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11/13 18:59:18수정됨
Name   DX루카포드
Subject   출입국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자 (입국과 출국)
출입국관리법의 목적입니다.

제1조(목적) 이 법은 대한민국에 입국하거나 대한민국에서 출국하는 모든 국민 및 외국인의 출입국관리를 통한 안전한 국경관리, 대한민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체류관리와 사회통합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네, 출입국관리법은 국민 외국인 구별없이 출국과 입국을 관리하는 법입니다.


제2장은 국민의 출입국을 규정하고 있는데, 조문 제목만 슥 살펴보겠습니다.

제3조(국민의 출국)
제4조(출국의 금지)
제4조의6(긴급출국금지)
제6조(국민의 입국)

여기서 제2장은 끝입니다. 네. 국민을 입국금지하거나, 강제출국시킬수는 없는겁니다.


외국인의 경우는 어떨까요?

제11조(입국의 금지 등) ① 법무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외국인에 대하여는 입국을 금지할 수 있다.

외국인은 입국단계에서 입국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출국은 어떨까요? 국민의 입국은 금지할 수 없지만, 외국인의 출국도 금지할 수 없을까요?

제29조(외국인 출국의 정지)
제29조의2(외국인 긴급출국정지)

최근 몽골 헌법재판소소장이 출국정지를 당했었지요. 우리나라에 입국해서 저지른 범죄때문이지요.
우리 국민의 권리의무에 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외국인의 출국도 정지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이제 출국을 '못하게' 하는 규정을 확인했으니,
강제로 내보내기 위한 규정을 봅시다.


제6장 강제퇴거 등

제46조(강제퇴거의 대상자) ①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은 이 장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외국인을 대한민국 밖으로 강제퇴거시킬 수 있다.

강제퇴거 사유 각호는 생략하고.. 강제퇴거를 하기 위해서는 어떤 절차가 필요할까요?
강제퇴거의 근거규정인 출입국관리법 제46조는 제6장 강제퇴거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야
외국인을 강제퇴거시킬 수 있음을 근거규정에서부터 명시하고 있습니다.
강제처분의 근거규정이기에, 법률 체계에서 장을 따로 나누어 세세히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제2절 조사] - 자 일단 조사를 해야죠. 조사를 할 권한을 주기 위한 근거규정들이 있습니다.

[제3절 심사결정을 위한 보호]

제51조(보호) ① 출입국관리공무원은 외국인이 제46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도주하거나 도주할 염려가 있으면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으로부터 보호명령서를 발급받아 그 외국인을 보호할 수 있다.  

내쫓으려고 심사하는건데 도망가버리면 내쫓을 수가 없겠죠? 그래서 그 심사를 하는동안 보호시설에
있도록 외국인의 신체의 자유와 거주이전의 자유를 제한합니다.
  
제53조(보호명령서의 집행) 출입국관리공무원이 보호명령서를 집행할 때에는 용의자에게 보호명령서를 내보여야 한다.
제55조(보호에 대한 이의신청) ① 보호명령서에 따라 보호된 사람이나 그의 법정대리인등은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을 거쳐 법무부장관에게 보호에 대한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제56조의4(강제력의 행사) ① 출입국관리공무원은 피보호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그 피보호자에게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고, 다른 피보호자와 격리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보호자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 도주의 방지, 시설의 보안 및 질서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에 그쳐야 한다.
1. 자살 또는 자해행위를 하려는 경우
2. 다른 사람에게 위해를 끼치거나 끼치려는 경우
3. 도주하거나 도주하려는 경우
4. 출입국관리공무원의 직무집행을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 또는 기피하거나 방해하는 경우
5. 제1호부터 제4호까지에서 규정한 경우 외에 보호시설 및 피보호자의 안전과 질서를 현저히 해치는 행위를 하거나 하려는 경우

④ 출입국관리공무원은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거나 보호시설의 질서유지 또는 강제퇴거를 위한 호송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보호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1. 수갑
2. 포승
3. 머리보호장비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보호시설의 질서유지 또는 강제퇴거를 위한 호송 등을 위하여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보호장비로서 법무부령으로 정하는 것

--
기본적으로 인신구속에 관한 규정들이기에 인권보호를 위해 규정이 세세합니다.
다만 국민이 아니기 때문에 법관이 발부한 영장까지는 요구하지 않습니다.

