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9/10/29 22:55:27수정됨 |
Name | 치리아 |
Subject | 시몬 볼리바르의 절망 |
요즘 뉴스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칠레의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칠레 뿐만 아니라 남아메리카 국가들은 고질적인 빈부격차와 사회불안,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악명높죠. 칠레 뉴스를 보다가 문득 시몬 볼리바르의 어록이 떠올랐습니다. 시몬 볼리바르. 남아메리카 독립의 영웅으로 유명한 사람입니다. 물론 메소티소에게는 영웅일지언정 원주민 입장에서는 곱게 볼 수 없는 인물이고, 또 독재자로서의 면모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열정과 이상만큼은 누구나 인정할만한, 한 시대를 풍미한 걸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는 그의 독립의 맹세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하나님과 나 자신의 명예, 조국의 이름으로 맹세하노니, 내 심장과 팔뚝은 에스파냐가 우리를 속박한 사슬을 깨뜨릴 때까지 단 한시도 쉬지 않을 것이다." 라는,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맹세였지요. 한국에서 유명한 그의 어록으로는 "세상에는 가장 멍청한 바보가 셋 있다. 첫째는 예수, 둘째는 돈키호테, 그리고 나 볼리바르다."가 있습니다. 이건 죽기 직전에 의사에게 남긴 유언이라고 하죠. 한국에서 또 유명한 어록이 다름아닌 "혁명을 위해 싸운 인간은 결국 바다에서 쟁기질했을 뿐이다."라는 말입니다. 이건 한국에서는 주로 보수언론 내지 보수식자들이 혁명무상을 이야기하면서 쓰는 경향이 있어보이더군요. 그런데 이 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맥락에서 나왔을까요? 대부분 의역입니다. 특히 마지막에서 2번째 문장은 저도 잘 몰라서 완전 의역을 했는데, 지적해주시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As you know, I have led for twenty years and have obtained only a few certain results: "당신도 알다시피, 나는 지난 20년을 살아오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merica is ungovernable. 아메리카는 통치할 수 없는 땅이다. He who serves a revolution plows the sea. (이곳에서) 혁명을 꿈꾸는 것은 바다에서 쟁기질하는 것과 같다. The only thing one can do in America is emigrate. 아메리카에서 할 수 있는 건 오로지 이민뿐이다. This country will fall unfailingly into the hands of the unbridled crowd and then pass almost imperceptibly to tyrants of all colors and races. 이 나라는 고삐풀린 대중의 지배로 끝없이 추락하다가 아무도 모르게 만인을 억압하는 폭군의 손으로 넘어갈 것이다. Devoured by all crimes and extinguished by ferocity, the Europeans will not deign to conquer us. 온갖 범죄가 횡횡하고 폭력으로 자멸하는 한, 유럽인들은 우리를 정복할 가치조차 느끼지 못할 것이다. If it were possible for one part of the world to return to primitive chaos, this would be the last period of America." 만일 세상의 어느 한 곳이 원초적 혼란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면, 그것이 아메리카의 마지막 순간일 것이다." 남아메리카와 직접 관련이 없는 후세인인 우리들이 보더라도 그 안에 깔린 좌절과 환멸을 느낄 수 있는 흉흉한 글입니다. 거의 저주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죠;; 다행히 현실은 시몬 볼리바르가 저주한 정도는 아니었습니다만, 여전히 남아메리카 각국이 문제에 시달리는 것을 보면 씁쓸함이 느껴집니다. 그것이 아니더라도 시몬 볼리바르 개인, 평생을 바쳤던 과업을 말년에 스스로 부정하게 된 이상가의 절망만으로도 안타까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론으로만 보자면, 진보든 개혁이든 혁명이든 그 전제에서는 '인간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지 말아야겠지만 정말 쉽지 않은 일이죠. 그렇지 못했기에 사람들을 위해 나섰다가도 실망하고 이른바 '변절'한 사람들도 정말 많습니다. 구한말 조선을 개화하겠다던 이상가들이 좌절하고는, 조선민족은 희망이 없다며 친일파가 되버린 일들이 역사 속의 가까운 예시겠지요. 그런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잘 드러내주는 씁쓸한 역사의 한 부분이라 생각해 소개해봅니다. 12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치리아님의 최근 게시물
|
글의 주제와는 조금 다르지만 반가운 사람이 나와 조금 글을 써봅니다.
시몬 볼리바르는 태어나기만 남미에서 자랐지, 나폴레옹과 스페인왕정을 어린시절 유럽으로 넘어가 몸소 배운 뒤 남미에 다시 넘어온 '정복자 유럽인'의 일부였습니다. 실제 페루 시절 그의 군정치 행보를 보더라도 선망을 받기에는 어려운 행적들이 많이 남아 있어, 명과 암이 확실히 드러납니다.
가장 큰 문제는 '남미가 누구로부터 어떤 방식으로 독립하였느냐?'에 대한 정체성에 묘한 기운을 끼얹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독립운동이 끝나고 유럽으로 날아간 아르헨티나의 산 마르틴... 더 보기
시몬 볼리바르는 태어나기만 남미에서 자랐지, 나폴레옹과 스페인왕정을 어린시절 유럽으로 넘어가 몸소 배운 뒤 남미에 다시 넘어온 '정복자 유럽인'의 일부였습니다. 실제 페루 시절 그의 군정치 행보를 보더라도 선망을 받기에는 어려운 행적들이 많이 남아 있어, 명과 암이 확실히 드러납니다.
