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18/11/30 10:28:14 |
Name | 수박이 |
Subject | 1년만에 돈줄죄기…한은 기준금리 연 1.75%로 0.25%p 인상(종합)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0498524 금리 인상 시기가 좀 늦은 감이 있지 않나 싶은데, 이번 금리 인상은 일장 일단이 있겠군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수박이님의 최근 게시물
|
금리가 높아진다. =>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릴때, 갚아야 하는 총 금액이 늘어난다.
- 사람들이 대출을 잘 안받게 되므로, 투자하는 돈도 줄어든다. 시중에 돈이 덜 돈다. 경기가 둔화된다. 부동산과 물가는 내려간다.
- 반대로 사람들이 예금을 할때 돌려받는 이자가 높아지게 되므로, 외국 사람들이 우리 나라 은행에 돈을 더 많이 예금하게 된다. 우리 나라 돈을 외국 사람들이 더 많이 찾게 되기 때문에, 원화가 타 화폐 대비 절상된다. (= 1달러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원화가 더 적어진다.)
금리가 낮아진다. =&g... 더 보기
- 사람들이 대출을 잘 안받게 되므로, 투자하는 돈도 줄어든다. 시중에 돈이 덜 돈다. 경기가 둔화된다. 부동산과 물가는 내려간다.
- 반대로 사람들이 예금을 할때 돌려받는 이자가 높아지게 되므로, 외국 사람들이 우리 나라 은행에 돈을 더 많이 예금하게 된다. 우리 나라 돈을 외국 사람들이 더 많이 찾게 되기 때문에, 원화가 타 화폐 대비 절상된다. (= 1달러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원화가 더 적어진다.)
금리가 낮아진다. =&g... 더 보기
금리가 높아진다. =>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릴때, 갚아야 하는 총 금액이 늘어난다.
- 사람들이 대출을 잘 안받게 되므로, 투자하는 돈도 줄어든다. 시중에 돈이 덜 돈다. 경기가 둔화된다. 부동산과 물가는 내려간다.
- 반대로 사람들이 예금을 할때 돌려받는 이자가 높아지게 되므로, 외국 사람들이 우리 나라 은행에 돈을 더 많이 예금하게 된다. 우리 나라 돈을 외국 사람들이 더 많이 찾게 되기 때문에, 원화가 타 화폐 대비 절상된다. (= 1달러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원화가 더 적어진다.)
금리가 낮아진다. =>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릴때, 갚아야 하는 총 금액이 줄어든다.
- 사람들이 대출을 더 많이 받게 되므로, 투자하고 소비하는 돈은 늘어난다. 시중에 돈이 더 많이 돈다. 경기가 활성화된다. 부동산과 물가는 올라간다.
- 반대로 사람들이 예금을 할때 돌려받는 이자가 낮아지게 되므로, 외국 사람들이 우리 나라 은행에 돈을 더 적게 예금하게 된다. 원화가 절하된다. (= 1달러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원화가 더 많아진다.)
이게 제일 기초 개념이고 상황에 따라 다른 여러 복합적 요인들이 작용하면서 다른 효과가 생길수 있습니다.
한국은 현재 민간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금리를 높이는 건 좋은 생각은 아닙니다. 금리를 높여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많이 높기 때문에, 한국에 돈을 투자한 사람들이 미국으로 투자처를 옮기는 것(=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 때문이죠.
미국 연준의장은 종종 금리를 쭉 올릴 것처럼 이야기하다가, 얼마 전에 인상에 대해 소극적 기조를 펼 것이라는 뉘앙스를 비쳤습니다. 때문에 미국 금리를 따라간다는 관점에 있어서 이번 한국은행의 결정은 타이밍을 잘 못잡는다는 평이 많죠
- 사람들이 대출을 잘 안받게 되므로, 투자하는 돈도 줄어든다. 시중에 돈이 덜 돈다. 경기가 둔화된다. 부동산과 물가는 내려간다.
- 반대로 사람들이 예금을 할때 돌려받는 이자가 높아지게 되므로, 외국 사람들이 우리 나라 은행에 돈을 더 많이 예금하게 된다. 우리 나라 돈을 외국 사람들이 더 많이 찾게 되기 때문에, 원화가 타 화폐 대비 절상된다. (= 1달러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원화가 더 적어진다.)
금리가 낮아진다. => 사람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릴때, 갚아야 하는 총 금액이 줄어든다.
- 사람들이 대출을 더 많이 받게 되므로, 투자하고 소비하는 돈은 늘어난다. 시중에 돈이 더 많이 돈다. 경기가 활성화된다. 부동산과 물가는 올라간다.
- 반대로 사람들이 예금을 할때 돌려받는 이자가 낮아지게 되므로, 외국 사람들이 우리 나라 은행에 돈을 더 적게 예금하게 된다. 원화가 절하된다. (= 1달러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원화가 더 많아진다.)
이게 제일 기초 개념이고 상황에 따라 다른 여러 복합적 요인들이 작용하면서 다른 효과가 생길수 있습니다.
한국은 현재 민간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금리를 높이는 건 좋은 생각은 아닙니다. 금리를 높여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많이 높기 때문에, 한국에 돈을 투자한 사람들이 미국으로 투자처를 옮기는 것(=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 때문이죠.
미국 연준의장은 종종 금리를 쭉 올릴 것처럼 이야기하다가, 얼마 전에 인상에 대해 소극적 기조를 펼 것이라는 뉘앙스를 비쳤습니다. 때문에 미국 금리를 따라간다는 관점에 있어서 이번 한국은행의 결정은 타이밍을 잘 못잡는다는 평이 많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