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3/06/14 15:45:06수정됨
Name   카르스
Subject   해외에도 ‘노키즈존’ 논란, 그 안에 도사리는 ‘성인주의’
이 카페가 유독 주목받기는 했지만, 사실 유럽에도 아동 출입이 금지된 장소들은 적지 않다. ‘노키즈존’ 대신 ‘차일드프리 존(child-free zone)’ ‘킨더프라이초네(Kinderfreizone)’ 같은 표현을 쓴다. ‘아동 부재’라는 의미에서는 노키즈존과 동일하다. 에둘러 조용한 장소라는 뜻의 ‘콰이어트 존(quiet zone)’ ‘루에초네(Ruhezone)’라고 표시하기도 한다. 스위스 호숫가에 자리잡은 공공 수영장들은 여름이 되면 더위를 피하려는 주민들에게 인기가 많다. 이용자 상당수는 아동과 청소년이지만 일부 수영장에는 루에초네가 있고, 그곳에서 아동은 환영받지 못한다. 주요 교통수단인 기차에도 루에초네 칸이 있다. 이 칸에서는 전화 통화는 물론이고 작은 소리로 대화하는 것, 심지어 헤드폰으로 음악 듣는 행위도 금지된다. 당연히 아이들, 또 아이를 동반한 성인들은 이 칸을 이용할 수 없다.

건물 전체에 아동 출입을 금지하는 호텔도 있다. 기껏 시간과 돈을 들여 계획한 휴가 중에 아이들이 떠드는 소리로 방해받기를 원치 않는 사람들을 겨냥한 업소들이다. ‘아이 없는 여행’이라는 이름의 독일어로 된 웹사이트(urlaub-ohne-kinder.info)는 아동 출입이 금지된 전 세계 호텔 목록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5월 현재 총 92개국 1540개 호텔에서 10세 이하 아동의 출입을 금지한다. 여기엔 파티 호텔, 동성애자 호텔, 싱글 호텔 등 특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호텔도 포함된다. 이 호텔들이 표면적으로 내세우는 명분 중 하나는 ‘다양성’이다. 고객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부 고객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려면 아동 출입 금지 같은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논리다.

밤늦게 음악을 크게 틀고 파티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 아이들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고 데이트를 즐기고 싶은 성인들을 겨냥해 아동 출입을 금지하는 호텔의 전략은 이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카페 모키스 구디즈 주인의 말처럼 개인 자금을 투자한 사업장의 영업 방식을 정당화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이를 ‘다양성’으로 포장하는 건 선뜻 납득하기 어렵다. 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 다른 집단의 권리가 제한된다면, 추구하는 가치가 다양성이 아니라 ‘특수성’이라고 해야 맞지 않을까. 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집단의 이해관계가 만나고 뒤섞이면서 아슬아슬한 균형을 잡아가는 게 다양성의 실현이라면, 공간과 집단을 분리해 애초에 충돌의 여지를 차단하는 것은 특수성의 실현이다.

(중략)

노키즈존 논란은 여러 각도에서 볼 수 있다. 경제활동의 자유에 주목할 수도 있고, 아동 배제 정책이 필연적으로 이들의 보호자, 특히 엄마인 여성을 함께 차별하는 효과에 집중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성인주의적 관점에 대한 비판은 그동안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 ‘주린이’ 같은 말이 농담으로 쓰이는 사회에서 어린이 정체성을 가진 시민의 삶은 어떨까. 성인 누구나 한때 아동이었음을 생각하면 더 씁쓸한 일이다.

‘패싱(passing)’은 정체성의 경계를 가로지른다는 뜻으로, 한 개인이 인종·성·종교 등과 관련해 자신의 정체성과 다른 집단의 구성원으로 간주되는 것 또는 그렇게 간주되도록 행세하는 것을 말한다. 피부색이 밝은 혼혈 흑인이 백인처럼 행동하는 것이 대표적 예다. 미국 사회에서 흑인들의 패싱은 인종차별에서 벗어나기 위한 선택인 경우가 많았다(고든 올포트, 〈편견〉). 노키즈존을 지지하는 성인은 스스로가 아동에서 패싱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패싱을 통해 자신이 차별에서 벗어났다 해서 그 차별이 사라진 건 아니다.