가장 큰 문제는 '남미가 누구로부터 어떤 방식으로 독립하였느냐?'에 대한 정체성에 묘한 기운을 끼얹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독립운동이 끝나고 유럽으로 날아간 아르헨티나의 산 마르틴... 더 보기
글의 주제와는 조금 다르지만 반가운 사람이 나와 조금 글을 써봅니다.
시몬 볼리바르는 태어나기만 남미에서 자랐지, 나폴레옹과 스페인왕정을 어린시절 유럽으로 넘어가 몸소 배운 뒤 남미에 다시 넘어온 '정복자 유럽인'의 일부였습니다. 실제 페루 시절 그의 군정치 행보를 보더라도 선망을 받기에는 어려운 행적들이 많이 남아 있어, 명과 암이 확실히 드러납니다.
가장 큰 문제는 '남미가 누구로부터 어떤 방식으로 독립하였느냐?'에 대한 정체성에 묘한 기운을 끼얹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독립운동이 끝나고 유럽으로 날아간 아르헨티나의 산 마르틴과 대조되는 모습이기도 한데, 맑스도 이런 점을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합니다. (물론 그런 신화적 독립투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단적인 예로 이순신 장군을 보면, 한국인을 단합할 수 있는 교집합적 인물입니다만, 남미 전역에 남아있는 시몬 볼리바르 장군 동상들을 보면, '그는 누구를 대표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깁니다. 특히 시몬 볼리바르의 마지막 모습은 구태의연한 정치인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고 생각하네요. 그란꼴롬비아라는 대남미제국의 제왕을 꿈꿨을 뿐이지 과연 pueblo(시민)의 목소리를 듣고 있는 사람이었는가에 저는 의구심이 생깁니다.
칠레의 좌우진영 싸움을 보게되면 우리나라의 유사좌우정치와는 결이 극명하게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칠레는 피노쳇군정 이후 그 어떤 나라보다 사회주의적 정책에 유한 정권을 20여년간 유지해왔습니다(아르헨티나와 용호상박이네요). 많은 남미 국가에는 아직도 인디오와 메스티소가 있으며 이들은 상류 사회를 대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만, 그들에 대한 속죄인건지, 아니면 그들의 목소리가 설득력이 있는 건지 판단하기 어려우나, 젊은 세대의 주류는 그들 역시 이민자들과 평등한 권리를 누릴 자격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임금의 상승, 공공서비스의 확대, 교육의 평등). 남미, 아프리카의 많은 개발도상국이 끊임없이 중국과 해외자본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국채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는 지금, 그 결을 끊어내기 위해 지금 목소리를 높인 젊은이들은 어쩌면 시몬 볼리바르보단 더 위대할 지도 모른다고 저는 믿고 있습니다.
시몬 볼리바르는 태어나기만 남미에서 자랐지, 나폴레옹과 스페인왕정을 어린시절 유럽으로 넘어가 몸소 배운 뒤 남미에 다시 넘어온 '정복자 유럽인'의 일부였습니다. 실제 페루 시절 그의 군정치 행보를 보더라도 선망을 받기에는 어려운 행적들이 많이 남아 있어, 명과 암이 확실히 드러납니다.
가장 큰 문제는 '남미가 누구로부터 어떤 방식으로 독립하였느냐?'에 대한 정체성에 묘한 기운을 끼얹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독립운동이 끝나고 유럽으로 날아간 아르헨티나의 산 마르틴과 대조되는 모습이기도 한데, 맑스도 이런 점을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합니다. (물론 그런 신화적 독립투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단적인 예로 이순신 장군을 보면, 한국인을 단합할 수 있는 교집합적 인물입니다만, 남미 전역에 남아있는 시몬 볼리바르 장군 동상들을 보면, '그는 누구를 대표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깁니다. 특히 시몬 볼리바르의 마지막 모습은 구태의연한 정치인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고 생각하네요. 그란꼴롬비아라는 대남미제국의 제왕을 꿈꿨을 뿐이지 과연 pueblo(시민)의 목소리를 듣고 있는 사람이었는가에 저는 의구심이 생깁니다.
칠레의 좌우진영 싸움을 보게되면 우리나라의 유사좌우정치와는 결이 극명하게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칠레는 피노쳇군정 이후 그 어떤 나라보다 사회주의적 정책에 유한 정권을 20여년간 유지해왔습니다(아르헨티나와 용호상박이네요). 많은 남미 국가에는 아직도 인디오와 메스티소가 있으며 이들은 상류 사회를 대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만, 그들에 대한 속죄인건지, 아니면 그들의 목소리가 설득력이 있는 건지 판단하기 어려우나, 젊은 세대의 주류는 그들 역시 이민자들과 평등한 권리를 누릴 자격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임금의 상승, 공공서비스의 확대, 교육의 평등). 남미, 아프리카의 많은 개발도상국이 끊임없이 중국과 해외자본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국채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는 지금, 그 결을 끊어내기 위해 지금 목소리를 높인 젊은이들은 어쩌면 시몬 볼리바르보단 더 위대할 지도 모른다고 저는 믿고 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