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9/20 01:42:42수정됨
Name   그저그런
Subject   와이파이(Wi-Fi) 란 무엇일까?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6


    CONTAXND
    제목만 보고 결혼 이야긴줄 알고 드립치러 왔습니다.
    모바일 세상에 꼭 필요한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1
    미카엘
    부인 분 얘기인 줄..
    그저그런
    제목 바꿨읍니다 ㅋㅋ
    방사능홍차
    음.. 4) 글의 지적을 보고는 이거 사실을 잘못알면은 여배우라서 무시당했다 하고 선동당하기 좋은 것 같네요. 이래서 사실확인이 중요.

    그리고 항상 궁금한게 인터넷의 회선의 처리 속도가 100mbps 환경에서
    1. 5G 사용하는 공유기한다면은 그냥 2.4g 주파스만 사용하는 것과 얼마나 체감 차이가 나는지
    2. 100mbp 환경에서 기가 공유기를 사용하는게 그렇지 않은 것과 체감 상 얼마나 차이가 날까?
    가 항상 궁금하네요. ㅋㅋ
    적고 보니 같은 제한된 회선 속도에 공유기 처리 속도가 좋으면 좋을 수록 빠른게 당연한데, 체감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직접 겪어보지 않는 이상 잘 모르겠군요.
    그저그런
    넹. FHSS도 의미있는 발명이고 수업때 배웠던갓 같긴한데, 그래도 좀 무리해서 강조한것 같더라고요.

    1) 개인적으로는 2.4G에 간섭이 많을때 5G를 쓰는 편이예요. 5G가 최대속도는 2배정도 나오는데, 대신 거리나 회절/반사에 약해서 콘크리트 벽뒤 같은데서는 5G대역이 더 느려질수도 있거든요. 위치별로 최고속도에서 경로손실+MIMO 동작을 감안해야 실제 속도가 나올거예요 ㅎ 여기에 주변의 간섭과 사용자들도 감안해야....ㄷㄷ
    최고속도가 10배 빨라진다고 내 속도가 10배 빨라지는건 절대 아니지말입니다. (3g에서 4g로 ... 더 보기
    넹. FHSS도 의미있는 발명이고 수업때 배웠던갓 같긴한데, 그래도 좀 무리해서 강조한것 같더라고요.

    1) 개인적으로는 2.4G에 간섭이 많을때 5G를 쓰는 편이예요. 5G가 최대속도는 2배정도 나오는데, 대신 거리나 회절/반사에 약해서 콘크리트 벽뒤 같은데서는 5G대역이 더 느려질수도 있거든요. 위치별로 최고속도에서 경로손실+MIMO 동작을 감안해야 실제 속도가 나올거예요 ㅎ 여기에 주변의 간섭과 사용자들도 감안해야....ㄷㄷ
    최고속도가 10배 빨라진다고 내 속도가 10배 빨라지는건 절대 아니지말입니다. (3g에서 4g로 넘어가갈땔 기억해보면 체급이 다르긴 하지만요.ㅎㅎ)
    체감품질은 마 환경에 따라 다르다 그리 말할수 있읍니다.

    2) 유선 100mbps환경이면 최대 100mbps 속도가 나오겠쥬 ㅎㅎ. 무선환경이 개선되어 100mbps이하였던곳이 100이 되는 결과는 나올수 있는데, 그이상은 안되지 말입니다 ㅎㅎ
    전체 구간중 가장 낮은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1Gbps공유기를 제대로 쓰려면 유선도 기가인터넷을 쓰시는게 좋습니다.
    1
    방사능홍차
    오 감사합니다 ㅋㅋ 혹시나 여유가 된다면 미래 환경을 위해서 기가 공유기 지르는 것도 나쁘진 않겠네요
    그저그런
    네 ㅋ 공유기는 한번 사면 잘 안바꾸니까요 ㅎㅎ
    전 휴대폰중독자라 정작 와이파이는 잘 안쓰지만요 ㄷㄷㄷ
    알겠슘돠
    숫자로도 병용하기로 한지 얼마 안된 상황이라 표기합니다.
    Wi-Fi 4: 802.11n (2009)
    Wi-Fi 5: 802.11ac (2014)
    Wi-Fi 6: 802.11ax (2019)
    Wi-Fi 7: 802.11be (?)
    그저그런
    넵! 감사합니다. ㅎㅎ
    리피터 사용하는 거랑 wifi mesh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그런데
    mesh는 별도 표준이 있으며, peer-to-peer 통신을 하는 구조이고
    repeater는 하나의 기기가 다른 AP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받아온 후
    다시 이를 자기 내부의 AP에 bridge / NAT 방식으로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mesh가 실제로 보급되고 있나요?
    표준은 벌써 만들어져 있는데 실제로 쓰는 모습은 아직 주변에서 본 적이 없어서요.
    2
    네, 이미 많이 팔고 있습니다.
    iptime은 무려 펌웨어로 기존 모델에서 mesh 구축이 가능하게 하겠다는 발표도 했고요.
    2
    그런데
    잘 정리하셨네요.
    빠진 내용이라면 보안 정도겠는데 이쪽도 생각보다 자주 바뀌더군요.
    최근에는 WPA3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WPA2의 보안에 헛점이 발견되었다고 하지요.

