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5/29 00:00:46
Name   The xian
Subject   오후 두 시
낮에 일하는 사람들이 점심을 먹고 잠깐의 휴식으로 짧게 재충전한 뒤 기운을 회복하는 시간.
아침부터 태양열을 받은 바깥의 온도가 가장 높아지는 시간.

오후 두 시.

하지만 제게 이 시간은. 그럭저럭 움직이던 제 신경이 하나둘씩 제정신을 차리지 못하기 시작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우선 한쪽 눈꺼풀부터 서서히 감겨지기 시작합니다. 심하면 한쪽 눈을 거의 뜨지 못하기도 합니다.
키보드를 치는 손은 미묘하게 오타가 늘어납니다. 당연히 오타가 미묘한 정도가 아닐 때도 있습니다.
마우스를 잡아도 어린애도 안 할 클릭 미스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그렇게 전신을 무력감이 가득 채웠을 때에는 자리에서 축 늘어지기도 합니다.

찬 물로 세수를 하거나 커피를 몇 잔이고 마셔도 이 증상은 크게 없어지지 않습니다.
잠을 못 자서 그런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말을 하다가 목소리가 어눌하게 나오거나 아예 말을 더듬게 되기도 하고
뭘 먹게 되면 젓가락질을 하다가 초밥이든 반찬이든 제대로 집지 못해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그 전날 잠을 아무리 잘 자서 에너지를 축적해 놓아도 그 에너지가 소비되는 동안 충분히 보충이 안 됩니다.
그러니 그 에너지를 다 쓰게 되면 무력감에 빠지는 것이죠.

그 시간이 보통 오후 두 시입니다.


물론 잠을 제대로 못 자거나 피로가 누적되면 오후 두 시가 좀 더 일찍 찾아오기도 합니다.
어떤 날의 오후 두 시는 저에게 정오가 될 때도 있고, 열한 시가 될 때도 있고, 심하면 여덟 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어도 먹고 살아야 하니 좀비처럼 걸어나가 대부분은 일터로 향하는 지하철에 오르지만
정말로 무력한 날은 그냥 내일 아침은 생각하고 싶지도 않을 때가 있기도 합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해가 기울고 저녁이 되면 조금은 기운이 회복됩니다. 왜 그러는지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최소한 서너 시간, 많으면 대여섯 시간 동안 기운 빠진 상태에서 에너지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니.
사용하지 않은 만큼의 에너지가 남아서 기력이 회복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죠.

하지만 낮 동안 골골대다가 저녁에 조금 생기가 돌아오는 제 모습을 보고.
어떤 자들은 저를 번아웃이 맨날 온다고 비꼬았습니다. 식곤증이라는 오해를 받은 적은 부지기수입니다.
일 하기 싫어 꾀병을 부린다거나 직무태만이라는 오해도 받았습니다.

차라리 번아웃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차라리 식곤증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차라리 제 의도에 의한 직무태만이나 꾀병이었으면 후련하겠다 싶기도 합니다.


내일 저에게, '오후 두시'는 몇 시에 찾아올까요?  그리고 내일은 얼마나 그 무력함이 오래 갈까요?


두렵습니다.

이렇게. 자정 다 될 때까지 한쪽 눈이 감겨 있는 날에는. 더더욱.


- The xian -



4
  • 괜찮은 날이 더 많아지셧으면합니다


다람쥐
어 저도 오후 두시쯤 그래요
근데 저는 번아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아닌걸까요? 시안님 말씀하신거랑 비슷한 느낌이거든요
The xian
느낌보다는 전문의의 적절한 진단을 받고 원인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단, 일상생활에 지장이 크게 없으면 너무 많은 비용을 들이실 필요는 없습니다.

저도 몇 년 간은 제가 그냥 일만 하다보니 체력이 떨어졌거나 의욕이 없다고 생각했었고
그러다 보니 제대로 된 병명과 원인을 찾는 데에 상당히 시간이 걸렸습니다.
지인중에 구안와사 있으신 분이 계신데 그 분도 상태가 좋아졌다 가끔 안좋아지시기도 하고 그러시더군요.
어떻게 해야 호전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건강하시길 바래요.
The xian
약을 먹어도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뭐 어쩔 수 없지요.
사이시옷
4년전 발병한 자율신경 항진증 때문에 비슷한 경험을 많이 했습니다.
지금은 좀 나아진 편이지만 심할 때는 1시간 외출하면 돌아와 반나절 꼼짝없이 누워있었던 때가 생각나네요.

화이팅입니다.
호라타래
화이팅입니다. 건강하셔야 해요ㅠㅠ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53 의료/건강입국거부에 대한 움직임 변화 49 Zel 20/02/02 7786 31
10251 의료/건강세계 보건안전 인덱스 6 다군 20/02/01 5405 4
10245 의료/건강코로나 바이러스 뉴스 모음 39 Zel 20/01/31 8101 10
10243 의료/건강문제의 '세번째 확진자' 덕에 질병관리본부가 열일하는걸 알게되네요 17 호두 20/01/30 5944 9
10241 의료/건강신종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이 겉잡을 수 없이 퍼지는군요. 22 대왕소 20/01/30 6043 1
10234 의료/건강부정적인 생각 멈추기 14 들풀처럼 20/01/29 5880 9
10230 의료/건강BBC의 코로나바이러스 Q&A 14 Zel 20/01/27 6818 30
10228 의료/건강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주의→경계”격상 다군 20/01/27 5675 2
10210 의료/건강건강검진은 비싼 물건이다 11 아이폰6S 20/01/21 6060 0
10052 의료/건강꽃보다 의사, 존스홉킨스의 F4(Founding Four Physicians) 11 OSDRYD 19/12/06 5903 20
9979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3. 치료 13 세란마구리 19/11/12 6395 17
9923 의료/건강마음의 병에도 골든 타임이 있습니다. 7 김독자 19/10/31 5566 41
9865 의료/건강최고령 의사 히노하라 시게아키(日野原重明, 1911-2017) 5 OSDRYD 19/10/20 5399 7
9826 의료/건강허리에 좋은 운동과 나쁜 운동이라고 합니다... @.@ 8 홍당무 19/10/13 5782 0
9803 의료/건강에이즈 환자 전액 국가지원을 이제는 고쳐야 하지 않을까요. 7 tannenbaum 19/10/09 5437 1
9771 의료/건강Ready to go ANDIBES. 1 집에가고파요 19/10/04 4597 3
9645 의료/건강2차 임상 들어갑니다. 11 집에가고파요 19/09/09 5299 8
9551 의료/건강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환자 10 Jace.WoM 19/08/15 5258 31
9447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약국 이야기 6 켈로그김 19/07/17 5633 5
9428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파스 고르는 팁 18 켈로그김 19/07/11 6153 19
9354 의료/건강치약에 관한 잡다한 이야기 2편 化神 19/06/27 4717 4
9252 의료/건강저희는 언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까요.. 18 Zel 19/05/30 7539 66
9243 의료/건강오후 두 시 6 The xian 19/05/29 4661 4
9185 의료/건강90년대~00년대 미세먼지 보도(영상 다수) 5 구밀복검 19/05/12 5592 10
9089 의료/건강오늘 받은 정관수술 후기 19 미스터주 19/04/17 8421 3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