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10/09 13:02:28수정됨
Name   치리아
File #1   기동형페이트_캐릭터시트.png (49.0 KB), Download : 17
File #2   rpgstore_253.jpg (65.8 KB), Download : 12
Link #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3/01/2019030101747.html
Subject   민족주의의 퇴장에 대한 상념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 정의·인도와 동포애로써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하고 (…) 우리들과 우리들의 자손의 안전과 자유와 행복을 영원히 확보할 것을 다짐하면서 (후략) - 대한민국헌법 전문


 지난 주는 개천절이었습니다. 오늘은 한글날이고요. 지난 개천절, 다들 무슨 생각을 하셨나요?
 저는 개천절날 아파서 다른 생각을 할 겨를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아프지 않았어도 크게 의미를 부여하거나, 기뻐하거나, 경건한 태도로 그 날을 맞이했을 것 같진 않습니다.
 개천절. 가장 종교적이면서 가장 민족적인, 그리고 가장 한국적인 기념일입니다. '우리민족'의 시조 단군왕검이 하늘을 열고 역사를 시작한 날이니까요. 하지만 상징성만 있을 뿐, 사람들에게 와닿진 않고 있습니다. 저같이 젊은~어린 사람일수록 더더욱 그렇고요.

 어제 학교 수업에서, '살면서 애국심으로 마음이 울컥해본 사람'이 있는지 교수님이 물었습니다. 강의실을 채운 학생 중 단 한명도 손을 들지 않더군요. 저는 그런 적이 있었지만, 왠지 모를 분위기의 압박 때문에 손을 들지 못했습니다. 수업이 끝나고 교수님께 가서 여쭤봤죠. 그런 질문을 했을 때 시간이 지날수록 그런 학생들이 줄어들었냐고요. 그런 경향은 있다고 말씀하시더군요. 그리고 민족주의적 사고는 확실히 줄어들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것이 머리에 계속 남아 글을 써보게 되었습니다.


正義擁護 : 정의옹호는 민족지로서 민족의 정의를 으뜸가는 가치로서 정치적 정의, 경제적 정의, 사회적 정의를 옹호하겠다는 신념의 피력이며, 아울러 이러한 정의를 존중하는 여론기구로 자임함을 천명한 것입니다. - 조선일보 사시(社是)


 링크는 2019년 3월에 주간조선에 실렸던 기사입니다.
 7개월 전에 이 글을 읽을때, 전체적인 내용과 주제보다도 문장 몇 개에 제 마음이 멈췄습니다.

 왜, 반드시 통일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들은 기억이 없다. ‘분단되었으니까’ ‘같은 민족이니까’…. 피상적인 문제의식 아래 초등학생 수백 명이 머리를 맞대고 통일을 염원하는 글을 써야 했다.

 이 내용이 저에겐 충격이었습니다. (자칭) '민족정론지'의 기자도 기존의 민족주의적 인식이나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같은 민족이니까' 하나로 통일의 당위성이 100%를 넘어 140%를 찍었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이런 민족주의적 전제는 이제 논박으로 반박되는 부정의 대상조차 아니게 되었습니다. 아예 논박의 가치도 없는 무시의 대상이죠.


철학도 변하고 정치, 경제의 학설도 일시적이거니와, 민족의 혈통은 영구적이다. (…) 오늘날 소위 좌우익이란 것도 결국 영원한 혈통의 바다에 일어나는 일시적인 풍파에 불과하다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 된다. 이 모양으로 모든 사상도 가고 신앙도 변한다. 그러나 혈통적인 민족만은 영원히 흥망성쇠의 공동 운명의 인연에 얽힌 한 몸으로 이 땅 위에 사는 것이다. 김구, 나의 소원 


 저는 민족주의자는 아닙니다. 오히려 탈민족주의에 가깝죠. 그러나 민족주의에 우호적이고 동정적입니다.
 기본적으로 한국사회 자체가 식민지배의 영향으로 민족주의가 (적어도 젊은 세대에겐 퇴조할지언정) 아직까지는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 베이스일겁니다. 거기에 제가 보수적인 경상도에서 성장했다는 점도 있을 것이고, 친구가 뚜렷한 민족주의자인 덕도 있겠죠. 하지만 그것보다 더 큰 이유가 2가지 있습니다.


