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4/25 18:45:02
Name   Jace.WoM
Subject   (스포일러) 가슴과 머리로 보는 엔드게임

가슴 )

시리즈의 마무리로서의 성의는 100점 만점에 100점이었습니다.
프리가, 하워드 스타크등과의 씬도 그랬지만 심지어 제인 포스터가 다시 등장할줄이야

마블은 이후에도 MCU를 이어 나가야 하는 입장에서 차기 시리즈들로의 연결고리 역할을 이 영화에 부여할 수도 있었지만
전혀 그렇게 하지 않고 오로지 여태까지 써온 서사에 대한 예의에만 집중했습니다.

쿠키 영상도 없고 차기작 떡밥도 없으며 페이즈 4의 메인 히어로들인 가오갤 닥스 스파이더맨 캡마 블팬의 비중은 정말 쥐똥만큼밖에 안되고
그나마 개중에 제일 많이 나온 캡틴 마블도 작품내에서 어떠한 서사도 없이 그저 쌈박질만 몇번 할 뿐입니다.

이런것까지 했네 싶을 정도로 자잘한 오마쥬가 많아 관객들을 보는 내내 향수에 젖고 즐거워 하게 만듭니다.
인물들의 마무리도 감동적이고, 무엇보다도 처음에 말했던것처럼 여태까지 고생한 히어로들과 팬들에 대한 과분할정도의 성의가 느껴져서 심정적으로 매우 만족스러웠고 영화관에 나오면서 꽤 깊은 여운에 젖을 수 있었습니다.


머리 )

그러나 사실 차갑게 머리를 식히고 이 영화를 개별적인 작품으로 바라보면 거의 하자품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원래 시리즈물을 한편만 똑 떼어놓고 보면 이해가 안되는게 당연하다 뭐 그런 맥락에서 이야기 하려는게 아니라
그냥 영화 자체가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정말 핵심적 내용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플롯을 볼때 이 영화에서 어벤저스 대원들이 맞서는 상대는 타노스가 아닙니다.

현재의 타노스는 영화 10분만에 토르한테 모가지가 썰려 퇴장하고
과거의 타노스는 폭격으로 시작되는 파이널 시퀀스 전에는 아예 어벤저스 멤버들에게 안중에도 없는 존재거든요

영화에서 대원들이 맞서는 상대는 사랑하는 가족들을 포함한 인류의 절반을 일순간에 허망하게 잃은 패배감과 상실감이고
실제로 5년 후 시퀀스를 보면 이에 대해 묘사하려는 노력이 어느정도 보이긴 해요

근데 그 묘사가 솔직히 깊이가 있냐 하면 그건 아닙니다. 너무나도 가볍고 헐겁게 묘사 되어 있죠.

상처치유 모임에 나간 캡틴을 보여주는 씬에서 캡틴이 같이 상처받고 괴로워하는 사람처럼 보였어야 했으나
실제로는 별로 그래보이지 않았죠. 자조적인 대사를 치긴 했지만 여전히 그는 그냥 괴로워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영웅입니다.

토르의 시퀀스는 그 위엄있고 완벽하던 토르마저 상실 후 5년이라는 세월동안 이렇게 망가졌다!
라는것을 보여주기 위해 싸구려 유머로 떡칠되어 프리가를 만나기전까지 그 텐션을 유지하고

가족을 잃은 호크아이가 맛탱이가 가서 범죄자들을 사적으로 처단하는 파트는 로드 중령의 대사로 나왔을때도 붕 떠보여서 웃겼는데
아예 한 파트를 일본 로케까지 해가면서 거기다 투자했고 영화 재밌게 봤다는 사람들도 이 장면은 혹평일색이죠. (미쟝센이나 연기-레너말고-는 좋았습니다.)

