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07/31 15:23:15 |
Name | 카르스 |
Subject | "학부모 악마화는 해법 아냐" 교권 붕괴 먼저 겪은 일본서 배운다 |
오노다 명예교수는 서울 서이초 사건을 듣고 "안타까운 일이지만, 학부모들을 괴물 취급해선 안 된다"고 했다. 그는 "이번 일을 계기로 학부모의 요구사항을 어디까지 수용해야 할지, 무엇이 악성 민원인지 등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교육청이 변호사, 의사,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교 문제 해결 지원팀'을 만들어 학부모와 갈등하는 교사와 학교를 지원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일본에는 '몬스터 페어런트(괴물 학부모)'란 표현이 있다. "2007년부터 유행했는데, 교사에게 부당한 요구를 하는 학부모를 가리킨다. 위험한 표현이어서 나는 쓰지 않는다. 학부모의 정당한 요구마저 깡그리 무시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부모를 괴물 취급해선 안 된다. 그들의 요구를 ①정당한 요구 ②학교의 업무 영역은 아니지만 대응 가능한 불만성 요구 ③무리한 요구, 즉 악성 민원 등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녀가 성소수자인데 치마 대신 바지 교복을 입히고 싶다'는 것은 ①에 해당하니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 학교 학생들이 우리 아파트 주차장에서 많이 노는데 위험하니 못하게 해달라'는 ②에 속한다. '졸업앨범에서 우리 아이 사진을 한가운데 배치해 달라'는 것은 ③이니 들어주지 말아야 한다." (중략) -교사와 학부모의 갈등이 지금처럼 커진 건 왜인가. "학부모와 교사 사이의 문제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지난 30, 40년간 일본에서 문제가 커진 건 학교와 교사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요구만 일방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문부과학성이 학생지도요강을 개정해 학생이 수업 중에 떠들어도 교사가 책상이나 칠판을 탕탕 치는 등 강하게 주의를 주는 것을 금지한 것이 단적인 예다. '조용히 하라'고 말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그 빈틈을 아는 학생들은 '이제 어쩔 건데?'라면서 도발하기도 한다. 10년 전에 만든 '괴롭힘(학교폭력) 방지 추진법'도 폐해가 크다. 학생들 간의 사소한 다툼까지 모두 가해자와 피해자가 있는 폭력 사건으로 규정해 서로 화해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고, 법정 다툼으로 키운다. 학교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온라인 공간의 괴롭힘, 학원에서 발생한 문제까지 모두 학교가 방치한 문제 때문이라고 몰아세운다. 이렇게 현장을 반영하지 않은 법과 지침이 교사를 괴롭히는 것은 한국도 비슷해 보인다." -학부모와 교사가 직접 소통하는 구조도 문제인가. "일본은 약 10년 전부터 교사의 개인 휴대폰 번호를 일절 공개하지 않는다. 한국도 그렇게 해야 한다. 하지만 악성 민원 자체를 막을 순 없다. 학교에 전화를 걸어 몇 시간 동안 끊지 않거나 학교를 찾아가 다음 날 새벽까지 같은 말을 계속하는 학부모도 봤다. 손편지나 이메일을 보내기도 한다. 프랑스·미국 등에선 학부모와의 소통을 교사가 아니라 관리직인 교장이 한다. 한국과 일본에선 담임교사가 그 역할을 오랫동안 맡아 왔기 때문에 갑자기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럼 어떻게 해야 교사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나. "교사·학교와 학부모의 갈등 상황이 발생할 때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오사카부 도요나카시 교육위원회가 만든 '학교 문제 해결 지원팀'이라는 체제가 있다. 전문가들로 구성된 지원팀이 문제가 발생한 학교를 찾아가 갈등을 조정한다. 하지만 유지 비용이 상당히 든다. 그래서 도요나카시 외에 도입한 곳은 교토시나 도쿄도 등 일부 지역뿐이다. 확대하려면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73008110002328 ================================================================== 좋은 내용이 많아서 여기에 올립니다. 비현실적인 수업 및 학교폭력 지침이나, 교사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시스템 등 양상이 너무 똑같아서 씁쓸합니다. 한국에서는 언론이나 해외 거주자들이 '해외에서는 교권이 잘 보장된다. 여기는 교권 붕괴를 이렇게 해결했다"면서 소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신질환으로 휴직하는 교사가 수천명이고 교사가 기피직업이 되었다는 걸 보자니 딱히 그것도 아닌 것 같고. 13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르스님의 최근 게시물
|
좋은 기사네요.