===========================================================================================
유럽에는 수영장, 열차, 호텔에도 노키즈존이 있다니;; 종류만 보면 우리보다도 다양한 것 같기도 하네요.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라 그런가 다양성이 노키즈존 정당화에 이용되는 것도 처음 알았습니다.

단순히 아동에 대한 차별을 넘어서 '성인주의(adultism)'이라는 키워드로 분석한 것도 좋고.



1


노키즈존의 정당성은 한줄로 입증 가능하죠.

"당신이 뭔데 왜 우리 애 기를 죽이고 난리야!"
-->
2
이미 넷상에서 너무나 많이 통용되는 말이라 큰 타격감은 없긴 한데 이게 혐오성 발언이라는 자각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이 키우는 부모를 폄하하는 문장이 이리도 내뱉기 쉽다니요.
-->
23
동의합니다. 진상 몇명 예시로 들면 모든 그룹을 밴 때릴 수 있을텐데요.
-->
9
대다수 부모들은 그렇게 몰상식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저 또한 그런 말이나 생각따위 해본적 없구요
-->
7
꿀래디에이터
"당신이 뭔데 왜 우리 애 기를 죽이고 난리냐고 기를 죽여!"
-->
1
스티브잡스
이런식이라면 세상 만인에 대해서 다 일반화와 입증이 가능합니다.
-->
1
P의노예
99프로가 다 올바른 부모여도 1프로가 한번 깽판치면 대응이 안되는 구조입니다. 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
1
꿀래디에이터
1프로의 게이가 깽판을 쳐도
1프로의 개가 깽판을 쳐도
1프로의 외계인이 깽판을 쳐도 대응이 안되는건 매한가지 아닌가요??
-->
2
P의노예
미국처럼 쫓아낼수 있거나, 터무니없이 자영업자 탓으로 몰아가거나, 맘카페에서 부당하게 여론조작하는거에 대한 법적 대응이 생긴다면 그땐 다른 이야기 아닐까요? 그럼 뭐 진상 쯤은 대응을 각오하고 무조건 손님들 다 받아라 해야합니까? 자영업자가 자기 매출 손해 각오하고 걸러 받는다는데 뭐가 문제죠? 대응책을 마련한 후에 노키즈존이 부당하다 주장하시면 이해라도 하겠습니다.
-->
5
꿀래디에이터
그러니까 일부 성소수자가 자기들 카페에서 부당하게 여론조작 하면
성소수자 출입금지 업소도 가능하다 이런 주장인거죠?
-->
P의노예
질문으로만 대응하시는데 제가 왜 대답해야하죠?
-->
꿀래디에이터
안하셔도 됩니다~ 저도 그게 편하겠네요
-->
조선전자오락단
말 그대로 소수와 일부가 악용, 오용, 남용한다면 그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
1
최근 아이, 아이 부모 등이 혐오 대상이 되는 현상을 보니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 소수자가 된 것 아닐까 하네요..
-->
9
20년 서울 가구수 440만 21년 미취학 아동 가구수 25만. 5%정도밖에 안되죠.
-->
2
아이들에게 어디에나 입장가능한 권리가 당연히 주어져야하는건가요?
업장의 운영은 업주의 권리이기도 하잖아요.
-->
3
흑인도 어디에나 입장해야 할 권리는 없죠. 아시안도 마찬가지. 뭐든 성별 나이 신체적인 조건 피부색 등으로 행위를 제한하는걸 차별이라고 합니다. 뭐 개인사업장에서 뭘 하든 업주 마음이지만 그렇다고 차별이 아닌건 아닙니다.
-->
1
흑인은 피부색만 다를 뿐 다른 인종들과 달리 행동할 거란 합당한 근거가 없는 반면, 아이들은 어른과는 다른 행동양식을 보이잖아요. 미성숙하고 룰을 지키지 못하는 사람으로 간주할 수 있지 않을까요?
-->
3
좀 마음이 먹먹해지는데.. 물론 아이는 그러니까 아이는 보호자랑 세트이고 보통은 통제가 됩니다. 통제가 안되는 아이를 이유로 전체 집단의 권리를 제한하는건, 꼰대 손놈 때문에 남성 금지, 치매 노인 때문에 노인 금지, 술마신 사람 입장 금지 등등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단지 노키즈존이 활성화된건 대상이 비교적 명확하고 구분하기 쉬움+아이가 소수여서 큰 타격이 없음이라고 생각하고요.

