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6/27 14:39:43
Name   Under Pressure
Subject   프로스포츠와 Yak
사실 저는 이 약물 문제에 관련해서는 한참 전부터 고통스럽지만 '유죄추정'을 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서양 스포츠는 그냥 현대로 들어오면서 태생이 Yak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더군요.

많은 스포츠가 있는데, 우선 MLB를 예시로 들어볼까요? 짧게는 바이오제네시스 스캔, 미첼 리포트, 그리고 국내에서 MLB인기가 자리를 잡아가던 2003년에 터진 BALCO 스캔들로 인해 많은 믈브 시청자들은 그간 우리가 선수들에게 속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그래서 흔히들 90년대를 Steroid Era라고 합니다. 그러면, Yak이라는게 90년대에 뿅 나온 것일까요?

역사를 좀더 앞으로 돌려봅시다.

1985년, 전미를 시끄럽게 만든 사건이 하나 발생합니다. 필라델피아 필리스 구단의 케터링 서비스 직원이었던 커티스 스트롱이라는 사람이 전 현직 메이저리그 선수들에게 코카인을 팔다 적발된 것이었죠. 주 거래처는 피츠버그 파이러츠 선수들이었지만, 타 구단의 선수들도 많이 사갔습니다.

웃긴 건 수사 도중에 추가로 선수들에게 마약을 공급한 코흐라는 양반도 걸리는데, 이 사람은 피츠버그 마스코트 담당 직원이었습니다... 어린아이들 앞에서 귀여움을 담당하는 마스코트가 뒤에서는 Yak도 아니고 진짜로 마약을 팔고 있었던 거죠.

이 사건으로 관계자 몇 명이 구속되고, 16명의 선수가 재판장에 불려나가고(면책이나 사법거래로 전부 풀려납니다), 총 11명이 징계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당시 믈브 총재였던 위버로스(LA 올림픽을 조지신 그분 맞습니다)께서 전부 사회봉사나 보호관찰로 묻어버리고 나서 '우리 믈브는 Yak 같은거 이제 없이 크-린'합니다'는 성명을 내버리는 짓을 저지릅니다...

당시 믈브의 실상은 정말 심각했습니다. 사법거래로 기소를 면한 선수들의 증언을 모아보면, 믈브의 40퍼는 코카인을 하고 있을거다, 난 최근 3년간 코카인을 빨았다(키스 헤르난데스), 경기중에 코카인을 뒷주머니에 넣고다녀서 캡슐 안깨먹으려고 한동안 헤드퍼스트 슬라이딩밖에 못했다(팀 레인스), 윌리 메이스나 케이시 스탱걸도 암페타민을 했다(존 밀너)...

80년대는 사실 스테로이드가 미국에서도 유행하던 시기기도 합니다. 본격적인 시작은 70년대 말 동독...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한데, 이게 미국까지 전해진 거죠. 그런데 이 건은 암페타민이나 스테로이드 따위랑은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심각한 사건이었습니다. 당시의 분위기를 마약공급원이었던 스트롱이 말합니다. "그 시절에는 누구나 다 그렇게 해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줄 알았다" 80년대는 마약정책의 실패로 미국이 본격적으로 개막장으로 가던 시대죠.


그럼 80년대로 올려잡으면 끝일까요? 앞서서 스탱걸, 메이스의 이름이 나오기 시작하는데 슬슬 문제가 보통 일이 아님을 느끼실 겁니다.


6-70년대는 유럽이나 미국이나 마찬가지로 암페타민의 시대였습니다. 과장 안 하고 암페타민을 물처럼 빨던 시대입니다. 구스 고시지가 2013년에 시대파악 못  하고 '나 현역때 매번 암페타민 빨았고 다들 그랬는데 뭐가 문제냐'고 라디오에서 공식적으로 말하다가 어마어마한 욕을 먹은 사건도 있었죠.

