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8/26 01:18:30
Name   은목서
Subject   문제를 진짜 문제로 만들지 않는 법
(좀 생각을 정리해 적어야 할텐데, 지금 아니면 안 될 것 같아 거칠게나마 적어요)

우리가 살다보면 꼭 ‘문제’가 생기게 되죠.

인생을 사건, 사고의 연속이라 본다면, 이건 당연하죠.
그래서 이런 사건, 사고가 생긴다면, 그건 거기서 그쳐야지 진짜 ‘문제’로 확대되지 않게 하는게 중요한 거 같아요.

뭐가 진짜 ‘문제’냐…저 같은 경우는 저 자신과 가족, 소중한 사람들과의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거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보죠.

만약 사기를 당했어요. 그러면 금전적 손해가 크게 되죠. 이 경우 금전적 손해는 금전적 손해일뿐이어야지…
이게 자살이나 가족의 파탄까지 가지 않게 해야죠. 아니 손해를 본 것도 억울한데, 그 것 때문에 가족까지 잃어야 할까요.
주변에서 그 집은 망했어..라고 말해도, 가족이 서로를 잡고 있다면 망한게 아니라고 생각해요.

음 너무 극단적인 예인거 같으니 그냥 제 이야기를 할게요.

몇년 전에 저는 손가락 하나를 다쳤어요. 인디 공연장에서 미끄러져 넘어졌을 뿐인데 바닥에 손을 짚다 유리에 베었어요.
그렇게 아프지는 않은데 피가 이상하게 많이 나며 안 멈춰서, 지혈이나 하자고 응급실에 끌려 갔어요.
그런데 그 길로 바로 입원해 다음 날 수술해야 했어요.

깊게 베어 인대와 신경이 끊어져, 6개월 간격을 두고 2번의 수술을 했지만 심하게 협착되어 손가락이 펴지지 않아요.
누구라도 쫙 펴친 손바닥은 단풍잎처럼 예쁜데, 그 후로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까지 계속 그렇게 할 수 없으니 안타깝지요.

그 당시 사귀던 분은 자책을 많이 했어요. 바로 옆에 있으면서 붙잡아주지 못했다고요.
저는 그런 생각은 하지 않고(뭐 제가 신나서 놀다 다친건데) 그냥 넘어졌을 뿐인데 이렇게 될 수도 있구나…
그러면서 6개월이 넘게 물리치료를 꼬박꼬박 받으러 다녔어요.

파라핀 뜨끈뜨끈 따뜻해서 좋아…ㅎㅎ 이러면서요. 여담이지만 물리치료실은 재미있는 곳이에요.

재수술도 실패로 끝나서…저는 펴지지도 않고, 비가 오면 욱씬욱씬 아파서 일기예보를 해주는 손가락을 가지게 되었죠ㅋ
하지만 굽어져 굳은 채로도 컴퓨터 키보드를 치는데는 지장이 없으니, 주변에서 속상해 하는 것에 비해 치명적인 ‘손상’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보험금이 나왔습니다. 오백만원이었어요. 운이 좋았죠. 사고가 났을 때가 보험 가입한지 얼마 안되었을 때였거든요.
저는 막연히 그 돈은 생활비로 쓰면 안된다고 느꼈어요. 어쨌든 형태상 변형이 있게 된 손상 후에 받은 보험금이니까요.

그래서! 저는 그 돈으로 안내렌즈삽입술을 했습니다.ㅎㅎ
전 시력이 몹시 안 좋아서 일반 라섹, 라식을 할 수가 없었고 다만 안내렌즈삽입술은 가능했는데, 그 수술이 그렇게 비쌌습니다…요새는 좀 싼지 모르겠군요.

