽엔 이스라엘 비판을 핑계로 반유대주의를 합리화하는 부류가 있습니다. 유대인, 이스라엘이 과도하게 자기방어적인 건 이런 반유대주의 문제도 큽니다. 이스라엘이 선을 넘었지만 그걸 넘어선 부분에 말을 아끼려는 이유.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르스님의 최근 게시물
|
시오니즘이 괜히 생긴게 아니죠. 물론 유대교가 기독교보다 훨씬 더 배타적인 건 맞습니다만 그렇다고해도 전 유럽에서 수백년간 차별받아왔는데..
시사인 기사지만 읽어보니 엄밀한 기사도 아니고 그냥 그렇더라 수준인데요. 진짜 문제는 수십 년째 반이스라엘을 반유대주의라며 이스라엘을 옹호하는 이스라엘과 서방국가들입니다.
이번에도 몇몇 사례를 보면, 프랑스 대통령은 10월7일 공격을 전후 최대 반유대주의라 말했고, 미국은 유엔 전문가가 제출한 제노사이드 보고서도 반유대주의라고 부르고 있죠.
각국 이스라엘 대사관이 반이스라엘 시위나 항의를 반유대주의라고 맞받아치는 건 단골멘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그랬고, 며칠 전 폴란드에서도 이런 일이 있었네요. https://www.yna.co.kr/view/AKR20240403171051082
반이스라엘은 반유대주의가 아니라 반나치입니다.
이번에도 몇몇 사례를 보면, 프랑스 대통령은 10월7일 공격을 전후 최대 반유대주의라 말했고, 미국은 유엔 전문가가 제출한 제노사이드 보고서도 반유대주의라고 부르고 있죠.
각국 이스라엘 대사관이 반이스라엘 시위나 항의를 반유대주의라고 맞받아치는 건 단골멘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그랬고, 며칠 전 폴란드에서도 이런 일이 있었네요. https://www.yna.co.kr/view/AKR20240403171051082
반이스라엘은 반유대주의가 아니라 반나치입니다.
독일 정부관료들을 만나 물어보니 생각보다 강경하게 하마스 공격을 규탄하길래.. 아니 독일은 무슬림 난민도 많이 받고, 내부적으로도 시위가 많은데.. 왜 그렇게들 공식적으로 이스라엘을 지지할까 의문이었는데.. 세계2차대전의 아픔이 아직은 생생하기에 나치주의가 다시 고개를 드는 일을 가장 두려워 한다고 하더라고요..
이 기사는 일종의 가짜뉴스라 생각합니다. 무거운 주제를 갖고 별다른 취재 없이 대충 이렇다더라 풀어가며 자신의 생각으로 결론내리는 의견글입니다.
그저 정념에 빠진 사람들이나 조직화되지 않은 사람들의 몇몇 사례를 서방 국가권력의 행동과 똑같이 비교해서는 안 됩니다.
기사에서 ‘인종차별 및 반유대주의 반대 재단(GRA)‘과 ‘주스위스 이스라엘 커뮤니티 연합(SIG)’이 어떤 성격인지 모르겠으나 올초 하버드대 총장까지 물러나게 만든 '반유대주의 혐의'를 볼 때( ... 더 보기
그저 정념에 빠진 사람들이나 조직화되지 않은 사람들의 몇몇 사례를 서방 국가권력의 행동과 똑같이 비교해서는 안 됩니다.
기사에서 ‘인종차별 및 반유대주의 반대 재단(GRA)‘과 ‘주스위스 이스라엘 커뮤니티 연합(SIG)’이 어떤 성격인지 모르겠으나 올초 하버드대 총장까지 물러나게 만든 '반유대주의 혐의'를 볼 때( ... 더 보기
이 기사는 일종의 가짜뉴스라 생각합니다. 무거운 주제를 갖고 별다른 취재 없이 대충 이렇다더라 풀어가며 자신의 생각으로 결론내리는 의견글입니다.
그저 정념에 빠진 사람들이나 조직화되지 않은 사람들의 몇몇 사례를 서방 국가권력의 행동과 똑같이 비교해서는 안 됩니다.
기사에서 ‘인종차별 및 반유대주의 반대 재단(GRA)‘과 ‘주스위스 이스라엘 커뮤니티 연합(SIG)’이 어떤 성격인지 모르겠으나 올초 하버드대 총장까지 물러나게 만든 '반유대주의 혐의'를 볼 때(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22749.html ), 저 단체들이 발행한 반유대주의 보고서의 반유대주의가 뭔지 의심스럽습니다.
유엔 사무총장도 반유대주의라고 비난받았으며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13761.html
'반유대주의'는 이전부터 악용되어 왔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1089266.html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45474.html
그저 정념에 빠진 사람들이나 조직화되지 않은 사람들의 몇몇 사례를 서방 국가권력의 행동과 똑같이 비교해서는 안 됩니다.
기사에서 ‘인종차별 및 반유대주의 반대 재단(GRA)‘과 ‘주스위스 이스라엘 커뮤니티 연합(SIG)’이 어떤 성격인지 모르겠으나 올초 하버드대 총장까지 물러나게 만든 '반유대주의 혐의'를 볼 때(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122749.html ), 저 단체들이 발행한 반유대주의 보고서의 반유대주의가 뭔지 의심스럽습니다.
유엔 사무총장도 반유대주의라고 비난받았으며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13761.html
'반유대주의'는 이전부터 악용되어 왔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1089266.html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45474.html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