이렇게 5년간 상실의 늪에 빠져 아무것도 하지 않은 히어로들을 구원한것은 짜잔!하며 양자 세계에 같혀 있다가 쥐느님덕에 우연히 빠져나온 스콧 랭입니다. 뭐 전문가를 찾아가네 마네 하지만 사실 엄밀히 말하면 그가 모든걸 다 해결한거나 다름 없죠.




왜 이렇게 아무런 깊이 없는 플롯이 탄생했냐면... 이 영화에서는 극초반 이후 어떠한 요소를 의욕적으로 배제했기 때문입니다. 바로 분노와 복수를요. 영화 제목은 어벤저스지만 실제로 영화에서 복수심을 불태우며 분노하는 캐릭터는 딱 셋 뿐입니다.

1. 현재 타노스의 모가지를 날릴때의 토르
2. 눈앞에서 비전을 잃고 금방 소멸했다가 살아나자마자 포탈타고 와서 과거 타노스를 만난 완다
3. 사적제재 하고 다니는 호크아이

감독은 이 분노와 복수심이 거세된 자리를 감독은 정말 철저하게 가족애로 채웁니다.

원래 히어로 영화 - 헐리우드 영화 - 대자본 블록버스터에서 가족애가 차지하는 비중이 어마어마 하고
실제로 마블 영화에서도, 어벤저스 시리즈에서도 형제애나 어벤저스 멤버들 사이에서의 가족같은 유대에 대해서 많이 다루긴 했습니다만

이번 작품은 아무리 그래도 좀 심해요

영화의 시작을 호크아이의 가족 씬으로 시작해서

가족 포츠에게 보내는 토니의 영상 메시지
모가지 썰리기 직전 타노스의 네뷸라에 대한 부정
캡틴의 상담치유 모임 참가자의 입을 빌린 가족애 찬가
블랙 위도우의 어벤저스에 대한 가족애
양자 세계에서 나온 스콧랭와 딸의 감동 재회
더 이상 분노하지 않는 헐크의 가족애에 대한 연설
딸과 포츠와 단란한 시간을 보내는 토니의 가족애 + 피터 사진 한번 쳐다봐줌
과거로 가서 엄마를 다시 만난 토르
과거로 가서 아빠를 만난 토니
보로미르에서의 블랙 위도우의 어벤저스에 대한 가족애 2
헐크의 핑거스냅 이후 로라에게서 걸려 온 전화에서 보여주는 가족회합
포탈에서 슈리와 같이 나오는 블랙 팬서
쓰러진 어린 스파이디에게 건틀렛을 받아서 길을 뚫는 A포스의 모성애
뒤지면서 타노스를 바라보는 에보니 모
아이언맨의 조촐한 장례식에서 가족단위로 클로즈업 되는 히어로들
아이언맨이 마지막으로 사람들에게 대놓고 남긴 이야기

아마 빼먹은 장면도 있을겁니다 그 만큼 심하고 과해요
무슨 명절 가족 신파영화도 아니고 저 장면들 정말 다 100% 필요했던거 맞습니까?

어벤저스에서 분노 그 자체를 상징했던 헐크는 이번작에서 아예 등장도 하지 않으며 심지어 브루스 배너의 전투씬마저 헐크버스터를 탄 전작보다도 줄어들었고 가장 큰 복수심에 불타 타노스의 모가지를 친 토르는 가장 큰 백리쉬를 겪고 영화의 90%를 허접한 모습만 보여줍니다. 심지어 가장 중요한 작전에서 조차 자기 할 일 내팽겨치고 엄마한테 가서 질질 짜고 있어요.

분노와 복수가 아닌 소중한것을 지키고 되찾으려는 마음과 내 옆에 있는 사람의 소중함에 대해 깨달으라고 영화 마지막에 대놓고 나레이션으로 훈수하는 장면에선 어지간한 마블 팬이 아니라면 순간 내가 휴머니즘 가족 영화를 보러 왔나 하는 착각까지 들겁니다.