흔히 아이는 그래도 되지만 너는 그러면 안되지 라면서 좀 들어보면 아이도 그래선 안되더라구요. 솔직히 왜 출산율이 이모양인지 알 것 같습니다. 그냥 내 연금 받쳐줄 머릿수로만 생각하지 환영하는 사람은 없더라고요.
... 더 보기
좀 마음이 먹먹해지는데.. 물론 아이는 그러니까 아이는 보호자랑 세트이고 보통은 통제가 됩니다. 통제가 안되는 아이를 이유로 전체 집단의 권리를 제한하는건, 꼰대 손놈 때문에 남성 금지, 치매 노인 때문에 노인 금지, 술마신 사람 입장 금지 등등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단지 노키즈존이 활성화된건 대상이 비교적 명확하고 구분하기 쉬움+아이가 소수여서 큰 타격이 없음이라고 생각하고요.

흔히 아이는 그래도 되지만 너는 그러면 안되지 라면서 좀 들어보면 아이도 그래선 안되더라구요. 솔직히 왜 출산율이 이모양인지 알 것 같습니다. 그냥 내 연금 받쳐줄 머릿수로만 생각하지 환영하는 사람은 없더라고요.

[인권위는 “모든 아동 또는 아동을 동반한 보호자가 사업주나 다른 이용자에게 큰 피홰를 입히는 것은 아닌데 식당 이용을 전면 배제하는 것은 일부 사례를 객관적·합리적 이유 없이 일반화한 것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인권위가 판단의 근거로 내세운 것은 ‘누구든 사회적 신분에 의해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한 헌법 제11조다.

출처 : 제주도민일보(http://www.jejudomin.co.kr)]
-->
2
저도 애들을 키우고 있고, 솔직히 저희 애들은 통제가 잘 되는 편입니다.
하지만 어느 나이 이하의 아이는 동물에 가까운 행동양태를 보이잖아요.
갑자기 뛰어가거나 우는 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없잖아요. 일이 일어나고 나서 통제를 시도하는거지.
여하간 저는 노키즈존으로 운영하고 싶은 마음을 충분히 알 것 같고 차별당한다는 생각이 들진 않습니다.
아이가 당연히 부모눈에는 이쁘겠지만, 모두가 아이를 환영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는 강아지처럼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2
일단 아이는 개가 될 수 없고요. 이게 바로 개구리 올챙이적 모른다는 말이죠. 내가 분명 사회의 관용을 먹고 자랐는데 이제와서 나는 아이가 될 일이 없으니 손쉽게 밴 때리는게 편할 수는 있죠. 저도 말하지만 노키즈존 이해해요. 업주를 비난할 생각 없습니다. 노키즈존 가고싶은데 못가서 짜증나 죽겠네라는 마음도 전혀 안듭니다. 근데 노키즈존의 기저에 있는 논리가 싫습니다.
-->
1
아이가 개라는 건 당연히 아니죠.
개구리 올챙이 적 모른다고 비난하시는 것 같은데
제가 아이일 때도 어디에나 입장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리진 않았습니다. 애들은 가라~ 이런 말도 있었는데..
내가 아이가 될 일이 없어서 밴 때리는 게 아니라 그냥 아이가 오길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 거고 저는 뭐 그럴수도 있다 생각하는거지 대단한 논리를 옹호하거나 하는 게 아닙니다.
님이야 말로 다른 사람이 그렇다는데 그걸 인정하지 않고. 올챙이 적 생각못하는 사람으로 취급하려는지도 잘 이해가 안가네요.
-->
3
솔직히 저는 [일부는 강아지처럼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말씀을 도저히 소화를 못하겠어서 여기까지만 달겠습니다. 좋은 밤 되세요.
-->
2
에고 죄송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
2
moqq 님// 죄송해하지 않으셔도 돼요. 제가 먼저 공격적으로 이니시 건 것 같아 더 죄송합니다. 마지막으로 제 생각을 대신 잘 정리해준 글이 있어서 올려봅니다. http://dentalnews.or.kr/mobile/article.html?no=37655
-->
1
노아시안존
-->
1
좀 안타까운게... 요즘 부모들 보면 민폐끼치기 싫어서 식당 가면 아이들이 유투브만 봅니다. 저희 애도 좀만 지겨워하면 유투브 보여줘요. 진짜 애들인데 어쩌라고 식으로 행동하는 부모 잘 없습니다. 시끄러운 아줌마 아저씨들 훨씬 많고요. 노키즈존 갈 생각 없으니 노키즈존이 아닌곳은 좀 관용을 베풀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
2
캡틴실버
자꾸 인종문제와 엮어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성인과 아이의 행동양태는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인종간에는 없고요.
공공성이 강한 영역이나 다른 가게로의 접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지역의 가게라면 몰라도, 그게 아니면 노키즈존을 문제삼는 건 정말 소모적이고 논쟁적인 주제밖에 되지 않습니다. 키즈존을 활성화시키려는 정책적인 움직임을 확대하자는 주장에는 적극 동의합니다만, 주구장창 노키즈존만 문제삼는건 도데체 이해가 되질 않네요. 아이라는 존재는 엄연히 성인과 행동양식에서 차이가 나는 존재이고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존재인데, 이를... 더 보기
자꾸 인종문제와 엮어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성인과 아이의 행동양태는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인종간에는 없고요.
공공성이 강한 영역이나 다른 가게로의 접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지역의 가게라면 몰라도, 그게 아니면 노키즈존을 문제삼는 건 정말 소모적이고 논쟁적인 주제밖에 되지 않습니다. 키즈존을 활성화시키려는 정책적인 움직임을 확대하자는 주장에는 적극 동의합니다만, 주구장창 노키즈존만 문제삼는건 도데체 이해가 되질 않네요. 아이라는 존재는 엄연히 성인과 행동양식에서 차이가 나는 존재이고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존재인데, 이를 구별하는 걸 차별이라고 하는건 너무 억지라고 봅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충분히 아이를 케어하는 건 다 압니다. 그런데 소수의 진상 부모들이 아이를 방치했을 때 업주가 당할수 있는 피해의 구제 방안에 대해서 우리 사회가 충분히 대응하고 있을까요?
대부분의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다 선량합니다. 그런데 소수의 불량학생과 진상 학부모의 횡포를 '일부'의 문제로 치부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까? 우리 사회가 거기에 충분히 대응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
2
특별한 보호라고? 귀찮아서 배제하는걸 보호라고 하지는 맙시다.
노키즈존 들여보내달라고 하지 않아요. 아이 부모도 아이들 환영해주는 가게들 좋아하고 그런데 갑니다. 업주들 선택 존중하고 방치하는 부모들이 원죄라는것도 이해하는데 노키즈존을 필두로 전반적으로 아이와 부모를 무슨 잠재적 분탕종자로 보는 시선이 정말 불편합니다. 마치 남자는 잠재적 성범죄자라는 것처럼..