이번 수술은 잘 되어서 고도 근시에 고도 난시까지 잡아, 0.7 정도 나올 거라던 예상을 꺠고 1.0이 넘는 시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수술 다음 날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천장이 보이던 환희는 잊을 수 없습니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안경을 써서 흐린 상태가 익숙해 불편하지도 않았는데, 아니더군요. 번거로운 안경을 벗어버린 것만으로 날개를 단 것처럼 자유롭다 느꼈어요. 제 인생 베스트 지름 넘버원입니다ㅎㅎ

그렇게 저는 손가락을 다친 것과 눈을 고친 것을 같이 링크시켰습니다.
나쁜 일을 나쁜 일인채로 두지 않기 위해서요. 지금도 잘 한일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다음 이야기도 조금 다르지만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법륜스님이 상처나 모욕을 주는 말에 대해 말씀하신 거요.
그럴 일이 없어야 하지만 누가 네게 쓰레기를 던졌어, 그럼 여기까지는 일어나지 않았어야 하는 억울하고 안타까운 일이예요. 그런데 그 쓰레기를 얼른 버려고 씻어야 하는데, 계속 들고 다니면서 이리 보고 저리 보고 아파하고 또 꺼내서 다시 아파하고 이러고 있는건 본인이라는거죠. 물론 잊혀지지도 않고 계속 아프고 아프니까 그럴 수밖에 없지만, 결국 ‘쓰레기를 계속 들고 다니는건 누구인가?’ 이 질문은 생각해 볼만 한 거 같아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사고, 사건은 늘 벌어질 수밖에 없어요. 그건 막을 수 없죠.
대신 우리는 그 영향을 제한할 수 있어요.

’문제’가 생겨도, 그 영향을 ‘문제’자체로 한정해야지, 인생과 관계 전체로 번지게 않게 잘 관리하려 노력할 수는 있어요.

네 알아요. 어떤 문제는 그 연결고리가 몹시 강해서 그 사고를 끊기 어려울 수 있어요.
하지만 곰곰히 잘 들여다보면 사건, 사고 그 자체가 꼭 죽을 일은 아니예요.

‘그것 때문에 인생망했어’라고 말하는 순간부터 인생은 망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본인은 물론이고 타인에게도 섣불리 ‘그 문제로 그들은 나쁘게 될거야’라고 단정짓지 말았으면 좋겠어요.

문제는 생길 수 있지만, 인생은 망하지 않을 수 있어요.

인생은 길고,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것이니까요.

그냥 이 이야기를 하고 싶었어요.













56
  • 과연 그렇군요.
  • 일어나면 되는 걸, 계속 주저앉아있는 절 발견할 때가 많습니다. 우리 힘내요!!
  • 감사합니다. 제게 지금 가장 필요한 말이었어요
  • 덧없는 인생의 지혜입니다...ㅡ
  • 현명하십니다!
  • 춫천
  • 좋은 인생의 교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게 바로 인생의 진리.
  • 인생사 새옹지마
  • 좋습니다.
  • 심금을 울립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하나에 집착하면 거기에 머물러서 나아가지 못하죠. 긍정적인 화두 때문에
걸음을 멈춘 거면 좋겠지만 아니라면 불행을 선택하는 느낌이랄까요.
2
메존일각
저도 연관지어 하고픈 얘기가 있어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걸 터뜨리면 '문제'로 변합니다. 예컨대 언론에서 이런 짓거리를 정말 잘하죠.
하지만 이런 문제들은 알고 보면 금방 수습하거나 되돌려 바로잡을 수 있는 '실수'인 경우가 더 많고요.
이런 건 사람인 이상 발생할 수밖에 없는 아무 것도 아닌 일인데 이걸 트집잡는 거죠.