노예가 되어보지 않은 사람은 노예가 된 적이 있다는 사실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가 없다. 식민지의 경험은 한 민족의 넋에 드리운 그림자다. 결코 지워지지 않는 그림자다. - 복거일, '비명을 찾아서:경성, 쇼우와 62년'

내 종교는 민족이고 그 교리는 민주주의다. - 허정, '회고록:내일을 위한 증언'


 하나는 '취미'입니다. 글의 첫번째 이미지는 제 취미 중 하나인 ORPG에 사용했던 캐릭터입니다. ORPG는 단순히 말하면 온라인 역할극(Online Role Playing Game)입니다. 연극을 위해 배우들이 캐릭터를 탐구하고 조사하듯, '애국심과 열정에 불타는 한국인'을 연기하기 위해 이것저것 민족주의 텍스트를 읽다보니 민족주의자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두번째 이미지는 '메르시아의 별'이라는 한국산 ORPG인데, 이건 아예 식민지의 독립투쟁이 주 테마입니다.
 또다른 취미인 역사공부도 영향을 줬습니다. 저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 역사에 관심이 많은데, 인물들이 입체적이며 그 삶도 역동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시대 인물을 관통하는 주제는 '민족주의'입니다. 그 시대의 이야기,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 그 시대 사람들의 대립과 시대정신을 보면 민족이란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이었는지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현재 제 동년배^^들의 사고와 정말 잘 비교되니 마음이 싱숭생숭할 수 밖에요.


 한통이 주나라를 위하여 죽었는데, 송 태조가 추증하였고, 문천상이 송나라를 위하여 죽었는데, 원 세조가 또한 추증하였습니다. 정몽주가 고려를 위하여 죽었는데, 오늘에 홀로 추증할 수 없겠습니까. - 권근, 치도 6조목(태종실록 1권, 태종 1년 1월 14일 갑술 3번째기사)

저 육신(六臣)이 어찌 천명과 인심이 거스를 수 없는 것인 줄 몰랐겠는가마는, 그 마음이 섬기는 바에는 죽어도 뉘우침이 없었으니, 이것은 참으로 사람이 능히 하기 어려운 것이어서 그 충절이 수백 년 뒤에도 늠름하여 방효유·경청과 견주어 논할 수 있을 것이다. (…) 당세에는 난신이나 후세에는 충신이라는 분부에 성의가 있었으니, 오늘의 이 일은 실로 세조의 유의를 잇고 세조의 성덕을 빛내는 것이다. - 숙종, 사육신을 복권하며(숙종실록 23권, 숙종 17년 12월 6일 병술 2번째기사)


 두번째는 '여유'입니다. 만약 제1공화국 시대처럼 민족주의가 누구도 거역할 수 없는 거대한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거나, 또는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가 팽팽하게 겨루고 있는 상황이였다면 저는 강경한 탈민족주의 입장을 취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민족주의는 하루가 다르게 퇴조하고 있고, 별다른 변수나 사건이 없다면 퇴조가 쭉 계속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를 역전시킬 변수가 있다면 남북통일, 저출산으로 인한 대규모 이민 수용, 중국 이상 국력의 강대국의 위협 정도일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이니 저는 어쩌면 '주제넘게' 민족주의에 대해 동정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지금 이란 이슬람 공화국에서 조로아스터교 신도를 위한 의회 의석을 배정하는 것이나, 조선이 확고히 자리잡자 탄압했던 고려 왕족을 대우해준 것을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이미 대세가 기울었으니 상대방에 대해 관용과 여유를 가질 수 있는 거죠.


雪月前朝色(설월전조색) 눈 쌓인 달밤은 고려의 빛깔 그대로요
寒鍾故國聲(한종고국성) 차디찬 종소리는 옛 나라의 신음인가
南樓愁獨立(남루수독립) 남루에 홀로 서서 향수에 젖노라니
殘郭暮烟生(잔곽모연생) 흔적뿐인 성터에도 저녁연기 오른다 - 권담, 송도회고


 저는 민족주의의 극적인 부활을 바라지도 않지만, 완전한 퇴장을 바라지도 않는 회색지대에 있습니다. 많은 폐단을 남겼지만 공적 또한 남겼던 한 시대의 거인이 서서히 쓰러지는 광경을 무력히 지켜보는 느낌. 참 뭐라 말하기 힘든 씁쓸함과 상념을 적어봤습니다.