보통 살면서 술마시고 꽐라되고 길에서 노래부르고 토하고 노상방뇨하고 싸우고 부수고 하는 주취자들 몇번은 볼텐데.. 근데 옆에서 술마시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불편함이 없더라고요. 나도 술마시고 어쩌다 실수하고 할테니까...
-->
1
캡틴실버
https://m.khan.co.kr/opinion/yeojeok/article/201202292137165
특별한 보호 맞습니다.

아이의 실수로 발생한 사고에 대해 업주가 책임질 자신이 없으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그냥 폐업만이 답일까요?
-->
2
[아이의 실수로 발생한 사고에 대해 업주가 책임질 자신이 없으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그냥 폐업만이 답일까요?] 이게 어찌 아이를 보호하자는 논리인가요? 업주를 보호하자는 논리이지. 누누히 말하지만 업주 선택 이해하고 노키즈존 하세요. 솔직히 아이들 옆에 있는게 불편하고 사고라도 생기면 귀찮아진다. 뭐 다들 거기에 공감하니 출산율 0.78인거죠.
-->
1
캡틴실버
노키즈존은 업주의 선택이고 업주의 권리를 우선시하는 것입니다만, 아이가 사고치는 걸 방지하는 것도 아이를 보호하는 거죠. 그리고 업주의 선택 이해하신다면 차별 운운하시면서 영세 업주들 차별주의자로 만들지 마시고 키즈존 활성화를 위한 목소리를 더 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2
차별 운운하여 논지를 산으로 가게 만든 점 죄송합니다. 공격적이고 불필요한 발언인 점 인정합니다. 짧은 생각으로 첨언하기보다 다른 사람 글로 전하는게 좋을 것 같아 남깁니다. http://dentalnews.or.kr/mobile/article.html?no=37655
-->
뉴스테드
노키즈존 이슈는 어느 한쪽이 옳고 그름을 따질 문제라고 보기에는 굳이 그래야 할까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한적한 휴식을 원하는 사람들도 있을수 있고, 아이와 그리고 가족과 함께 자리를 갖고 싶은 사람들도 있을 수 있는거죠.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문제에 용어를 정의하고 옳고 그름을 따지고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자기 상황에 맞는 곳을 선택하고 찾아가 즐기면 될것을 굳이 타인에게 강요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하는거죠.
-->
2
폐끼치지 않고 피해받지 않는게 최고의 덕목인 한국 사회에서는 맞는 말이죠. 문제는.. 내 행동이 아닌 존재 자체로 거부되는 경험을 받아들여야 하는 아이들인 것 같네요.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10101516011
-->
1
뉴스테드
화를 조금 가라앉히시구요. 그럼 선생님은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한적한 휴식을 원하는 사람들은 어찌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하시나요?
-->
1
제가 어쩌다가 불타는 날이 있는디 곧 현자타임이 찾아오니 양해 바랍니다. 위에서 말씀 나눈 분들께도...