가까운 나라 일본은 우리나라와 다른 점도 많지만 비슷한 점도 많은 나라니 사례를 참고하여 고민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본 외의 다른 나라들 역시 참고하면 좋은 인사이트를 많이 얻을 수 있을 것 같고요.
가까운 나라 일본은 우리나라와 다른 점도 많지만 비슷한 점도 많은 나라니 사례를 참고하여 고민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본 외의 다른 나라들 역시 참고하면 좋은 인사이트를 많이 얻을 수 있을 것 같고요.
일본은 약 10년 전부터 교사의 개인 휴대폰 번호를 일절 공개하지 않는다.
- 이거 한국도 공개 안하잖아요. 극성맞은 사람들이 어떻게든 알아내서 하는거지..
한국과 일본에선 담임교사가 그 역할을 오랫동안 맡아 왔기 때문에 갑자기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 어렵긴.. 교장 교감이 제일 시간많은 사람들 아닐까 싶은데..
- 교장, 교감이 각 교실의 각 학생이 어떻게 지내는지 당연히 알지 못하겠지만, 민원을 들어본다음 개소리는 다 컷트하고 진짜 필요한 것만 담임하고 소통해서 답해주면 되는데.
- 답은 교장, 교감 악마화다! ㅋㅋ
- 이거 한국도 공개 안하잖아요. 극성맞은 사람들이 어떻게든 알아내서 하는거지..
한국과 일본에선 담임교사가 그 역할을 오랫동안 맡아 왔기 때문에 갑자기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 어렵긴.. 교장 교감이 제일 시간많은 사람들 아닐까 싶은데..
- 교장, 교감이 각 교실의 각 학생이 어떻게 지내는지 당연히 알지 못하겠지만, 민원을 들어본다음 개소리는 다 컷트하고 진짜 필요한 것만 담임하고 소통해서 답해주면 되는데.
- 답은 교장, 교감 악마화다! ㅋㅋ
이거야 말로 누칼협으로 가야죠. 조직에 민원이 들어왔는데 교장 교감이 손 놓는다는게... 이제 교사 개인 일로 치부하지 말고 적극 개입해라잉~
개인 번호 알아내서 연락했을 때 "직접 연락하는 건 금지니까 관리자한테 연락하세요"라고 차단 먹여도 해당 교사가 불이익 받지 않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거 같아요.
그게 학교 내에서 불이익을 주지 않는다고 해도 어려운 것이
직접 연락이 왔을 때 그렇게 거절을 했다치고
해당 건에서는 별 다른 일이 발생하지 않았어도
학부모가 벼르고 있다가 별 거 아닌 일로 아동학대라고 고소할 수도 있어서..
직접 연락이 왔을 때 그렇게 거절을 했다치고
해당 건에서는 별 다른 일이 발생하지 않았어도
학부모가 벼르고 있다가 별 거 아닌 일로 아동학대라고 고소할 수도 있어서..
기사를 보면 일본은 참고할 만한 솔루션 사례라기보다는 우리 함께 진행중인 어려움을 나눠보자 하는 동반자 같아요. 중요한 공생공사의 동반자네요.
오노다 교수가 제시하는 대안이 크게
1. 학부모의 요구들을 민원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리지 말고 범주화해서 대응할 것 (필터링후 정당한 요구는 수용해야)
2. 각 지역교육청에서 전문가 지원팀을 꾸릴 것
인데 1의 경우 범주화에 사회적 합의(알아서 자제하는 분위기)가 전제되어야 하고 2의 경우 실질적인 예산과 의지가 필요. 일본에서도 이런 ㄷ안이 캠페인 수준인지 아니면 어느 정도로 제도화... 더 보기
오노다 교수가 제시하는 대안이 크게
1. 학부모의 요구들을 민원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리지 말고 범주화해서 대응할 것 (필터링후 정당한 요구는 수용해야)
2. 각 지역교육청에서 전문가 지원팀을 꾸릴 것
인데 1의 경우 범주화에 사회적 합의(알아서 자제하는 분위기)가 전제되어야 하고 2의 경우 실질적인 예산과 의지가 필요. 일본에서도 이런 ㄷ안이 캠페인 수준인지 아니면 어느 정도로 제도화... 더 보기
기사를 보면 일본은 참고할 만한 솔루션 사례라기보다는 우리 함께 진행중인 어려움을 나눠보자 하는 동반자 같아요. 중요한 공생공사의 동반자네요.