톰 하우스의 증언은 좀더 자세합니다. 팀마다 적어도 여섯일곱은 실험적으로 암페타민과 호르몬을 섞어 실험하는 선수들이 있었고, 어느 날 그 선수가 두들겨맞으면 투수조끼리 농담으로 "복용량 초과(원문은 out-milligrammed)로 그런 거 아니냐" 그러고 다녔다고...

메이스는 앞서도 이야기가 나왔지만, 경기 중에 항상 뒷주머니에 오렌지색 물질이 들어있는 튜브주머니를 가지고 다녔다고 합니다. 본인은 쥬스라고 이야기했지만, 암페타민이었다는 것이 거의 정설이죠.
행크 애런도 자서전에서 68년 시즌에 부진에 빠지니까 동료로부터 암페타민 알약을 얻어서 먹은 적이 있다고 합니다. 본인 말로는 심박이 이상해지는 걸 느끼고는 그 후로는 안 먹었다지만...
미키 맨틀의 경우도 61년도 이후에는 야매를 찾아다니면서 암페타민이나 성장호르몬을 찾고 다녔다니 뭐 저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 이외의 증언은 정말 수없이 많습니다.

역사학자들은 암페타민이 광범위하게 퍼진 시점을 제2차 세계대전으로 보통 잡습니다. 연합군 독일군 일본군 가릴거 없이 암페타민이나 메스암페타민(소위 말하는 뽕)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던 시절이었으니... 이 메스암페타민이라는 물건은 전후 10년도 안 되서 축구사에 당당히 이름을 올립니다. 그것도 무려 1954 스위스 월드컵 결승전...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문제여서, 서구권조차 50년대부터 많은 나라들에서 금지되고도 60 70년대까지 알음알음 공장 같은데서 쓰였다죠..


제가 현재 가장 관심있어하는 스포츠인 사이클은, 안타깝게도 Yak에 있어서는 최첨단을 달리는 스포츠로 악명이 높습니다. 이 건에 대해서 자세한 것은 글을 따로 써서 후술함을 약속드립니다만, 하나만 따로 떼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죠. 도핑 테스트라는 것 자체가 사이클에서의 사고를 계기로 만들어진 겁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덴마크의 옌 센이 사이클 경기 도중 사망한 것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암페타민에 이것저것 섞어 먹다가 쓰러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자세하지는 않습니다. 그렇게 논란이 되던 도중 이번엔 TDF에서 경기 도중 톰 심슨이 사망하게 됩니다. 사인은 일사병과 암페타민 과용...으로 밝혀졌는데 사실 뭐랄까 현대 기준으로 보면 어이가 없는 죽음이었습니다.

경기 전부터 안색이 심하게 좋지 않았지만 선수는 일사병이 아니라면서 출장을 강행했고, 결국 몽방뚜 정상 직전부터 비틀비틀거리면서 심하게 지그재그 주행을 하더니, 정상을 넘어서서 결국 쓰러졌습니다. 수통애는 물이 아니라 브랜디가 들어 있었고, 뒤에는 암페타민 튜브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FIFA와 UCI가 처음으로 선수 전원을 상대로 도핑 테스트를 실시한 것이 최초의 도핑 검사였습니다. 물론 이것도 문제가 심각하긴 한데(올림픽에서 안 걸린 선수가 나중에 다른 데서 걸리는 케이스는 흔해 빠졌습니다), 이 이전 스포츠는 그야말로 개막장이라 불러도 할 말이 없을 정도의 상태였다는 거죠.


이쯤되면 가치관에 혼란이 옵니다. 그럼 지금 선수들은 뭔가? 과거에 Yak을 안했다는 선수들은 재수가 좋아서 그냥 안 걸린거 아닌가? 아니면 wada 기준만 다 지켜가면서 하지 말라고 하지 않은 Yak은 다 하는 선수는 Yak을 안 한 건가? 대표적으로 아직도 사이클에서 금지가 안 된 마약성 진통제인 트라마돌은 선수들 사이에서는 그 어떤 Yak보다도 효과가 좋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고 하는데 말이죠.