안대는 없군요. 제56조의 4 제4항 4호에서는 법무부령으로 별도의 보호장비를 사용할 수 있음을
규정하여 법무부령에 위임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법무부령은 없습니다. 결국 현재 피보호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보호장비는 수갑/포승/머리보호장비 뿐입니다.

[제4절 심사 및 이의신청]  
제59조(심사 후의 절차)②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은 심사 결과 용의자가 제46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인정되면 강제퇴거명령을 할 수 있다.  <개정 2014. 3. 18.>
③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은 제2항에 따라 강제퇴거명령을 하는 때에는 강제퇴거명령서를 용의자에게 발급하여야 한다.  <개정 2014. 3. 18.>
④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은 강제퇴거명령서를 발급하는 경우 법무부장관에게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용의자에게 알려야 한다.  <개정 2014. 3. 18.>

- 미란다원칙과 유사한 법절차규정입니다.

제60조(이의신청) ① 용의자는 강제퇴거명령에 대하여 이의신청을 하려면 강제퇴거명령서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지방출입국ㆍ외국인관서의 장을 거쳐 법무부장관에게 이의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5절 강제퇴거명령서의 집행]

제62조(강제퇴거명령서의 집행) ① 강제퇴거명령서는 출입국관리공무원이 집행한다.
③ 강제퇴거명령서를 집행할 때에는 그 명령을 받은 사람에게 강제퇴거명령서를 내보이고 지체 없이 그를 제64조에 따른 송환국으로 송환하여야 한다.

--

인신구속에 대한 재판청구권은 사법권력 분립의 핵심이라고 '헌법을 알아보자'편 마지막에서
마그나카르타의 의의를 이야기하며 소개해드렸습니다.
그만큼 신체의 자유는 근원적인 권리이고 법치주의 국가에서 신체의 자유를 제약하는 데는
필요성이 충분히 인정되어야 합니다.

출입국관리법의 강제퇴거-인신구속과 관련한 규정들은 적용대상이
국민이 아니어서 사법부가 발부한 영장을 요구하는 영장주의까지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영장은 아니지만 지방출입국 외국인관서의 장 명의의 보호명령/강제퇴거명령서를
상대에게 제시하여야 하고, 이의신청의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개인의 신체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지요.

--
제93조(남북한 왕래 등의 절차) ① 군사분계선 이남지역(이하 "남한"이라 한다)이나 해외에 거주하는 국민이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이하 "북한"이라 한다)을 거쳐 출입국하는 경우에는 남한에서 북한으로 가기 전 또는 북한에서 남한으로 온 후에 출입국심사를 한다.
② 외국인의 남북한 왕래절차에 관하여는 법무부장관이 따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법의 출입국절차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③ 외국인이 북한을 거쳐 출입국하는 경우에는 이 법의 출입국절차에 관한 규정에 따른다.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끄트머리에 재미있는 조항이 있습니다.
출입국관리법 제93조 1항은 [군사분계선 이남지역이나 해외에 거주하는 국민]이 북한을 거쳐
출입국하는 경우에 대한 출입국심사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여기에 등장하지 않는 카테고리는 무엇일까요?

군사분계선 이남지역도 아니고 해외도 아닌 곳..지도에서 두 부분의 여집합을 찾아봅시다.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이죠. 그리고 그곳에 거주하는 ["국민"]이 여기서 적용대상에서 빠진 사람들입니다.

출입국관리법 제1조에서 확인했죠? 이 법은 모든 국민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다고.

이 법조항의 적용대상에서 북한주민을 제외하기 위해 저렇게 법을 제정한 겁니다.
제2항의 적용대상은 '외국인'이죠.