아마 감독은 영화 시작 10분만에 타노스의 모가지를 썰면서 동시에 히어로들이 분노와 복수심을 불태울 대상을 잃어서 의욕을 상실했다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던것 같은데, 과도한 과잉과 결핍으로 그 묘사가 별로 와닿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극 내내 긴장감도 없고 뭔가 붕 떠있는 느낌이 너무 강했어요. 실패입니다.



여튼 종합적으로 어벤저스 엔드게임에 대한 제 평점은

가슴 : 5/5
머리 : 2/5

해서 평균인 3.5점 정도 될거 같네요.



4


    켈로그김
    배 : CGV나쵸는 좀 별로였어요. 2.5/5
    3
    우주최강귀욤섹시
    저도 여기에 공감하네요. 10년간의 행보에 대한 마무리와 팬서비스로는 더할나위 없이 훌륭했습니다만, 영화라는 작품으로만 보면 하자품이 맞다고 저도 생각하네요.
    황제펭귄
    동의하는 부분이 많네요. 저는 무엇보다도 영화 시작 시 마블 스튜디오 로고 뜰 때 음악부터 마음에 안 차고 시작해서 아쉽더라고요. 인피니티워 시작 때의 그 무거움과 긴장감의 음악이 차분한 흥분을 가져다 줬었는데.
    저는 팬서비스라는 측면에서도 맘에 안들었는데 토르, 블랙 위도우, 호크아이, 그리고 무엇보다도 헐크에 대한 묘사 및 비중이 너무 엉망진창이었습니다. 진짜 캡틴 아메리카랑 아이언맨을 제외한 1세대 어벤져스들은 모두 처참해졌어요...
    진짜진한다크챠컬릿
    영화 참 별로인데 정 때문에 4점 줍니다. 전 자비스가 그렇게 반갑더라고요 :)
    공감가는 말씀이 많네요. 뭔가 묘한 영화입니다. 명작과 졸작, 감동과 실망, 희로애락이 죄다 들어있는... 런닝타임이 길어서 싹 다 넣었나;??
    생각보다 "잘 만든" 영화는 아니었어요. 하지만 왜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고 좋아했나 생각해보니 문득 어릴 때 가지고 놀던 로봇 하나가 떠오르네요.

    우선 전 시리즈물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그 기원을 생각해보면, 어렸을 때 가지고 놀던 그 로봇이었던 것 같아요.

    그 로봇은 다른 로봇들과 합체하면 더 큰 로봇이 되는, 정확히는 그 로봇의 머리부분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여타 로봇시리즈가 그렇듯 그런 엑조디아식 합체 로봇들 중 몸통을 담당하는 로봇들은 크고 강해보이는 반면 그 머리부분은 따로 놓고 보면 정말 조악하고 약... 더 보기
    생각보다 "잘 만든" 영화는 아니었어요. 하지만 왜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고 좋아했나 생각해보니 문득 어릴 때 가지고 놀던 로봇 하나가 떠오르네요.

    우선 전 시리즈물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그 기원을 생각해보면, 어렸을 때 가지고 놀던 그 로봇이었던 것 같아요.

    그 로봇은 다른 로봇들과 합체하면 더 큰 로봇이 되는, 정확히는 그 로봇의 머리부분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여타 로봇시리즈가 그렇듯 그런 엑조디아식 합체 로봇들 중 몸통을 담당하는 로봇들은 크고 강해보이는 반면 그 머리부분은 따로 놓고 보면 정말 조악하고 약해보이기 그지없었죠.

    근데 어느날 친구가 놀러와서 그 로봇을 보더니 엄청 부러워하더라구요. 이게 있어야만 로봇의 합체가 마무리되는데, 어디서 구했냐는 식으로 말이죠.

    저에겐 엄마가 그냥 사준, 모양새 자체엔 별 생각없이 실망한 로봇이 누군가에겐 엄청나게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는.. 뭐랄까 그들만의 리그의 존재를 그때 얼핏 느꼈습니다. 그리곤 제가 한 편이라도 놓친 시리즈물은 시작조차 꺼리게 되는 이상한 습성이 생겼죠.