솔직히 제가 아이들 많은 세종에 사는데 휴식을 방해받은 경험이 없어 잘 모르겠습니다. 자체 노캔 귀를 갖고 있는지.. 어딜가도 사람없는 한적한 카페를 찾을 수 있어서... 국밥을 좋아하다보니 혼밥해도 애들과 마주칠 일도 없네요. 근데 서울은 애도 없어서 초등학교 폐교도 된다는데 평소에 아이들 많이 보시나요?

진짜 요즘 애들 핸드폰만 붙들고 있습니다. 영상보거나 게임하지 ㅋㅋ 그래서 그럴지도요.
-->
1
뉴스테드
초등학교 뒤에 살고 있어서 아이들은 매일 봅니다. 제 아이는 없지만 이제 10살 된 쌍둥이 조카들이 주말마다 놀러와서 아이들과 레슬링이라던가 글러브 끼고 복싱하는 정도(?) 거의 몸으로 놀아주고 있지요. 아이들 참 예쁘지요. 켜뮤니티, 뉴스에서나 노키즈존이라는 얘기를 듣지 사실 실제로 노키즈존을 겪어본 적은 없어서 그리 반감이 생기지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크게 의미를 두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싶어요.
-->
1
내 애는 잘때만 예쁩니다..... 저 개인적으로도 노키즈존으로 불편한 적이 없어서 크게 의식되지는 않습니다만... 여전히 노키즈존 확산이 바람직하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외신들도 한국의 노키즈존에 대해 특별하게 보는 것 같고요. 그래서 용혜인 의원을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홀로 불타는 바람에 너무 늦어졌네요. 바람이 참 시원한데 좋은 밤 되세요.
-->
1
스티브잡스
관대함을 잃어버린 분들이 늙어서 징징대지나 말았으면 좋겠군요.
-->
3
꿀래디에이터
그냥 애들한테는 돈도 제대로 못받고 매출도 잘 안나오니까 만만해서 노키즈존 하는거지
돈만되면 아무데나 똥싸는 짐승도 잘만 받아주는데
어린이는 통제가 안되니 뭐니 ㅋㅋㅋ
-->
3
좀 늦은 댓글이지만…

[돈은 안되고 영업에 지장만 주는] 노키즈 존이라 생각해요.

몇년 전 카페 장사할 적, 무개념 부모들이 영업장에 애기들 방목하는 사례 있긴 했어요. 하지만 [돈은 안되고 영업에 지장만 주는 중장년 남녀]들 보단 [애들]이 반갑더라구요. 천배 만배… ㅡㅡb

찾아보면 그때쯤 피지알이나 홍차넷에 그시절 울분 토하던 글 았을거야요. 아… 생각하니 또 빡치네.

애기들은 최소한 개진... 더 보기
좀 늦은 댓글이지만…

[돈은 안되고 영업에 지장만 주는] 노키즈 존이라 생각해요.

몇년 전 카페 장사할 적, 무개념 부모들이 영업장에 애기들 방목하는 사례 있긴 했어요. 하지만 [돈은 안되고 영업에 지장만 주는 중장년 남녀]들 보단 [애들]이 반갑더라구요. 천배 만배… ㅡㅡb

찾아보면 그때쯤 피지알이나 홍차넷에 그시절 울분 토하던 글 았을거야요. 아… 생각하니 또 빡치네.