 여러분에게 민족주의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민족주의의 조용한 퇴장에 어떤 마음이 드시나요?




1


    앞서서 좋은글 감사합니다.
    민족주의, 내셔널리즘, 국수주의 등등 이름도 많지만, 결국은 '적이 누구냐?'를 상정하고 명분을 쌓는 게 대의더군요.
    인간은 아마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갈 것이고 정말 깨끗히 없어지리란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다만 지금처럼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리라 생각해요. 그게 확고하든 회색이든 말이죠.

    여담이지만, 저는 우주에 소속감을 느끼기 때문에 국가나 단체는 참여한다는 생각으로 살아요.
    이런 생각들은 아래 책을 읽으면서 조금 확고해졌는데, 혹시나 하여 공유드립니다:
    ... 더 보기
    앞서서 좋은글 감사합니다.
    민족주의, 내셔널리즘, 국수주의 등등 이름도 많지만, 결국은 '적이 누구냐?'를 상정하고 명분을 쌓는 게 대의더군요.
    인간은 아마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갈 것이고 정말 깨끗히 없어지리란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다만 지금처럼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리라 생각해요. 그게 확고하든 회색이든 말이죠.

    여담이지만, 저는 우주에 소속감을 느끼기 때문에 국가나 단체는 참여한다는 생각으로 살아요.
    이런 생각들은 아래 책을 읽으면서 조금 확고해졌는데, 혹시나 하여 공유드립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166613 (펭귄과 리바이어던)
    1
    치리아
    예전에 민족주의가 인류 전체로 확장되어 '인류주의' 내지 '인류교'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SF적인 생각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제 생각을 들은 분들이 말씀하시더군요. 그런 정체성이 형성되려면 외계인이든 기계든 외부의 적이 있어야 한다고. 저는 그 생각에 완전히 동의하지는 않지만, 외부의 적이란게 존재할 때 정체성이 확고히 생겨나기 유리하다는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펭귄과 리바이어던은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나중에 읽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1
    저도 그런 (외부의 적) 비슷한 사고를 할 당시 군대를 가고, 대학을 다녔고, 지젝에 공감하다 저 책을 만났습니다.
    '협력은 어떻게 이기심을 이겨내는가'에 대한 대 전제를 가지고 몇몇 오픈소스 등의 케이스스터디를 풀어놓는 책입니다.

