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9/30 14:14:30수정됨
Name   제로스
Subject   공수처 제도 여당안 비판
이하는 본래 관련 글의 대댓글로 달았었는데..
달고나니 너무 길어서 대부분 내용을 더보기없이 볼 수 없기도 하고,
대댓글 단 본 댓글과는 관련없는 이야기를 다 집어넣어 쓴 것 같아
내용 약간 추가하여 별도글로 파봅니다.
----
종전 본문의 여1 야3 바미당안은 중간안으로 현재 상정된 바미당안은 여2야2 구조이기에
이를 정정합니다.
--


<현재 공수처 안으로 올라온 제도 중 여당 안에 반대하는 이유>

기본적으로 공수처와 관련하여 추천위원회를 두고, 이 추천위원회 위원 7명중 6명의
찬성으로 임명한다는 골자는 같습니다.

두 안의 가장 큰 차이- 공수처장 임명권에 대한 차이는

1. 추천위원회 위원 선정에 바른미래당은 야3 여1추천, 여당안은 여2 야2추천이라는 것,
2. 대통령 임명시 국회동의를 얻어야 하는가, 아니면 인사청문회만 거치면 되냐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최초 바른미래당 안은 야3여1이었으나 현재 안은 여2야2로 동일합니다.
개정된 안이 "개악"되었다는게 제 입장입니다>

지금 현재진행형으로, 동의를 요하지 않고 '인사청문회'만 거치면 되는 제도가
임명을 견제할 수 있는 제도인지에 대해서는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조국인사청문회와 임명강행은 각종 절차의 법적 구속력은 없는 견제제도들,
소위 '정치적부담'을 억제력으로 두는 제도들이
권력자가 얼굴 좀 두껍고 정치적 적대자가 무능하면 무시해도 된다는 점을 각인시켰죠.
앞으로 무슨 제도를 만들던지 '강제력'없는 제도들은 동의받지 못할겁니다.

장관은 정부의 일꾼이자 대통령의 수족이라는 데서 장관의 임명권에 국회동의를 받도록 할 수는 없죠.
그러나 공수처를 별도로 설립하는 것은 일반검찰이 적대하기 힘든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수사를 명분으로 합니다. 그런데 살아있는 권력이 추천위원회를 장악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다고요? 정부여당의 검찰개혁이라는 것이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엄정한 수사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장악하지 못하는 검찰의 힘을 약화시키는 것만이 목적임을 드러낸 부분이죠.

공수처 추천위원 7명?

법무부장관/법원행정처장/대한변협추천위원/여2/야2(자한/바미/정의/만평)라는 구조인데,

기본적으로 5명이 정부입김 들어가기 쉬운 사람들이고 기껏 공평성으로 내세우는게
야2가 있고 그러면 야당이 반대하는 사람은 임명 안된다는 거에요.

그런데 야당은 당이 하나가 아니죠. 저 야당추천위원을 어떻게 나눌지도 의문이지만
아무튼 하나는 2당이 가져가고 나머지는 3당이하 합의라쳐도 결국 2당 제끼고
임명하는 그림이 그리 어려운 건 아닙니다.

그보다도 2명만 반대하면 임명안되니 야당에 비토권을 보장하는 거다! 라며
선전하는데 [여당]은 그 자체로 그 비토권 2명입니다. 법무부장관까지
감안하면 정부여당의 비토권은 완벽히 보장됩니다.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하는 공수처에
살아있는 권력 맘에 들지 않는 사람은 절대로 임명될 수 없는거죠.

아니 추천위 7명중 정부여당의 최소3 최대5 장악이 [기본]인 제도를 만들고
야당 2명의 비토권으로 생색을 내려는게 가당키나 한건가요?

이런 제도를 만들면 어떻게 될지 그걸 봐야 압니까?
여당이 뽑고 싶은 인사 후보로 올려놓고 야당이 반대하고
표결 5:2나오겠죠 그렇게 몇번 하고 나면 야당이 몽니 고집을 부려
공수처장이 계속 공석이네 어쩌네 정치적으로 때리고 때리다
야당중 이탈자 하나 나오면 6:1 로 통과. 이 프로세스만 계속일거에요.

야당추천 후보가 공수처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여당의원 중 한명이 소신투표를 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법무부장관과 함께
다른 여당의원 한명의 표 합계 2표로 반란은 진압되죠.

공수처는 '상설특검'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며, 정권과의 독립성을 유지하려면
적어도 그 임명에 있어서 야권의 영향력이 여권의 영향력보다는 크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 정부의 [거짓된 합의, 절차정당성]확보 시도는 아주 지긋지긋합니다.
각종 공청회, 신설위원회를 만들고 어차피 쪽수는 장 맘대로 하게 위원회 차려놓고
허울뿐인 심의를 하고 장 맘대로 하죠. 기존의 방식과 무엇이 다른가?

