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10/29 22:55:27수정됨
Name   치리아
Subject   시몬 볼리바르의 절망
 요즘 뉴스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칠레의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칠레 뿐만 아니라 남아메리카 국가들은 고질적인 빈부격차와 사회불안,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악명높죠. 칠레 뉴스를 보다가 문득 시몬 볼리바르의 어록이 떠올랐습니다.


 시몬 볼리바르. 남아메리카 독립의 영웅으로 유명한 사람입니다. 물론 메소티소에게는 영웅일지언정 원주민 입장에서는 곱게 볼 수 없는 인물이고, 또 독재자로서의 면모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열정과 이상만큼은 누구나 인정할만한, 한 시대를 풍미한 걸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는 그의 독립의 맹세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하나님과 나 자신의 명예, 조국의 이름으로 맹세하노니, 내 심장과 팔뚝은 에스파냐가 우리를 속박한 사슬을 깨뜨릴 때까지 단 한시도 쉬지 않을 것이다." 라는,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맹세였지요.


 한국에서 유명한 그의 어록으로는 "세상에는 가장 멍청한 바보가 셋 있다. 첫째는 예수, 둘째는 돈키호테, 그리고 나 볼리바르다."가 있습니다. 이건 죽기 직전에 의사에게 남긴 유언이라고 하죠.
 한국에서 또 유명한 어록이 다름아닌 "혁명을 위해 싸운 인간은 결국 바다에서 쟁기질했을 뿐이다."라는 말입니다. 이건 한국에서는 주로 보수언론 내지 보수식자들이 혁명무상을 이야기하면서 쓰는 경향이 있어보이더군요. 그런데 이 말이 구체적으로 어떤 맥락에서 나왔을까요?


 다음은 시몬 볼리바르가 1830년 11월 9일 부친 편지의 일부입니다. 그가 1830년 12월 17일 사망했으니, 거의 사망 직전에 남긴 편지죠.
 대부분 의역입니다. 특히 마지막에서 2번째 문장은 저도 잘 몰라서 완전 의역을 했는데, 지적해주시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As you know, I have led for twenty years and have obtained only a few certain results:
"당신도 알다시피, 나는 지난 20년을 살아오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merica is ungovernable.
아메리카는 통치할 수 없는 땅이다.

He who serves a revolution plows the sea.
(이곳에서) 혁명을 꿈꾸는 것은 바다에서 쟁기질하는 것과 같다.

The only thing one can do in America is emigrate.
아메리카에서 할 수 있는 건 오로지 이민뿐이다.

This country will fall unfailingly into the hands of the unbridled crowd and then pass almost imperceptibly to tyrants of all colors and races.
이 나라는 고삐풀린 대중의 지배로 끝없이 추락하다가 아무도 모르게 만인을 억압하는 폭군의 손으로 넘어갈 것이다.

Devoured by all crimes and extinguished by ferocity, the Europeans will not deign to conquer us.
온갖 범죄가 횡횡하고 폭력으로 자멸하는 한, 유럽인들은 우리를 정복할 가치조차 느끼지 못할 것이다.

If it were possible for one part of the world to return to primitive chaos, this would be the last period of America."
만일 세상의 어느 한 곳이 원초적 혼란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면, 그것이 아메리카의 마지막 순간일 것이다."


 남아메리카와 직접 관련이 없는 후세인인 우리들이 보더라도 그 안에 깔린 좌절과 환멸을 느낄 수 있는 흉흉한 글입니다. 거의 저주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죠;;

 다행히 현실은 시몬 볼리바르가 저주한 정도는 아니었습니다만, 여전히 남아메리카 각국이 문제에 시달리는 것을 보면 씁쓸함이 느껴집니다. 그것이 아니더라도 시몬 볼리바르 개인, 평생을 바쳤던 과업을 말년에 스스로 부정하게 된 이상가의 절망만으로도 안타까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론으로만 보자면, 진보든 개혁이든 혁명이든 그 전제에서는 '인간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지 말아야겠지만 정말 쉽지 않은 일이죠. 그렇지 못했기에 사람들을 위해 나섰다가도 실망하고 이른바 '변절'한 사람들도 정말 많습니다. 구한말 조선을 개화하겠다던 이상가들이 좌절하고는, 조선민족은 희망이 없다며 친일파가 되버린 일들이 역사 속의 가까운 예시겠지요.

 그런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잘 드러내주는 씁쓸한 역사의 한 부분이라 생각해 소개해봅니다.



12
  • 몰랐던 인물을 알게 됐어요
  • 이 입체성의 중간 과정엔 무엇이 있었을까요.