여기서는 이야기를 다 하지 못하지만, 증거 인멸이나 협회빨을 동원해서 도핑협회를 뭉개는 일도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의 이노, 스페인의 콘타도르, 스카이의 위긴스... 이중 이노랑 위긴스는 공식적으로는 약쟁이가 아닙니다. 하지만 그걸 믿는 흑우는 적어도 골수 사이클 팬중에는 아무도 없죠(위긴스는 영국에서 더 욕먹습니다). 이런 케이스는 어떨까요?


어려운 이야기입니다.



7


    itstruelovedontfakeit
    전 축구 농구 야구 육상 수영 다 하고 있다고 보기때문에 하면 어떤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람 죽일수 있는 MMA같은 격투 스포츠만 빡세게 하면 좋겠고 다른 스포츠는 상관 없습니다.
    Under Pressure
    운동 선수급 운동량이면 무슨 운동이든 Yak하다가 영구적인 장애가 생길 수 있으니 문제죠. 특히나 심장이나 간 쪽...
    itstruelovedontfakeit
    디자이너에 의해 짜여진 순도높은 약들은 위험성은 생각보다 낮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운동 선수급 운동량이면 약 안해도 심장이나 간쪽이 안 좋아질수 있다고 봐서요.
    잡을수 있는다고 다 잡힐수 없는 세계니까 전 그냥 약해도 상관없다 재미만 있어라 마인드 입니다.
    Under Pressure
    요즘 믈브를 보면 그냥 다시 스타노조롤 볼데논으로 돌아가더군요. 생각보다 칵테일 효능이 별로라고 판단되서 그런지...
    FA때까지만 버텨라~ 딱 그마인드죠ㅜ
    맥주만땅
    뭐 60-70년대는 사교계에서 닥터 필굿을 불러서 암페타민 하던 시절이니까요.
    Under Pressure
    닥터스 읽다가 50년대 하바드 으대생들도 금수저들은 각성제, 그럴 정도가 아니면 콜라(완빵에 20캔씩...)라던가 어디서 필(...)을 구해 온다던가.

