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10/19 15:07:18
Name   기쁨평안
Subject   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 (4) 무기에 대하여 2
0. 검의 시초
칼(도검, sword)은 언제부터 칼이었을까요? (사실, 도냐 검이냐 가지고 여러가지 주장도 많고, 날이 한쪽이면 도, 날이 양쪽이면 검이다 뭐 이런 말들이 많지만 예전에는 크게 구별없이 섞어 썼다고 합니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은 뼈로 만든 칼을 사용했었다고 합니다.
나무를 자른다던가, 가죽을 자르는 것은 주먹도끼를 이용했겠지만,
작고 섬세한 작업을 할 때는 어쩔수없이 얇고 날카로운 도구가 필요했을 테고
큰 동물의 넓적다리 뼈를 날카롭게 갈아서 사용을 했던 걸로 보입니다.


<모로코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의 뼈칼들>

그리고 청동기 시대가 넘어오면서 자연스럽게 청동으로도 칼을 만들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동검들>


청동은 지난 글에도 썼지만 상당히 무른 편입니다. 그래서 청동검은 무기로는 안쓰기고 제례용으로만 쓰였다 이런 말들이 있는데,
그래도 실제 전투에서 청동무기는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사람의 몸이야 돌이건 구리건 너도 한방, 나도 한방 찔리면 죽는건 동일하니까요.

다만 무기끼리 부딪히거나 갑옷이나 방패에 부딪혔을 때 날이 상하는 경우는 많이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청동검들은 거의 다 양날검으로 만달었다고 합니다. 한쪽 날이 망가지면 반대쪽으로 돌려써야 하니까요.


<현재까지 보존이 잘 되어있는 전설적인 명검, 월왕구천검>

위 검은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월왕 구천의 명검입니다. 현재도 두꺼운 종이가 잘릴정도의 절삭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양날 청동검이 많이 쓰이다보니 검의 모양은 원래 이런 것으로 고정관념이 생긴다음,
철기시대가 되면서도 이렇게 양날검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1. 양날검과 외날도의 차이.

검의 단면을 생각해봅시다.


검신의 넓이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날의 경우 입사각이 더 좁습니다. 그래서 외날의 경우 절삭력이 더 뛰어나다고 할 수 있죠.
반면, 양날검의 경우 가운데에 두께가 있기 때문에 좀 더 내구성이 뛰어나다고 해야할까요.

그래서 외과용 메스나 회칼의 경우 이 입사각 자체를 극대화를 했기 때문에 절삭력이 뛰어난 거죠.

다만 실제 전투에서는 방패와 갑옷의 틈을 비집고 뚫어야 하기 때문에 적정수준의 내구성을 위해 적절한 날의 각도 등이 정해졌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검의 이미지인데, 손잡이 아래쪽에 동그란 부분을 "폼멜"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에 무게를 줘서 무게중심을 맞춥니다.
이러면 한손으로 들고 휘두를 때도 훨씬 자유롭게 다룰 수가 있죠.
일본도의 경우 일격에 자르는 것이 목적이다보니, 양손으로 휘두르도록 되어있고 무게중심도 앞쪽으로 가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2. 만병지왕

많은 무협지에서 만병지왕(萬兵之王)으로 검을 듭니다. 하지만 실제 전쟁에서의 주력무기는 창입니다.
그 이유는 민간인들을 징집해서 병사로 키울때에는 창만한게 없기 때문이죠.

밀집대형을 이루게 하고 장창을 들려준뒤, 열맞춰 이동하기, 찌르기 정도 훈련하면 일정수준 이상의 공격력을 갖게 되기 때문입니다.
백일창, 천일도, 만일검이라는 말이 있듯이 창은 배우기 쉽고, 검은 그만큼 숙달되기가 어렵거든요.

빽빽한 대형을 이룬 장창병에게는 방패도 그다지 필요가 없습니다.
알렉산더의 마케도니아 팔랑크스는 방패를 그냥 팔에 묶어버렸죠.
중세의 파이크 장창병들은 아예 방패를 없애버리기도 했고요.

그럼에도 검이 오랜시간동안 사랑받은 이유는
무력집단계급(서양의 기사, 동양의 장수)들의 보조무기, 일상생활용 호신무기로 검만한게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의 전장에서의 주력무기는 창과 같은 장거리 무기였는데, 이런 긴 무기를 일상생활에 들고다니기란 상당히 거추장스러웠습니다.
그래서 전시가 아닌 상황에서는 검을 들고다녔고, 평상시의 신체단련을 위해서도 검술은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앞서 말한 도끼도 이런 류의 무기가 될수 있기는 한데요. 아무래도 무개중심이 끝 쪽에 있다보니 다루기가 검만큼 쉽지는 않았습니다.
게다가 도끼자루가 나무일 경우 자루가 부러지면서 사용을 못하는 경우도 많았고요.
도끼자루까지 쇠로 만들면, 무게라던지 원재료의 양이라던지 하는 부분에서 검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거죠.