장의 책임을 '너희도 다같이 결정한거다'로 회피하는 것 그거 하나죠.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엄정수사를 위해 공수처를 두려고 한다고 하면
오히려 정부 여당은 임명절차에서 빠져야죠. 적어도 바미당 안처럼, 인사추천위원회에
야당의 권한을 더 높이고 정부여당 권한은 더 줄여야 제도로서 의미가 있습니다.

정부여당은 그 자체로도 수사에 외압을 가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임명권이 없어도 말이죠. 그래야 공수처가 야당 수사를 할 때 면이 서고
정치탄압이니 뭐니 하는 소리를 '비교적' 못합니다.

지금 엄청 두들기고 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윤석열이 조국을 수사하면서
면이 서고 버틸 수 있는 이유는 윤석열을 임명한게 문재인이라 그렇습니다.
박근혜가 임명한 사람이었다? 당장 쫓겨났죠.
내가 임명한 사람인데 내 사람을 턴다고 바로 쫓아낼 수가 없으니
밑작업하면서 열심히 윤석열을 자한당에 가져다붙이고 있죠.
그러나 그래도 본인이 임명한 사람이라는 분명한 사실은 남아있습니다.

그럼 공수처가 기존의 정치검찰보다 정치권력에게 유리한 점은 무엇인가?
기존 정치검찰은 야당 비토권없이도 맘대로 임명할 수 있는데
어쨌든 공수처가 정치검찰보다 집권정부에도 불리한, 일부 권력을 내려놓는 제도인건 사실아닌가?

공수처는 더 소수의 조직이죠. 공수처장+25~30정도의 검사.
다수인원을 제 식구로 채우는것보다 소수인원을 제 식구로 채우는 것이 훨씬 쉬우며,
공수처장의 급이 어떻게 되든 검찰총장에 비해 직급이 낮고 젊은 사람이 될겁니다.
그럼 후보풀은 더 많고, 개별 후보의 개별적인 위상은 낮고, 공수처장이 되었을 때
위상증대는 압도적이죠. 간단히 말해서 검찰총장 후보 급 인사를 검찰총장에 임명하는 것보다
공수처장 후보급 인사를 공수처장에 임명하는게 훨씬 큰 은혜베풀기, Give가 되는 겁니다.

그런 [깜짝 발탁]을 해도 반발을 덜 사고 오히려 개혁적인 모습으로 포장할 수 있으며
실질은 내게 충성하면 일반검사보다 강한 권력을 가진 꽃보직으로 바로 픽킹할 수 있는거죠.
그러면서도 그 칼을 휘두르는 것을 정의로 포장하기는 더욱 쉽고 말이죠.

즉 '장악의 용이성'이 기존 검찰보다 정치권력에게 유리한 것입니다.

(공수처 설치가 실현된다면 여당은 첫 공수처장 여성으로 픽할거라는데 치킨한마리 걸어봅니다)

이런것까지 걱정해야 하나 싶기도 한데,
법안은 추천위원 4/5이상의 동의를 얻은 인사를 추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7명이므로 6명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그러므로 야당 2인의 반대가 있으면
임명될 수 없으니 견제가 된다고 하고 있지요. 그러나 법안의 내용은 6인의 동의를
얻으면 된다고 되어 있지 않습니다. 4/5 이상이면 되는거에요.

그게 무슨차이가 있나? 7명이니까 산술적으로 4/5이상이려면 6명 맞지 않음?
여기 함정이 있는데, 항상 7명이 있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추천위에 7명이 차있지 않으면
지명할 수 없다는 내용도 없는 것 같고요. 즉 1명이나 2명이 궐위일 경우 4/5, 5/6으로도 선임이 가능하죠.

불출석시도 가능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야당의원 궐위시키고 날치기 지명도
불가능하지 않은 것입니다.
법무부장관/법원행정처장/변협추천 1인은 궐위될 일이 별로 없을 것이고
여당 추천 2인도 여당내 합의만 있으면 되니 임명못하는 일은 별로 없겠죠. 절차도 빠를 것이고.
그러나 야당 추천2인은 야당-교섭단체간 협의에 따라 추천에 난항이 있을 수 있을 겁니다.
현재 정치지형으로는 야2명중 야1 위원 선정에 대해 야당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해 추천위 6명인 상태에서 자한당 추천 위원만 반대하고 5/6으로 선임되는 모양새가
쉽게 상상되긴 합니다.