    근데 지금...mcu 시리즈 모든 작품을 보게된 사람이 되고나니, 그때 그 로봇을 추켜세우던 친구와 그럼에도 이 영화에 만족한 지금의 제 모습이 오버랩되네요.
    왼쪽을빌려줘
    새벽탐보고왔습니다 저는 5점만점은2.5점 울트론보다낮습니다
    퓨질리어
    동의하는 의견입니다.
    마블뽕 충전에는 더할나위 없지만 이게 굳이 '어벤져스'란 타이틀을 달 필요가 있었나 싶긴 했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60 영화강변호텔 (2019) _ 거의 모든 것의 홍상수 리니시아 19/05/31 5901 2
    9258 영화[불판] 기생충 스포일러 감상 + 스포일러 모임터 51 알겠슘돠 19/05/30 7044 1
    9255 영화팬보이와 영화. 트레키와 쌍제이 4 코리몬테아스 19/05/30 6275 7
    9246 영화애니메이션 속 풍경을 그려내는 배경미술 3 레이즈나 19/05/29 9095 13
    9151 영화용산 CGV 가는 길(지름길) 8 Cascade 19/05/04 13416 4
    9145 영화[엔드 게임 강스포] 루소형제의 Q&A 10 빠독이 19/05/01 4295 3
    9128 영화(스포) 엔드 게임 엔딩은 의도된 것이다? 28 우주견공 19/04/26 5886 0
    9126 영화[강스포일러] 엔드게임 2회차를 보고 나서도 아쉬웠던 점들 16 손금불산입 19/04/26 4693 1
    9124 영화(제목 스포 방지) 엔드 게임 만약에... 3 우주견공 19/04/26 3823 0
    9120 영화(스포일러) 가슴과 머리로 보는 엔드게임 9 Jace.WoM 19/04/25 4329 4
    9119 영화[핵스포] 보신 분들의 의견이 궁금한 엔드게임 46 No.42 19/04/25 5599 0
    9109 영화[불판] 어벤저스 엔드게임 스포일러 불판 100 알겠슘돠 19/04/23 6504 0
    9115 영화어벤져스: 엔드게임 스포일러 리뷰 15 Cascade 19/04/24 4292 2
    9111 영화어벤져스 영화를 역주행하며 느낀 히어로 등록제. (스포주의) 14 moqq 19/04/23 4578 0
    9080 영화뒤늦게 본 한 솔로 (약스포) 2 Picard 19/04/15 3850 0
    9037 영화생일 감상 정리 2 알겠슘돠 19/04/04 3307 2
    9025 영화[MCU] 엔드게임 이후의 마블이 더 기대되는 이유. 20 Cascade 19/04/02 5178 5
    8967 영화영화: 더 페이버릿 4 영원한초보 19/03/17 4385 3
    8947 영화주토피아(Zootopia, 2016) 3 나니나니 19/03/10 4131 0
    8929 영화[스포/후기] 살인마 잭의 집 - 라스 폰 트리에의 텅 빈 집 12 다람쥐 19/03/05 8063 6
    8920 영화호불호 갈리는 영화, 미스트(The Mist, 2007) (스포 밑에 있어요) 14 나니나니 19/03/02 4058 0
    8906 영화왜 우리는 열광하지 못하는가 : 글래스 3 왼쪽을빌려줘 19/02/27 3902 2
    8903 영화록키의 향수를 그리워했다면 조금은 아쉬운 영화(스포가 있을지도) 5 왼쪽을빌려줘 19/02/26 4182 1
    8902 영화[감상평] 살인마 잭의 집 : 원시인 vs 현대인?(스포 有) 2 에스와이에르 19/02/26 24157 3
    8874 영화러브라이브 선샤인 극장판 감상 정리 (2주차 후) 1 알겠슘돠 19/02/17 440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