3. 검의 발전

사실 이 부분은 너무 방대한 내용이라 다 다룰수는 없고요...
갑옷의 발전에 따라 발전했다는 정도로만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갑옷이 점점 전신을 보호하는 형대로 발전하다보니 갑옷의 방어력을 칼로는 뚫을 수 없게 되고요.
결국 갑옷의 틈새를 찌르는 형태로 발전하다보니 칼날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띄게 됩니다.

그리고 르네상스를 지나면서 베네치아 같은 곳에서는 좁은 골목들이 엄청 많아지는데요.
그런 곳에서 상대적으로 결투와 암살이 많이 일어나다보니, 칼의 모양과 검술이 모두 찌르기 위주로 발달을 하게되기도 합니다.
결국 펜싱이라는 것은 이런 형태의 검술이 전해내려오면서 만들어진 스포츠인 것이죠.




12


    양판소 무기 묘사하는 거 생각나네요 (한숨)
    레지엔
    청동이 양날검, 특히 선대칭으로 나오는 것은 공학적인 이유도 있더군요. 원시적인 거푸집에 부어만들 경우 가운데가 두껍고 모서리가 얇은 형태여야 냉각 과정에서 비틀림이 제일 적다고...

    날의 절삭력을 극대화하는게 이제 삼각도 혹은 오각도 유형인데, 이걸로 현대에 장난치던 검도가들이 꽤 있지요. 한국에서 나름 유명하고 모 연예인으로 장사 잘한 곳이 짚단 베기 시범할 때 주로 쓰는 칼이 삼각도... 하지만 이거 들고 사람 몇 번 치면 검신이 깨지기 일수고, 백병기 시대에는 그렇게 쓰기가 좀 힘들죠.

    사실 만병지왕은 소설에서... 더 보기
    청동이 양날검, 특히 선대칭으로 나오는 것은 공학적인 이유도 있더군요. 원시적인 거푸집에 부어만들 경우 가운데가 두껍고 모서리가 얇은 형태여야 냉각 과정에서 비틀림이 제일 적다고...

    날의 절삭력을 극대화하는게 이제 삼각도 혹은 오각도 유형인데, 이걸로 현대에 장난치던 검도가들이 꽤 있지요. 한국에서 나름 유명하고 모 연예인으로 장사 잘한 곳이 짚단 베기 시범할 때 주로 쓰는 칼이 삼각도... 하지만 이거 들고 사람 몇 번 치면 검신이 깨지기 일수고, 백병기 시대에는 그렇게 쓰기가 좀 힘들죠.