    정보 공학과 컴퓨터 공학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학자들은 피부로 느끼고 있는 변혁이라고 생각합니다.
    독후감같은 글 쓰기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분명 재밌게 읽으실 수 있습니다.
    1
    로냐프
    민족이 다르는 것이 일방적이고 큰 차별로만 이어지지 않는다면 애시당초 민족주의라는 건 없었을지도 모르죠. 여러 민족이 대립할때 "우리 민족"이라는 이유로 큰 혜택이나 큰 피해가 주어지는 상황이라면 민족주의는 필연이겠죠. 그리고, 인간의 본성상 다른 피부색깔과 다른 언어를 쓰는 집단 전체에게 호의적이기는 쉽지 않으니까요. 어떤 민족이 혼자서 탈민족주의를 외쳐봐도 다른 민족들에서 계속 "다른 민족"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게 되면 결국 민족주의로 회귀하겠죠. 지금 우리 사회의 민족주의성향이 약해지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건 쉽게 말해서 먹고 살만하고 국내에서는 딱히 차별받지 않아서 그런거지, 다시 외부의 위협이 강해지면 또 살아날겁니다. 이번에 일본불매는 그 맛보기 정도가 되겠죠.
    치리아
    저도 우리 사회의 민족주의가 약해지는 이유가 '여유' 때문이라는 점에 동의합니다. 삶이 팍팍해지고, 차별이나 위기의식을 느낀다면 민족주의는 다시 일어서겠죠. 요즘 추세로 볼때 제가 가장 염려하는 시나리오는 저출산을 대규모 이민으로 대처했을 때, 혈통에 기반한 민족주의가 부활하는 것이네요. 그 다음은 남북통일 후 화합이 실패해서 '남한 민족주의'와 '북조선 민족주의'로 쪼개지는 것이고요.
    로냐프
    대규모 이민은 최악의 결과를 가져오겠지만, 아마 그렇게 되기는 힘들것 같구요. 우리도 안 받겠지만, 또 오겠다는 사람도 생각보다 많지 않을 수도 있어요. 통일되면 지금 지역감정이나 좌우대립은 애교로 보일 정도로 남한출신과 북한출신의 대립이 심해지겠죠. 그래도 언어와 인종이 같으니 시간이 지나면 결국은 완화되리라고 봅니다. "인종"이나 "언어"처럼 누가 알려주지 않아도 바로 차이가 보이는 요소들은 계속 분열의 요인이 되지만, 어쨌건 섞여살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은 세대가 지나면 괜찮아지리라 봅니다. 통일국가로 1000년도 넘게 살아온 우리라서 쪼개지는게 아무래도 한계가 있겠죠.
    1
    키티호크
    민족과 국가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민족주의와 국가주의를 다소 혼동하신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민족주의 앞에서 러시아 노동계급이 계급의식을 팽개치고 전선으로 달려나간 사례도 있고,
    세계화 국제화의 시대를 넘어 정보의 유통이 국경의 개념을 희석시키고 있지만 민족의 개념이 사라지지 않을 겁니다.
    민족의 개념을 정치세력이나 초기득권 세력이 통기기제로서 이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도 하지만 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도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민족주의는 퇴장하지도 당하지도 않습니다. 더구나 동북아에서는요.
    치리아
    국가와 민족의 혼동은 글을 쓴 계기 부분을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그 부분은 '애국심을 주제로 교수님과 대화→주제가 민족주의로 옮겨감→글을 쓰기로 결심'으로 사고가 흘렀습니다. 그래서 글을 쓴 계기에만 애국심/국가주의를 언급하고 이후로는 쭉 민족주의 이야기를 썼습니다. 이렇게 사고가 옮겨가는 과정을 제가 매끄럽지 못하게 표현했네요.

    말씀대로 민족의 개념이 희석될지언정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란 예측엔 동의합니다. 다만 민족주의가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역할과 존재감은 사라지고 있다고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퇴장이란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키티호크
    아녜요. 쓰신 글을 곰곰히 읽어보니 교수님께서 역사나 정치외교 전공자가 아니신가?하는 생각이 들었고, 동시에 진지한 강의보다는 교수님의 소회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어요. 전문과 같이 생각하실 수도 있겠다는 점에 동의하고요, 차분한 글 잘 읽었습니다.
    알료사
    민족주의 퇴장한줄 알았는데 일본제품 불매운동 보고 아직이구나 했습니다 ㅋㅋ
    치리아
    뼈(?)를 때리시는군요. 사실 글을 쓰면서 제일 고민했던게 일본 불매운동이긴 했습니다. 그래서 본문에 넣을까 말까 하다가 말았는데..
    다만 일본 불매운동은 기존의 민족주의와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한국 민족주의가 '우리 민족을 위해!', '외세로부터 우리 민족을 지켜야한다!'라는 느낌이었다면 이번의 일본 불매운동은 '가만히 있는데 괜히 시비를 거네? 나도 가만 안있어.' 느낌인 것 같아요. 특히 젊은층에게는요. 민족주의적인 운동이라기보단, 그냥 소비자운동 느낌이에요. 그래도 일본 불매운동에 민족주의의 영향이 없다고 하면 그건 거짓말이겠죠. '토착왜구'란 표현도 그렇고요.
    외국나가면 애국자 된다는 말처럼.. 지정학적 특성상 한국은 민족주의가 어느정도 계속 남아는 있을 것 같습니다.
    rknight
    1. 글쎄요, 리버럴리즘에대한 환멸때문에 오히려 다시 민족주의로 회귀하고 있는거 같은데요? 트럼프는 symptom 이지 cause 가 아니고, 브렉시트도 EU로 대변된 글로벌리즘,신좌파주의 등등에대한 반동이고요. AfD가 20%이랑 표를 먹는 독일을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오성운동,북부동맹이 잘나가는 이탈리아는요? (이건 EU의 구조적 문제가 한몫 한것도 맞기는 한데, 결국에는 앞서 말한 EU로 대변된 글로벌리즘에 대한 반동이죠) 아베,시진핑은 말할것도 없고요.