영원한초보
진보에서 보수로 전향하는 경우 중에서 인간에 대한 희망을 포기해서 그런 경우도 많을 것 같습니다.
그 수준은 모두 상대적인 것 같아요
대한민국 국민들에 대한 희망도 모두 다를 텐데
희망을 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얼마나 유지 될까요
글의 주제와는 조금 다르지만 반가운 사람이 나와 조금 글을 써봅니다.
시몬 볼리바르는 태어나기만 남미에서 자랐지, 나폴레옹과 스페인왕정을 어린시절 유럽으로 넘어가 몸소 배운 뒤 남미에 다시 넘어온 '정복자 유럽인'의 일부였습니다. 실제 페루 시절 그의 군정치 행보를 보더라도 선망을 받기에는 어려운 행적들이 많이 남아 있어, 명과 암이 확실히 드러납니다.
가장 큰 문제는 '남미가 누구로부터 어떤 방식으로 독립하였느냐?'에 대한 정체성에 묘한 기운을 끼얹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독립운동이 끝나고 유럽으로 날아간 아르헨티나의 산 마르틴... 더 보기
글의 주제와는 조금 다르지만 반가운 사람이 나와 조금 글을 써봅니다.
시몬 볼리바르는 태어나기만 남미에서 자랐지, 나폴레옹과 스페인왕정을 어린시절 유럽으로 넘어가 몸소 배운 뒤 남미에 다시 넘어온 '정복자 유럽인'의 일부였습니다. 실제 페루 시절 그의 군정치 행보를 보더라도 선망을 받기에는 어려운 행적들이 많이 남아 있어, 명과 암이 확실히 드러납니다.
가장 큰 문제는 '남미가 누구로부터 어떤 방식으로 독립하였느냐?'에 대한 정체성에 묘한 기운을 끼얹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독립운동이 끝나고 유럽으로 날아간 아르헨티나의 산 마르틴과 대조되는 모습이기도 한데, 맑스도 이런 점을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합니다. (물론 그런 신화적 독립투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단적인 예로 이순신 장군을 보면, 한국인을 단합할 수 있는 교집합적 인물입니다만, 남미 전역에 남아있는 시몬 볼리바르 장군 동상들을 보면, '그는 누구를 대표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깁니다. 특히 시몬 볼리바르의 마지막 모습은 구태의연한 정치인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고 생각하네요. 그란꼴롬비아라는 대남미제국의 제왕을 꿈꿨을 뿐이지 과연 pueblo(시민)의 목소리를 듣고 있는 사람이었는가에 저는 의구심이 생깁니다.

칠레의 좌우진영 싸움을 보게되면 우리나라의 유사좌우정치와는 결이 극명하게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칠레는 피노쳇군정 이후 그 어떤 나라보다 사회주의적 정책에 유한 정권을 20여년간 유지해왔습니다(아르헨티나와 용호상박이네요). 많은 남미 국가에는 아직도 인디오와 메스티소가 있으며 이들은 상류 사회를 대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만, 그들에 대한 속죄인건지, 아니면 그들의 목소리가 설득력이 있는 건지 판단하기 어려우나, 젊은 세대의 주류는 그들 역시 이민자들과 평등한 권리를 누릴 자격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임금의 상승, 공공서비스의 확대, 교육의 평등). 남미, 아프리카의 많은 개발도상국이 끊임없이 중국과 해외자본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국채에 대한 부담이 높아지는 지금, 그 결을 끊어내기 위해 지금 목소리를 높인 젊은이들은 어쩌면 시몬 볼리바르보단 더 위대할 지도 모른다고 저는 믿고 있습니다.
5
잘 읽었습니다.
Blackmore
개별 인간의 진보가능성에 대한 가능성을 도저히 믿을 수 없게 되어버리면 강력한 권위를 창출하는 방식에 기대게되죠. 그래서 가끔 겁이 날 때가 있습니다.
로냐프
당장 눈앞의 세상만을 살아가야 되는 모든
개인의 한계겠지요. 아마 그가 다시 살아서 2019년의 남미를 본다면 비롯 이 모든 혼란에도 불구하고, 혁명없는 세상이 더 나을것인가 물어본다면 아마 그렇지는 않다고 대답하리라 생각합니다.
마 위대한 알파고 님께 자유 의지를 모두 내맡기고 파란 알약만 먹고 살면 되는 거 아닙니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34 역사역사학 강연에서 의용대를 자처하는 이들을 만난 이야기 8 Chere 20/02/29 4863 33
10324 역사1271년 5월, 삼별초 토벌 직전에 벌어졌던 촌극 11 메존일각 20/02/26 4815 8
10302 역사고조선 멸망 주역들의 후일담 11 치리아 20/02/17 6690 8
10232 역사오등작제(五等爵制) 논쟁 - 사실 우리는 아무것도 정확하게 모른다 3 Chere 20/01/28 5627 16
10215 역사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15 메존일각 20/01/23 7145 11
10162 역사고려장은 일제의 조작일까?(2) 1 하트필드 20/01/07 5344 2
10153 역사고려장은 일제의 조작일까? 14 하트필드 20/01/07 6390 3
10150 역사일본군 위안소 지도 다군 20/01/05 5827 12
10103 역사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1) - 아 그게 뭐요? 11 호라타래 19/12/22 5451 12
10028 역사역사 교과서 속 신문들, 어디로 갔을까? 2 치리아 19/11/25 6043 6
9917 역사시몬 볼리바르의 절망 6 치리아 19/10/29 4945 12
984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5464 18
9762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하- 8 메존일각 19/10/03 5534 17
9761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상- 메존일각 19/10/03 5498 17
9689 역사실록에서 검색한 추석 관련 세 가지 이야기 5 호타루 19/09/22 4370 5
9677 역사신안선에서 거북선, 그리고 원균까지. 8 메존일각 19/09/18 5148 15
9676 역사거북선 기록 간략 정리 21 메존일각 19/09/17 5271 14
9610 역사외전: 고려 무신정권기 동수국사(史?/事?) 최세보 이야기 메존일각 19/09/01 4419 5
9605 역사"향복문(嚮福門) 이름을 바꿔라!" 고려 무신정권기의 웃픈 에피소드 메존일각 19/09/01 4811 11
9575 역사안중근 의사의 동지 우덕순은 밀정확정? 안티파시즘 19/08/23 5177 11
9574 역사관동대지진 대학살은 일본민간인이 주도했을까? 2 안티파시즘 19/08/23 5152 1
9488 역사일반인이 이해하는 이순신의 거북선 형태 2 메존일각 19/07/30 5816 9
9469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6242 27
9313 역사불운한 재상 자파르 5 치리아 19/06/13 6015 7
9301 역사조병옥 일화로 보는 6.25 사변 초기 혼란상 2 치리아 19/06/11 6821 1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