    사실 만병지왕은 소설에서 만들어진 말이고, 원조는 백병지왕인데 이건 보통 창을 가리키는 말... 그러니까 도검제일주의는 사실 백병기 시대 거진 다 끝난 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장 열심히 칼질한 사람들이 소위 르네상스 검술 시대의 사람들일텐데, 이 사람들조차 갑주 갖추고 싸울 때는 도끼나 창이나 둔기류를, 도시에서 습격을 할 때는 스탭을 쓰는 게 낫다는 이야기를 할 정도니까요. 검의 장점은 역시 다양성입니다. 갑주를 입건 안 입건, 좁은 곳이건 넓은 것이건, 절삭이 필요하건 타격이 필요하건 모두 상당한 수준의 대응이 되고 시대와 장소에 맞는 크기로 줄여서 휴대성도 올릴 수 있으니. 최적 크기가 몇 개로 정해져버리는 도끼, 창, 둔기류에 비해서 검은 시대에 따라 선호도는 다를지언정 다양한 크기가 공존했다는 점에서 검의 장점이 잘 드러나지 않나 그런 생각을 합니다.
    기쁨평안
    그렇죠. ㅋㅋㅋ 해동검도는 정말 대국민 사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저 해동 배웠었.......
    1
    기쁨평안
    ㅎㅎㅎㅎㅎㅎ
    Danial Plainview
    이글루스에서 중근세 검술을 연마하시는 블로거가 있는데 그분 말로는 검끼리의 대결은 원거리에서는 찌르기, 중거리에서는 베기, 근접전에서는 레슬링이라고 하시더군요. 리치에 따른 유불리가 있다는 이야기인데 미야모토 무사시가 사용했다는 이도류도 그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기쁨평안
    저도 동의합니다..다만 저는 무사시의 실제 실력에 대해서는 좀 의문이 있어서..ㅎㅎ
    우주최강귀욤섹시
    칼은 뭔가 허약해빠져보여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게임을 너무 많이 했나... 남자는 도끼나 망치지. 실제로 칼보다도 봉이 더 좋았다는 얘기가 많이 나오는 거 보면 모양? 가오? 같은 것도 좀 있었을 것 같아요. 저는 외날도가 날 반대편을 더 두껍게, 각지게 만들 수있어서 내구도도 더 좋은 줄 알았는데 잘못 알았나보네요 으잌.
    기쁨평안
    사실 칼은 어디까지나 보조무기였던 거죠.
    주력은 창, 대형도끼, 전투 해머 같은거죠.ㅎㅎ
    레지엔
    아 이건 이렇게 말하기 힘든 영역도 많습니다. 패검 보병이 주력이었던 경우도 꽤 많아서... 특히 장창병 카운터로 쓰기도 했고 산지를 전장으로 열라게 뛰어다니면서 넓은 전역을 커버하는 경우에는 검쪽이 더 유리하기도 해서, 창이 압도적으로 메인인 경우가 오히려 좀 특정 상황에 가깝습니다. 대기병전술이 필요하거나 머스킷 시대거나... 백병기 시대에 제병과 합동 전술이 가능할 정도로 고도화된 곳은 검, 창의 비중이 크게 다르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겁니다.
    기쁨평안
    사실 그렇죠 로마군단병만 해도 그렇고..
    인류의 역사는 길고, 전쟁이 일어난 곳도 워낙 넓으니..
    다 풀어쓰자니 논문쓰는것도 아닌데 뭐하나 싶기도 하고...
    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다 아는 이야기이실테고
    관심이 별로 없으신 분들은 별로 궁금해하지 않을 이야기이실테고..ㅋㅋ
    레지엔
    다 풀어서 잘쓰면 관심이 있던 사람과 없던 사람을 모두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ㄱㄱ
    1
    인터넷 초창기에 고죽의 칼이야기라는 사이트가 있었는데 다 지우고 없어져서 아쉽습니다. 정말 한국검을 찾아서 헤매다가 주화입마 오신 거 같았는데 말이죠
    원추리
    아닙니닷 검은 갑옷을 두부썰듯 썰어버릴수 있는 갓-무기라고욧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74 역사삼국통일전쟁 - 14. 고구려의 회광반조 3 눈시 19/06/03 5713 12
    9228 역사모택동 사진 하나 디벼봅시다 21 기아트윈스 19/05/24 7431 43
    9210 역사뮌헨에 들렀다가 다하우에 다녀온 이야기 4 droysen 19/05/18 5417 11
    9105 역사현대에도 신분제도는 남아있을까? 6 메존일각 19/04/21 4523 10
    9085 역사너희나 가능한 논쟁 8 코리몬테아스 19/04/16 4859 9
    8975 역사유튜브) 19세기말 프랑스판 간첩조작극, 드레퓌스 사건 이야기 3 droysen 19/03/19 4763 7
    8956 역사프랑스혁명과 아이티(Haiti) 독립혁명 이야기 4 droysen 19/03/13 4570 13
    8937 역사역사를 주제로 유튜브를 시작하게 된 이야기 30 droysen 19/03/06 4986 23
    8933 역사삼국통일전쟁 - 13. 다시 요하를 건너다 1 눈시 19/03/05 4581 5
    8876 역사삼국통일전쟁 - 12. 백제는 죽지 않았다 2 눈시 19/02/17 4235 6
    8849 역사삼국통일전쟁 - 11. 백제, 멸망 8 눈시 19/02/10 5055 19
    8655 역사1592년 4월 부산 - 충렬공(忠烈公) 눈시 18/12/19 5562 8
    8555 역사1592년 4월 부산 - 흑의장군 6 눈시 18/11/22 6376 18
    8520 역사고대 전투 이야기 - (7) 진형 7 기쁨평안 18/11/14 5492 12
    8441 역사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 (6) 최종병기 활 기쁨평안 18/10/30 5594 12
    8413 역사물질만능주의 인류역사기 (1) 공정의 시작 12 다시갑시다 18/10/24 6297 7
    8405 역사 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 (5) 철, 철, 철 11 기쁨평안 18/10/22 6246 13
    8393 역사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 (4) 무기에 대하여 2 14 기쁨평안 18/10/19 6375 12
    8376 역사 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 (4) 무기에 대하여 1 16 기쁨평안 18/10/15 5291 6
    8359 역사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3) 기병이야기 11 기쁨평안 18/10/12 7311 14
    8223 역사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2) 3 기쁨평안 18/09/13 8206 10
    8215 역사고대 전쟁과 전투 이야기-(1) 2 기쁨평안 18/09/12 5008 16
    7849 역사농업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5 루아 18/07/14 5256 3
    7739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完) - 동상이몽 4 호타루 18/06/24 4296 6
    7701 역사작전과 작전 사이 (9) - 제궤의혈 호타루 18/06/17 4289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