    2. 한국은 사회구조가 "서구"보다 한 20년정도 밀려버린 양상... 더 보기
    1. 글쎄요, 리버럴리즘에대한 환멸때문에 오히려 다시 민족주의로 회귀하고 있는거 같은데요? 트럼프는 symptom 이지 cause 가 아니고, 브렉시트도 EU로 대변된 글로벌리즘,신좌파주의 등등에대한 반동이고요. AfD가 20%이랑 표를 먹는 독일을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오성운동,북부동맹이 잘나가는 이탈리아는요? (이건 EU의 구조적 문제가 한몫 한것도 맞기는 한데, 결국에는 앞서 말한 EU로 대변된 글로벌리즘에 대한 반동이죠) 아베,시진핑은 말할것도 없고요.

    2. 한국은 사회구조가 "서구"보다 한 20년정도 밀려버린 양상이라 한국 "우파"는 미국에서 사상적으로 죽어버린 네오콘, 한국 "좌파"는 서구에서 전성기의 끝물을 보는 프랑크루프트-신맑시즘 쯔음으로 치환해서 보면 한국의 시각에서 봤을땐 민족주의가 죽어가는거 같다 라고 보는건 작금의 시각에선 나름 "미시적"으로 맞는말일순 있겠으나 결국엔 동북아의 특수성, 인간의 본성 등등을 보면 민족주의로 회귀할거 같네요. 민족주의가 나쁘다고 보지도 않고요. 민족주의 아니었으면 지금 이나라가 경제적으로 이자리까지 왔을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국체" (이게 뭔 의미던 간에) 를 보존하고 독자적 정체성을가진 독립국가로 있을수 있었을까요?? 민족주의가 없는 동아시아 피식민국가의 정체성 담론이 어떤지는 대만을보면 알거 같습니다.

    3. 민족주의는 자주독립국가로서의 "정수" 그 자체라고 봅니다.
    치리아
    1.세계적 차원에서는 네셔널리즘의 부활이 추세인 건 맞습니다. 저는 한국 상황만을 생각했네요.

    2-1.한국의 사회구조가 서구보다 20년 정도 뒤에 있다는 말씀과 비슷한 분석은 몇 번 접하긴 했습니다. 다만 서구의 20년 전이 현재 한국 모습과 비슷하다고, 한국의 20년 후가 서구의 지금 모습이 되리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2-2.제가 보는 민족주의의 쇠퇴가 미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음을 인정합니다.

    2-3.저도 민족주의를 무조건 부정하지 않고, 그 공이 컸음을 인정합니다. 그래서 감정적으로 (제가 보기에 일어나고 있는... 더 보기
    1.세계적 차원에서는 네셔널리즘의 부활이 추세인 건 맞습니다. 저는 한국 상황만을 생각했네요.

    2-1.한국의 사회구조가 서구보다 20년 정도 뒤에 있다는 말씀과 비슷한 분석은 몇 번 접하긴 했습니다. 다만 서구의 20년 전이 현재 한국 모습과 비슷하다고, 한국의 20년 후가 서구의 지금 모습이 되리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2-2.제가 보는 민족주의의 쇠퇴가 미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음을 인정합니다.