제1항의 적용대상을 그냥 '국민'이라고 적지 못하는 데는 이런 숨은 뜻이 있는 겁니다.
그 결과, 북한주민인 국민에 대해서는 출입국관리법의 규정은 적용되지만, 그중 제93조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11


    입국에 대해 너무 간략하게 적어주셔서 시무룩......
    Cascade
    전 아직도 정부가 왜 그렇게 했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1
    금의야행
    근데 이거는 법률적으로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너무 명백한 사안이에요. 정부가 법치주의 절차 개나주고 개짓거리 한거구요. 도대체 왜 이런 짓을 했는지 이해가 안 가요. 진짜 북한 얘기만 나오면 죄다 회까닥 돌아버린 건가? 자국민의 권리를 가진 사람을 무슨 근거로 가서 죽으라고 북으로 보내버린 겁니까.
    7
    AGuyWithGlasses
    북한을 의도적으로 국가로 인정한다고 가정하면 풀리는 것들이 많긴 합니다.
    1
    호에로펜
    현 정부 북한 엄청 좋아하잖아요. 일방적인 짝사랑 ㅎㅎ
    소노다 우미
    스티븐 유 이야기가 나올줄 알았더니...
    3
    DX루카포드
    오..내일쯤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입국 얘기도 좀 덧붙일 겸..? ㅎㅎ
    오해하기 쉬운 곳이 있어서 좀 보탭니다.

    1. 보호관련 규정은 기본적으로 형사절차가 아니기 때문에 영장주의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형사절차였다면 외국인이라도 영장주의가 적용되는 것이 당연하죠.

    외국에서는 인권단체나 진보적 학자들이 '보호도 갇혀있으니까 형벌아니냐'라는 것 같습니다만, 근본적으로 형벌과 보호는 다릅니다.
    형벌은 잘못한 만큼 형을 때립니다. 잘못이 작으면 벌금 좀, 죄가 크면 징역~사형.
    형벌의 목적에는 일반예방/특별예방이 포함되죠. 잘못한 사람 감옥에 넣거나 사형에 처해서 사람들에게 죄를 지으면 *된다... 더 보기
    오해하기 쉬운 곳이 있어서 좀 보탭니다.

    1. 보호관련 규정은 기본적으로 형사절차가 아니기 때문에 영장주의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형사절차였다면 외국인이라도 영장주의가 적용되는 것이 당연하죠.

    외국에서는 인권단체나 진보적 학자들이 '보호도 갇혀있으니까 형벌아니냐'라는 것 같습니다만, 근본적으로 형벌과 보호는 다릅니다.
    형벌은 잘못한 만큼 형을 때립니다. 잘못이 작으면 벌금 좀, 죄가 크면 징역~사형.
    형벌의 목적에는 일반예방/특별예방이 포함되죠. 잘못한 사람 감옥에 넣거나 사형에 처해서 사람들에게 죄를 지으면 *된다는 걸 보여주고(일반예방), 감옥에 들어간 범죄자를 개선해서 새사람으로 만드는 것(특별예방)도 목적으로 합니다.

    그런데 보호는 그런 것이 없습니다.
    보호는 긴급보호 빼면 두가지로 나뉘는데, 원글에서 다뤄진 보호는 조사하는 동안은 도망가면 조사못하니까 잡아두는 것이고, 강제퇴거명령을 받은 사람의 보호는 강제퇴거할 사람 출국준비하는 동안 가둬두는 겁니다. 그냥 풀어두면 도망가서 조사를 못하고/자기 나라에도 안가니까 잡아두는 것 뿐입니다.
    오래 불체했으니까 오래 보호한다? 그런거 없습니다. 두달을 불체했든, 7년을 불체했든 집에 갈 준비만 되면 바로 보냅니다.
    불체자들에게 '이 간나들, 당장 안 가면 보호소에 처넣어 버리가서!라고 을러대는 것도 없고, 보호소에서 '불체는 나쁜 짓이야'라고 세뇌하지도 않습니다.

    형벌이 아니면 뭐냐? 행정법에서 다루는 즉시강제 쯤 될겁니다.
    즉시강제에 대한 영장주의 논의는 있지만 출관법은 적용을 않습니다. 외국도 거의 그런다는 것 같은데, 확인은 못해봤네요.