16
  • 아아 추천박습니다


Blackmore
현재 여당의 안대로 통과된다고 하더라도 공수처는 결국 폐지되거나 바른미래당 안에 가깝게 개정될겁니다.
민주당이 야당이 되면 민주당이 그렇게 하자고 할겁니다.
불타는밀밭
민주당이 야당이 된다는 보장이 없잖아요.
맥주만땅
민변출신 공수처장 나왔으면....
CONTAXND
반드시 국회의 동의를 구한다가 국회에서 턱 막혀버리면 그냥 정쟁과 바터의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현재 법률로 누구누구는 동의를 구해라, 누구누구는 청문회만 해라 라고 구분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잘은 모르지만) 공수처장이 저 법률에서 동의를 구해야하는 사람들 (어떤 사람인지는 모르지만 이번 사태로 장관은 아닌걸로)보다 더 중요하거나 높은 사람인가? 라고 하면 잘 모르겠습니다.
그럼 통과될 수 있도록 잘 뽑으면 되지? 라고 하면.. 제가 최소한 바라보는 국회에서 통할 원칙일지 잘 모르겠습니다. 막무가내 반대하고 얼굴 두껍게 밀어부치는게 반복되니깐요.

제가 전체적으로 이번 '사태'를 거치면서 매우 냉소적으로 변하고 있는 것 같긴 합니다.
불타는밀밭
저는 여러 분들의 소개로 현 여당 민주당 공수처 설립안을 살펴보면서 생각하는게 [저거 대통령만 데리고 있음 여당이 무적 아냐?]라는 거였습니다. 만일 여당이 100석 이하로 쪼그라들어도 공수처 장악에는 여당인 이상 아무런 문제가 없는 거 같더군요.
Blackmore
민주당 공수처안 찬성하는 분들은 '착한 우리 민주당'이 집권하고 있을 땐 착한 공수처가 될거라 생각하니 괜찮다고 보시는 것 같더군요. 그런데 정치라는게 생각보다 유동적이어서 저 공수처가 한국당 정권 하의 공수처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 경우에도 저런 공수처에 찬성할 수 있냐고 묻고 싶더군요. 아마 민주당 안 그대로 공수처가 설립되고 다음 대선에서 민주당이 정권 잃으면 아마 피를 토할겁니다. "아! 금태섭 말 들을걸!"하고.
AGuyWithGlasses
우선 치킨 줄부터...
제로스
쏘는게 아니라 내기입니다 선생님 ㅎㅎㅎ
정부여당이 첫 공수처장 후보로 여성을 지명하면 제 승리, 남성을 지명하면 선생님 승리!
내기하실 분은 선착순 3분까지만 받습니당~
2
AGuyWithGlasses
아 아쉽다 쩝
오호라 저 참여하겠읍니다
재미있겠네요
(임명이 아니라 여당 지명이죠?)
제로스
옙! ㅋㅋㅋ
저도 내기 참여합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 여성 후보자 생각해봤지만 초대 공수처장의 정치적 영향력까지 가진 사람은 없는거 같고 남성이야 후보자 많을테니 치킨 콜!
제로스
두번째 접수되셨습니다~ 남은 자리는 한자리입니다!
저는 남자 지명할 듯 합니다. 내기하시죠 ㅋㅋ
제로스
옙 Fate님까지입니다! ㅎㅎ
저도 치킨 구절 보는 순간 다른 이야기는 눈에 안 들어왔......
AGuyWithGlasses
조국으로 수호요정을 쎄우든 춘전이로 죽창을 날리든 치킨값을 번다 뭐 이런 자본주의적인 마인드로...
세리엔즈
추천드립니다. 정치는 잘 모르지만, 오히려 그래서 글쓴분의 논리를 쭉 따라가면서 읽어보니 불합리한 부분이 있네요. 개악이리는 표현이 맞는 것 같습니다.
로냐프
동의합니다. 대통령,국회의원,검사들 수사라고 만드는 조직인데 지들이 왜 추천이고 임명이고 하나요? 이건 직선제 가야죠. 어디 청와대와 국회가 끼나요? 그럴바에는 안 하는게 나아요
판다뫙난
공수처를 국민의 염원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권력자에게 쥐어진 특검의 칼날이란걸 알고도 그러는건지 모르는데 우겨대는건지.
공수처 신설에 어깃장을 놓는 매국노 바미당 이런 표현을 하신분도 있었던거 같은데 이글에 대한 의견이 궁금하네요.
1
우주최강귀욤섹시
지금의 공수처가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 잘 모르겠어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잖아요. 이거는 지금 검찰이 가진 권력을 나누겠다는 건데 그 권력을 정부여당이 가져가면 무슨 의미가 있는지. 그냥 검찰 권력 좀 떼와서 대통령 친위대 만드는 거 아닙니까... 무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인데 그 인사는 고위공직자를 임명하는 자가 가지는 게 뭔 의미가 있냐구요... 임명할 권리도 가지고 수사할 권리도 가진다는 건데 이게 뭥미? 적어도 국회에 전권을 넘기든가 개헌해서 검찰과 경쟁하는 독립적인 부처로 남겨야죠. 그게 안 될거면 그냥 개악일 뿐이고.
4
세상의빛
운영의 묘를 살리면 됩니다. 라고 말하는 정부 당직자 치고 제도 제대로 운영하는 사람을 못봤습니다.
지금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할 수도 있는 공수처장 임명에 권력의 입김이 개입하기 쉬운 구조로 보입니다.
여당은 임명과정에서 빠지고 그 몫을 야당의 참여를 늘리는 데 썼으면 좋겠네요.
1
원영사랑
저는 이해 안되는게 공수처 반대하고 조국 반대하면 자한당 지지자 = 토착왜구 = 일베 = 알바 이런식으로 전개되는 논리가 이해가 안됩니다.
검찰개혁을 반대 하는게 아니라 공수처, 조국을 반대하는거고 그러니까 요지는 조국이 아닌 다른 사람이 공수처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검찰을 개혁하라는건데 이게 어떻게 알바로 확장되는지 신기해요. ㅎㅎㅎㅎㅎ