    2-3.저도 민족주의를 무조건 부정하지 않고, 그 공이 컸음을 인정합니다. 그래서 감정적으로 (제가 보기에 일어나고 있는) 민족주의의 쇠퇴에 어느정도 씁쓸함을 가졌던 거고요. 한 민족/한 국가라는 의식이 없는 나라가 불행한 사례는 아프리카 등지에서 쉽게 볼 수 있지요..
    화이트카페모카
    민족주의 사상은 은연중에 있는게 좋다고
    생각해서 저도 기피하기는 하지만 지금과 같이
    증발하다시피 없어지는건 바라지는 않습니다
    치리아
    저와 생각이 같으시네요.
    쿠쿠z
    민족주의가 누구에게 가장 이득을 가져다 주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민족주의가 국가 구성원인 개인들에게 주는 이익보다, 위정자들에게 이익을 더 가져다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국가란 결국 군중의 확대된 개념이라고 봐야 하는데, 결국 개인이 군중이 되고, 도시국가가 되고, 전국적인 국가가 되가는 과정에서 위정자들은 효과적인 통치를 위해 종교도 가져오고,민족도 가져오고 개개인의 충성을 유도한 것이지요. 이들이 오로지 개개 구성원의 이익을 위해서만 이렇게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진 것이지요. 이는 공교육이 활성화되면서 문맹율이 낮아지고, 교육받은 깨어있는 개인이 많아지면서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국가와 개인이 계약에 의한 관계로 발전해가야 하는 단계로 접어든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30 사회월급 30% 반납의 확산 29 안경쓴녀석 20/03/25 5650 8
    10428 사회말라리아 치료제로 COVID-19를 극복할 수 있을까? 10 치킹 20/03/24 4961 7
    10417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4) - 젠더는 BDSM 속에서 작동하나요? 6 호라타래 20/03/23 5138 13
    10393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3) - 쓰리썸은 과연 성적인 즐거움 때문에 하는가? 24 호라타래 20/03/18 11102 10
    10389 사회전국 모든 유·초·중·고·특 개학 2주간 추가연기 결정 18 다군 20/03/17 4645 0
    10367 사회빌게이츠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NEJM 기고문 (시론) 15 Zel 20/03/11 5781 13
    10366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2) - 남자가 엉덩이로 느끼면 이상한가요? 34 호라타래 20/03/11 6691 12
    10352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 - 성인물 감상은 여성들에게 어떤 이득을 주는가? 29 호라타래 20/03/06 7418 20
    10306 사회봉준호 감독 통역을 맡은 최성재(Sharon Choi)씨를 보면서 한 영어 '능통자'에 대한 생각 31 이그나티우스 20/02/19 5762 19
    10258 사회"중국은 바뀔 수 있다" 4 녹차김밥 20/02/03 6192 3
    10197 사회요즘도 이런 사고가 있네요 1 노루야캐요 20/01/18 5053 1
    10106 사회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2) - 역사적 유물론과 홍차넷...? 9 호라타래 19/12/23 5777 7
    10053 사회우리/하나은행 DLF 사건의 보상가이드가 나왔습니다. 5 Leeka 19/12/06 5423 1
    10025 사회2019년 사회조사 결과(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3 다군 19/11/25 5835 1
    9988 사회국회 청년 공론장 참가 신청 8 호라타래 19/11/14 5263 2
    9964 사회도로공사 등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보며 드는 단상 16 s.v.p. 19/11/08 6442 1
    9951 사회수도권 통근시간은 왜 길어지기만 할까? 6 알겠슘돠 19/11/07 4910 0
    9910 사회From Charlottesville to Hong Kong 6 rknight 19/10/28 4914 9
    9833 사회사랑을 쓰려면은 연필로 써야 하나요?: 폴리미디어라는 이론적 관점 2 호라타래 19/10/14 5456 9
    9805 사회민족주의의 퇴장에 대한 상념 17 치리아 19/10/09 4417 1
    9696 사회공공기관 호봉제 폐지(직무급제 도입)에 대하여 7 s.v.p. 19/09/23 7850 2
    9695 사회'우리 학교는 진짜 크다': 인도의 한 학교와 교과서 속 학교의 괴리 2 호라타래 19/09/23 5001 9
    9662 사회능동적 인터넷 사용자 vs 수동적 인터넷 사용자 15 풀잎 19/09/15 5634 10
    9638 사회약투 운동 보디빌더 박승현씨가 자신의 검사 결과를 공개했는데... 7 The xian 19/09/08 4911 0
    9576 사회유소년 약물 사용에 대해 비판하는 박승현씨의 새 동영상 3 The xian 19/08/24 4903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