애기들은 최소한 개진상, 폭행, 기물파손, 성추행은 안하자나요?

솔까 애기들이 술 처먹고 알바 성희롱하고 때려부샤 감시롱 깽판 쳐서 경찰 출동하나요. 걍 주고객 보다 애기들이 돈이 안되니 그러는거지.

근다고 성인 프리 하는 영업장은 별로 없죠. 심지어 키즈카페도 진상은 부모들이 대부분이지. 킁~~
-->
4
과한 표현과 감정소모적 논쟁이 지속되어 댓글 잠금합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239 국제2000년 전 나폴리 피자에 파인애플이?…현지인들 '부정' 16 swear 23/06/28 2687 0
35210 국제트럼프 유죄 판결 받아도 대통령 될 수 있을까? 1 오호라 23/06/27 1852 0
35202 국제 114% 인플레에도 공연장·식당 문전성시인 '경제 위기' 아르헨 3 다군 23/06/26 2306 0
35194 국제벨라루스 “프리고진, 러시아 내 병력 이동 중단 합의” 14 뉴스테드 23/06/25 2450 0
35193 국제바그너 그룹 북진 시작 22 그저그런 23/06/24 2748 1
35189 국제프리고진 결국 선 넘었나…'무장반란' 위협에 러 당국 수사 착수 9 dolmusa 23/06/24 2696 0
35167 국제머스크, 저커버그와 격투기 대결? "라스베이거스로 와라" 5 뉴스테드 23/06/22 2706 0
35133 국제이스라엘, 정착촌 확장 본격화…극우 장관에게 전권·규제 완화 6 오호라 23/06/20 2683 0
35111 국제일본 정부 '수산물 수입 중단' 홍콩에 "세슘 우럭, 식품안전성 영향 없어" 오호라 23/06/19 2697 0
35101 국제코로나19 봉쇄 중 英집권당 파티영상 공개…장관도 "끔찍하다" 1 다군 23/06/19 2712 0
35096 국제바이든 "시진핑, 정찰풍선 몰랐을 수도…수개월 내 대화 희망" 3 퓨질리어 23/06/18 2693 0
35093 국제중국 “태평양은 일본의 하수도 아냐”…다들 입장 내는데 5 덕후나이트 23/06/18 2661 0
35084 국제“좋아! 내가 쏜다” 10분 뒤 계산 않고 떠난 트럼프 11 뉴스테드 23/06/16 2639 0
35067 국제"우리나라 희망적" 한국 51% 일본 26%...보수일수록 낙관했다 4 카르스 23/06/15 2316 0
35065 국제“남자, 여자되는 것 괴물 같은 일”…성전환 수술 금지한 이 나라 2 Beer Inside 23/06/15 2685 1
35062 국제홍콩·마카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시 수산물 수입중단" 밝히자 日 "압력 넣을 것" 4 오호라 23/06/15 2710 0
35061 국제"비욘세 7년 만의 단독공연이 스웨덴 물가 급등 원인?" 5 다군 23/06/15 2302 0
35057 국제요미우리 ‘조선인 관동대학살’ 1면 보도에… 尹 “외교정상화 日 화답” 16 구밀복검 23/06/15 2325 1
35048 댓글잠금 국제해외에도 ‘노키즈존’ 논란, 그 안에 도사리는 ‘성인주의’ 43 카르스 23/06/14 3644 1
35031 국제대만 총통 교신 당시 난데없는 "우리는 중국 공군" 목소리 논란 오호라 23/06/14 1881 0
35020 국제베를루스코니 사망 8 구밀복검 23/06/12 2694 0
35012 국제바다에 ‘재난 시한폭탄’ 낡은 유조선 띄우는 러시아 오호라 23/06/12 2679 0
34998 국제댐 붕괴, 우크라에 기회 됐나... “3곳 이상 전선서 동시다발 대반격” 3 오호라 23/06/10 2685 0
34990 국제'트럼프 타운홀미팅' 생중계 단행한 美CNN 수장, 결국 사퇴 2 오호라 23/06/09 2362 0
34988 국제美 GM 전기차도 테슬라 충전소 쓴다…"북미 충전 표준화" 3 다군 23/06/09 2685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