여튼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듣보잡
진영 논리에 뇌가 절여져서 그렇습니다. 요즘 어처구니없는건 총선이 한일전이라는 건데 ㅋㅋ 진영 논리가 어디까지 확장되면 이렇게 되는지 제 논리로 감당이 안됩니다 ㅋ
1
방사능홍차
정치적 광신은 여야, 진보 보수의 스펙트럼 전반에 걸쳐서 있는 것 같네요.
네이버 다음 댓글보면 가관이죠.
지금은 태극기 부대가 그 광신의 아이콘이지만 후대엔 누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공기반술이반
어차피 자한당이 여당되면 검찰로도 잘 조지는데 굳이 자한당이 정권잡았을 때를 걱정할 필요가 있을까요?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57 일상/생각공무원 7급 = 일반고 전교 1등? 30 메존일각 18/07/27 7284 0
11237 기타공무원들의 월급은 얼마나 될까? 17 지와타네호 20/12/16 6140 0
11063 일상/생각공무원에 대한 선입견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7 nothing 20/10/16 4477 22
1727 정치공무원이 성과에 따라서 보수를 받아야되는 직업인가 싶습니다. 27 하니남편 15/12/07 6810 2
15186 일상/생각공백 없는 이직을 하였읍니다. 11 Groot 25/01/04 1352 21
8694 일상/생각공부 잘하는 이들의 비밀은 뭘까? (上) 22 Iwanna 18/12/28 6168 8
8699 일상/생각공부 잘하는 이들의 비밀은 뭘까? (下) 4 Iwanna 18/12/28 5256 9
7416 일상/생각공부 하시나요? 10 핑크볼 18/04/20 4288 3
15164 일상/생각공부가 그리워서 적는 대학 첫 강의의 기억 10 골든햄스 24/12/27 1081 12
13741 일상/생각공부는 노력일까요? 재능일까요? 39 비물리학진 23/04/11 4088 0
7228 일상/생각공부는 어느정도 레벨을 넘으면 꼭 해야하는 것같습니다. 6 란슬롯 18/03/12 4334 3
14044 일상/생각공부에 대하여... 13 희루 23/07/14 3247 0
10655 일상/생각공부하다 심심해 쓰는 은행원의 넋두리 썰. 10 710. 20/06/06 6282 31
7040 일상/생각공부하다한 잡생각입니다. 10 성공의날을기쁘게 18/02/03 3657 0
13269 도서/문학공상과학문학의 트렌드 분석 - 우주여행과 다중우주(멀티버스)를 중심으로 20 매뉴물있뉴 22/10/25 3309 2
9741 정치공수처 제도 여당안 비판 26 제로스 19/09/30 5626 16
11316 정치공실률 0%로 집계되는 부동산 통계의 문제점 7 Leeka 21/01/03 4682 3
2270 정치공약 : 트럼프 vs 샌더스 10 눈부심 16/02/22 4649 1
15006 오프모임공약은 지켜보겠읍니다.(기아 우승) 35 송파사랑 24/10/29 1618 11
8995 방송/연예공연 후기 (태연의 서울 앵콜 콘서트) 2 레이미드 19/03/23 3785 2
11074 일상/생각공유 스쿠터를 애용중 입니다. 14 겨울삼각형 20/10/19 4236 1
8101 사회공익법 재단 공감의 안희정 판결 톺아보기를 톺아보기 4 DrCuddy 18/08/23 5427 11
10898 사회공장식 축산과 동물에게 주어져야 할 최소한의 권리 93 최우엉 20/08/30 7479 7
8005 음악공주를 위한 트위스트 2 바나나코우 18/08/06 3514 2
6514 영화공주와 도둑 26 구밀복검 17/11/03 5446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