오노다 교수가 제시하는 대안이 크게
1. 학부모의 요구들을 민원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리지 말고 범주화해서 대응할 것 (필터링후 정당한 요구는 수용해야)
2. 각 지역교육청에서 전문가 지원팀을 꾸릴 것
인데 1의 경우 범주화에 사회적 합의(알아서 자제하는 분위기)가 전제되어야 하고 2의 경우 실질적인 예산과 의지가 필요. 일본에서도 이런 ㄷ안이 캠페인 수준인지 아니면 어느 정도로 제도화되어 있는지 궁금하기도 해요.
기자분이 조금 더 디테일하게 취재했으면 좋았겠다 싶은 것이 위에서도 말씀들 하신 교사의 개인 전화번호 공개 문제인데요. 한국에서도 투폰 쓰는 학교 많고 공식적으로는 개인번호로 거는 게 금지돼 있지만, 어떻게든 찾아내서 거는 학부모들이 있는데 그분들을 처리할 방법이 없다는 것. 서이초 선생님도 그렇게 개인번호로 전화가 와 시달리셨죠... 개인적으로는 그런 분들은 스토킹법 위반으로 걸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 대신 학교의 민원창구는 좀더 전문성을 가지고 대응할 수 있게 보완하고요. 말단 하나 전화기 앞에 앉혀 두는 식으로는 곤란하지요.
어떤 교사분은 민원은 무조건 교장 교감이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도록 법으로 못박아야 한다고 주장하시더군요. 그래봤자 어차피 폭탄돌리기고 실효성이 있는지 의심스럽긴 하지만 교장들도 지금 그게 폭탄인 줄은 깨달아야 한다고.
오노다 교수가 제시하는 대안이 크게
1. 학부모의 요구들을 민원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리지 말고 범주화해서 대응할 것 (필터링후 정당한 요구는 수용해야)
2. 각 지역교육청에서 전문가 지원팀을 꾸릴 것
인데 1의 경우 범주화에 사회적 합의(알아서 자제하는 분위기)가 전제되어야 하고 2의 경우 실질적인 예산과 의지가 필요. 일본에서도 이런 ㄷ안이 캠페인 수준인지 아니면 어느 정도로 제도화되어 있는지 궁금하기도 해요.
기자분이 조금 더 디테일하게 취재했으면 좋았겠다 싶은 것이 위에서도 말씀들 하신 교사의 개인 전화번호 공개 문제인데요. 한국에서도 투폰 쓰는 학교 많고 공식적으로는 개인번호로 거는 게 금지돼 있지만, 어떻게든 찾아내서 거는 학부모들이 있는데 그분들을 처리할 방법이 없다는 것. 서이초 선생님도 그렇게 개인번호로 전화가 와 시달리셨죠... 개인적으로는 그런 분들은 스토킹법 위반으로 걸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 대신 학교의 민원창구는 좀더 전문성을 가지고 대응할 수 있게 보완하고요. 말단 하나 전화기 앞에 앉혀 두는 식으로는 곤란하지요.
어떤 교사분은 민원은 무조건 교장 교감이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도록 법으로 못박아야 한다고 주장하시더군요. 그래봤자 어차피 폭탄돌리기고 실효성이 있는지 의심스럽긴 하지만 교장들도 지금 그게 폭탄인 줄은 깨달아야 한다고.
일단 사람을 좀더 뽑고 업무를 세분화시켜야할듯.
선생이 수업에서부터 자잘한 학교업무 그리고 관리까지 다 하니 이 사단이 나는건데.
교장교감은 또 나름 윗사람이라 그런일은 밑에 사람이 하는거라는 태도구요
선생이 수업에서부터 자잘한 학교업무 그리고 관리까지 다 하니 이 사단이 나는건데.
교장교감은 또 나름 윗사람이라 그런일은 밑에 사람이 하는거라는 태도구요
민원을 분류할 때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말이 마음에 들어요. 이번 사건 관련해서 기사를 읽다가 화가 났던 부분이 있어요. 익명의 현직 교사 인터뷰였는데, 학생이 학교에 화장을 하고 오길래 생활지도를 했더니 학생의 부모님에게 항의를 받았다면서 정당한 교육마저 민원의 대상이 된다고 말하더라고요. 구체적으로 어떤 화장인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학생이 화장을 하는지 어떤지의 여부는 교사가 간섭할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어쩌면 제 생각이 소수파일 수도 있겠죠. 슬프게도...
민원을 분류해서 진상인지 아닌지 나눈다 이건 좋은데 그걸 어떻게 정할지가 문제겠네요. 진상들도 스스로는 정당한 민원이라고 믿을테니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