    그리고, 송달거리 300미터는 보통 뻥이고 line of sight에서 100미터 이하로 보는게 맞습니다.
    건물 안이나 장애물이 있으면 더 짧지요.
    이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우리가 이용하는 2.4G/5G인 11a/11b 표준은 신호간 시간 간격을 짧게 잡아놔서
    멀어지면 수신응답을 못받게 되어 있고 송신 전력도 그렇게 높혀 놓질... 더 보기
    잘 정리하셨네요.
    빠진 내용이라면 보안 정도겠는데 이쪽도 생각보다 자주 바뀌더군요.
    최근에는 WPA3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WPA2의 보안에 헛점이 발견되었다고 하지요.

    그리고, 송달거리 300미터는 보통 뻥이고 line of sight에서 100미터 이하로 보는게 맞습니다.
    건물 안이나 장애물이 있으면 더 짧지요.
    이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우리가 이용하는 2.4G/5G인 11a/11b 표준은 신호간 시간 간격을 짧게 잡아놔서
    멀어지면 수신응답을 못받게 되어 있고 송신 전력도 그렇게 높혀 놓질 않습니다.

    그래서 한때 알루미늄 캔 개조해서 안테나 만들면 1km 간다는 글도 다 뻥입니다.
    신호를 받을 수는 있을 지 몰라도, 신호 응답을 되돌려 주질 못하기 때문에 재전송이 엄청 발생하고
    접속이 끊어졌다 붙었다 하는 등 쓸 수 없는 상태가 되지요.

    전 집에서 2.4/5G 공유기를 쓰는데 기본은 2.4G 쪽입니다.
    왜냐하면, 5G 신호가 회절에 약해서
    화장실 문을 닫거나 모퉁이 돌아 작은 방에 가 있으면 자꾸 끊깁니다.
    2.4G 40 MHz도 충분히 빨라서 보통은 이걸로 충분하기도 하구요.
    1
    그저그런
    히히 감사합니다 ㅋ 전 네트워크 가이라 보안은 뭐 알아서 하겠거니 하는 편이거든요 ㅋㅋ
    저도 보통은 2.4G를 썼는데 아마 출력제한 영향이 큰것 같더라고요. ㅎㅎ
    김치찌개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11 과학/기술기업의 품질보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Fate 20/01/22 5709 17
    10174 과학/기술CES2020 저희 부스에 온 온분들 특징 17 집에가고파요 20/01/10 5835 5
    10124 과학/기술'한국어 자연어처리 데이터 수집'에 관련하여 글 남깁니다. 21 홍차드립되나요 19/12/28 6604 3
    10111 과학/기술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3) - 행위자-연결망 이론, 물질적인 것의 귀환 11 호라타래 19/12/24 6795 3
    9982 과학/기술해냈다!! 해냈어!! 화력덕후들이 또 해냈어!! 26 Darwin4078 19/11/13 9390 11
    9685 과학/기술와이파이(Wi-Fi) 란 무엇일까? 15 그저그런 19/09/20 5937 6
    9679 과학/기술스마트폰이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2 샤우리우 19/09/18 7028 1
    9482 과학/기술알아도 쓸모 없고 몰라도 상관 없다 - 왓슨의 주장에 대한 비판 vs. 왓슨에 대한 비난 8 굴러간다 19/07/28 6029 4
    9478 과학/기술알아도 쓸모 없고 몰라도 상관 없다 - 종 (種, species)에 대한 잡설 14 굴러간다 19/07/27 5965 8
    9475 과학/기술[번역] 인종 평등을 위한 과학적 기초 下 4 구밀복검 19/07/27 7288 9
    9474 과학/기술[번역] 인종 평등을 위한 과학적 기초 上 16 구밀복검 19/07/27 7194 9
    9388 과학/기술블록체인의 미래 - 2018 기술영향평가 보고서 2 호라타래 19/07/03 5965 19
    9329 과학/기술 Qt 5.13.0: C++로 개발해서 웹브라우저에서 실행하자! 6 T.Robin 19/06/20 7248 1
    9324 과학/기술과학적 연구의 동기부여는 시대를 어떻게 대변하는가? 25 다시갑시다 19/06/18 6556 36
    9319 과학/기술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7247 20
    9043 과학/기술화학 전공하면서 들은 위험했던 썰 몇가지 29 Velma Kelly 19/04/05 6476 15
    8932 과학/기술수학적 엄밀함에 대한 잡설 26 주문파괴자 19/03/05 5607 16
    8443 과학/기술정수론의 복잡성, 그리고 우주론 파랑새의나침반 18/10/30 5487 2
    8351 과학/기술[확률론] 당신은 암에 걸리지 않았다 - 의사들도 잘 모르는 사실 12 Sophie 18/10/11 7522 10
    8203 과학/기술파인만이 얘기하는 물리 vs 수학 21 Sophie 18/09/11 14154 1
    7988 과학/기술지구 온난화와 원전. 55 키시야스 18/08/01 7236 16
    7900 과학/기술가짜 논문지 그리고 연구윤리와 국가과제 및 정년보장 18 집에가고파요 18/07/21 5188 0
    7724 과학/기술다수의 출구조사로 대통령의 지지율을 보는게 맞을까? 7 히하홓 18/06/21 5133 0
    7628 과학/기술[진짜 통계의 오류] 설계의 오류 1 히하홓 18/06/06 5758 0
    7536 과학/기술본격(영어)듣기시험 평가 얘니 v 로렐 분석 13 다시갑시다 18/05/18 4890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