    2. 93조는... 저도 잘 모릅니다만, 출입경심사와 출입국심사가 다르기 때문에 둔 규정이 아닌가 싶습니다.
    외국으로 나가면 출국심사, 외국에서 들어오면 입국심사를 받습니다.
    그러면 북한은? 헌법에 따라 북한도 우리나라로 인정되기 때문에, 북한에 갔다오는 건 출입국심사가 아닙니다. '출입경심사'라고 하죠.
    그런데 북한으로 갔다가 거기서 외국으로 나가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또는 외국에서 북한을 거쳐서 입국하면? 출입경심사를 할 것인지, 출입국심사를 할 것인지 문제되죠.
    그래서 93조를 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DX루카포드
    아 그렇죠. 형사절차면 영장주의가 적용되죠.
    유사한 강제출국제도이면서 국민에게도 적용가능한 범죄인인도시에는
    법원의 심사를 받도록 되어 있는 점과 비교하면서 이야기하다보니
    '외국인이라서 그렇다'고 마치 외국인에게는 영장주의가 전혀 적용되지 않는 것처럼
    오해하기 쉽게 이야기하고 말았습니다.

    정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lgomás
    법은 하나하나 보다보면 재미있지만 공부하다보면 너무 화가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36 기타10년 이상 사용한 냉장고/김치냉장고 내일까지 무상점검 신청하세요 2 다군 19/11/28 6249 1
    10005 기타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좀 하겠습니다... 4 덕후나이트 19/11/19 6571 3
    9987 기타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관해 알아보자 11 DX루카포드 19/11/14 4899 10
    9985 기타출입국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자 (입국과 출국) 10 DX루카포드 19/11/13 5493 11
    9983 기타헌법을 알아보자 (법률유보와 법치주의) 13 DX루카포드 19/11/13 5300 21
    9963 기타CES 2020 참가합니다. 15 집에가고파요 19/11/08 4200 10
    9950 기타면접 떨어졌습미다. 창피하고 속상합니다. 14 덕후나이트 19/11/07 7697 13
    9946 기타[MLB] 사이영상 최종후보에 오른 류현진.jpg 11 김치찌개 19/11/06 4391 3
    9937 기타2019 WCS 글로벌 파이널 결승전 우승 "박령우" 김치찌개 19/11/03 4183 0
    9912 기타낭만적 사랑을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을까? 24 호라타래 19/10/29 5246 16
    9888 기타보육원의 추억... 1 o happy dagger 19/10/25 5097 9
    9880 기타[2019아시아미래포럼] 제레미 리프킨 "칼날처럼 짧은 시간 10년, 인류문명 전환해야" 2 다군 19/10/23 5439 2
    9876 기타[마감]푸쉬업바 나눔합니다 :) 14 오디너리안 19/10/23 4862 9
    9860 기타살인청부로 보는 하청의 문제점? 16 다군 19/10/19 6043 12
    9849 기타한국인 좋아하는 40가지(문화) - 한국갤럽(2004, 2014, 2019) 9 다군 19/10/17 5631 2
    9848 기타버스 앞자리에 정액 뿌린 사건 다른기사 29 Cogito 19/10/17 6830 0
    9847 기타인터브랜드 세계 100대 브랜드 (2019) 5 다군 19/10/17 7820 1
    9830 기타[옷나눔] 여자 직장인 옷 나눔해요 33 다람쥐 19/10/13 5973 24
    9822 기타한트케의 추억... o happy dagger 19/10/12 5121 9
    9809 기타홍콩 시위 참여 독려 영상 3 다군 19/10/09 4235 7
    9802 기타드라마 보좌관 2 김치찌개 19/10/09 4488 1
    9801 기타2019 GSL 슈퍼 토너먼트 시즌2 결승전 우승 "박령우" 3 김치찌개 19/10/09 4590 0
    9796 기타패스트트랙 관련 수사가 제대로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31 ArcanumToss 19/10/08 6804 0
    9791 기타제 19호 태풍 하기비스(HAGIBIS) 6 다군 19/10/07 4289 3
    9788 기타참치가 무지개다리를 건너갔습니다. 29 김독자 19/10/07 5821 3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