덮어놓고 문제가 커질 때까지 계속 놔두다가 터진 경우면 진짜 '문제'인데
'실수'를 '문제'로 둔갑시키는 경우가 많은 게 현실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경우는 더더더더더 많아지겠죠.
7
사이시옷
오.. 좋은 말씀이네요.
문제로 만들기 이전에 실수 레벨에서 처리해야 되는군요.
잘 될지에 대해서는 회의감이 들지만,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히 주무세요.
2
다람쥐
나쁜 일을 연쇄적으로 이어서 생각하지 않고
중간에 끊어 내는 것 만으로도 아주 효과적인 대응이 되는 것 같아요
그나저나 그렇게 심하게 다치셨었군요 ㅠㅠ 손가락이 예민해서 조금만 잘못되어도 거슬림이 심하더라고요
은목서님 대단해요!! 늘 응원합니다
1
에스와이에르
일련의 사건들로부터 인과관계를 찾아내고 무언가의 의미를 도출해내려는 인간의 본능은 다른 종들이 이루지 못한 인류만의 문명을 이루어냈지만 별개로 고통을 주기도 하죠.말씀하신 것들도 그렇고.. 본능을 이겨내는 일이니 당연히 어렵고 ㅜㅜ 그래도 늘 노력해봐야죠.감사합니당
1
파란아게하
매우 옳으신 말씀입니당
1
곰곰이
저는 쓰레기를 절대 안 버리고 다 모아서 - 내 마음은 튼튼하다며 - 요목조목 현미경으로 분석하는 걸 즐기는 스타일이었는데 그러다 정말 큰 후유증을 얻었습니다. 결국 진짜 문제가 되어 버렸는데, 말씀대로 쓰레기는 멀리 던지고, 인생은 길게 보고 차근차근 수습해야겠어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조필연
좋은글입니다
좋은글 감사해요. 여러모로 생각하게되는 글이네요.
라면인건가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같은 유리멘탈에게는 큰도움이되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47 일상/생각새로운 신분사회가 된 학교 8 이그나티우스 19/09/09 4961 0
9643 일상/생각터널 진입 중 3 웃는눈 19/09/09 4373 15
9642 일상/생각새로운 나를 원하는분들과 나누고 싶은 세 걸음 3 Jace.WoM 19/09/09 5498 22
9636 일상/생각사소한 친절 2 아복아복 19/09/08 4079 23
9631 일상/생각[불판] 13호 태풍 관련 기상 불판 22 알겠슘돠 19/09/07 4158 0
9627 일상/생각평일 저녁 6시의 한강 다리에는 5 에스와이에르 19/09/04 5291 12
9612 일상/생각조국 워너비 이야기 67 멍청똑똑이 19/09/02 7430 20
9611 일상/생각나만의 이유 2 방사능홍차 19/09/02 5124 8
9606 일상/생각난 왜 옆집 개를 몰랐나 7 저퀴 19/09/01 4662 13
9597 일상/생각잠재의식이 음악 선곡에 미치는 영향.. 4 프링 19/08/29 5271 4
9591 일상/생각다시 돌고 도는 일상 3 3 알겠슘돠 19/08/27 5507 1
9587 일상/생각삼촌을 증오/멸시/연민/이해/용서 하게 된 이야기 23 Jace.WoM 19/08/26 6490 49
9585 일상/생각다시 돌고 도는 일상 2 2 알겠슘돠 19/08/26 5202 0
9584 일상/생각강아지를 잘 기르기 위해서 4 우유홍차 19/08/26 5196 23
9583 일상/생각문제를 진짜 문제로 만들지 않는 법 11 은목서 19/08/26 6339 56
9582 일상/생각간만에 들렸습니다 3 빨간까마귀 19/08/25 5194 5
9577 일상/생각여자는 헬스장 웨이트 존이 왜 불편할까에 대한 이야기 46 19/08/24 20214 46
9572 일상/생각해방후 보건의료 논쟁: 이용설 vs 최응석 5 OSDRYD 19/08/23 6733 11
9569 일상/생각Routine과 Situation으로 보는 결혼생활과 이혼 36 Jace.WoM 19/08/22 8016 38
9565 일상/생각다시 돌고 도는 일상... 3 알겠슘돠 19/08/20 4320 0
9552 일상/생각혼자서 애 키우던 시기에 대한 추억... 39 o happy dagger 19/08/16 7166 51
9542 일상/생각진짜가 되는 법 4 진랩 19/08/14 5485 2
9541 일상/생각떠나며 56 호라타래 19/08/13 7420 82
9539 일상/생각현재 홍콩공항 엄청나네요. 12 집에가고파요 19/08/12 5857 1
9535 일상/생각면접관에게 거의 아규를 했지라는 평가를 받았던 면접 후기 26 kaestro 19/08/10 12279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