    요즘은 날개를 달아줘서 날려보낸다던가 내 안의 흑염ㄹ..아니 괴물을 깨우게 하는 것들...음 다른 게 없군요. 그러고보니 요즘은 카스 글옵에서 신경안정제 도핑논란이ㅋㅋㅋ
    Weinheimer
    모든 스포츠에서 약물 다 빤다고 생각하는데.. 기록과 스폰서때문에 절대로 근절되지 않겠죠.
    사람을 로봇으로 다 대체해버린다면 없어질 수도 있겠지만(...)
    Under Pressure
    위너 테익스 잇 올이 가장 심한 판이라..
    레지엔
    여기에서도 그렇고 다른 곳에서도 자주 이야기했던 주제인데... 참 답이 없습니다. 본문에 약간 첨언하자면 도핑 테스트 도입을 강하게 주장했던 게 영국, 미국이 동구권을 대상으로 한 것인데, 막상 최초의 사망자는 덴마크에서... 반도핑의 정치적 위선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에피소드이죠.
    예전에는 그냥 다 풀고 약으로 죽건 말건 본인 선택... 이라고 생각했는데, 요새는 그냥 미군이 동성애 문제 다루듯 하는게 낫지 않나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대신 스포츠 선수는 잠재적 약쟁이이며 그들의 노력과 재능에 대해서는 그냥 만화나 소설의 캐릭터의 스탯 정도로 취급하고요. 어차피 보고 싶은 건 미칠듯한 홈런 갯수와 48분을 뛰어다니는 압도적인 지구력이고, 보기 싫은 건 약쟁이 논란과 실더니까요.
    Under Pressure
    70년대에 소련이랑 동독만 죽도록 팬 것도 그런 이유겠지요. 쩝..
    Yak 보고 야크기 생각하면 막장인가요....
    Under Pressure
    사실 Black Y...아니 이보시오 내가 흑우라니
    헬리제의우울
    와이에이케이가 뭔가 한참생각함...
    Under Pressure
    지인들끼리 이야기할때 Drug과 PED(그시절엔 미국에서 이 용어를 아직 안 쓰던 시절입니다) 구별이 안 되서 마약은 약이라 쓰고 PED는 Yak이라고 쓰던 버릇이...
    생존주의
    그... 감기약 보면 슈도에페드린? 에페드린 뭐 이런게 들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암페타민 계열이란 얘길 들어서요. 그러면 이것도 약하겠지만 복용했을 때 각성효과가 나타나는걸까요? 감기약먹을때 보통 3일치정도 먹게되는데 이런게 보이면 좀 찝찝하달까... 문외한의 기우겠지만 뭐 그렇더라구요.ㅎㅎ
    Under Pressure
    그래서 실제로 감기약은 전부 금지약물입니다. 선수들은 감기걸리면 체력으로 떼워야 합니다...
    생존주의
    아 그렇군요. 아픈데 뛰어야 하다니...
    키스도사
    그래서 약물 복용때 감기약 핑계를 대기도 하죠. 대표적인 인물이 94년 도핑테스트에서 에페드린 계열이 5가지가 발견된 디에고 마라도나였죠. 본인은 감기약 먹었다는 핑계를 댓는데 당시 FIFA에서 "현존하는 치료용 약물 중에 에페드린이 5가지 이상 포함된 약물은 없다."고 밝혔죠.

    https://www.nytimes.com/1994/07/01/sports/world-cup-94-after-second-test-maradona-is-out-of-world-cup.html
    당시 기사.
    생존주의
    사회인 리그에서 왠지 감기약 먹고 뛰는 사람이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ㅋㅋ
    이런 좋은 글에 이제서야 추천을...잘 읽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57 스포츠프로스포츠와 Yak 20 Under Pressure 18/06/27 4623 7
    7451 게임프로스트펑크 리뷰 4 저퀴 18/04/28 6532 8
    6504 방송/연예프로미스의방 더유닛 믹스나인 8 헬리제의우울 17/11/01 6567 0
    7898 방송/연예프로듀스48 상위권 멤버에 대한 단평 12 암사자 18/07/21 5616 2
    5127 방송/연예프로듀스 시즌2 무대가 공개되었습니다 12 Leeka 17/03/09 4159 0
    2526 방송/연예프로듀스 101이 끝났습니다. 기타 잡설들과 개인적 포인트. 3 Zel 16/04/02 4919 0
    2847 방송/연예프로듀스 101에서 뽑힌 11명이 두달간 한 일들... 2 Leeka 16/05/20 3897 0
    2320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회차별 진주인공 이야기 5 Leeka 16/02/29 5052 0
    2266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투표 결과 관련 자료들 5 Leeka 16/02/21 11289 0
    2586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직캠 조회수 20만 이상 기록 1 Leeka 16/04/10 4736 0
    2261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생존자들 순위 및 득표수 이야기 5 Leeka 16/02/20 5221 0
    2334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뱅뱅 직캠 후기 2 Leeka 16/03/03 6358 1
    2302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네이버/공식후원/현재 순위 비교 1 Leeka 16/02/28 3918 0
    2238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계약서 중 일부 11 Leeka 16/02/16 4978 0
    2275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각종 지표로 보는 TOP5 5 Leeka 16/02/23 5280 0
    2263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pick me 개인컷 정리 3 Leeka 16/02/20 6782 0
    2313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6회 2 Beer Inside 16/02/29 5044 0
    2461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4차 경연 직캠 현황 17 Leeka 16/03/24 7342 0
    2218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15 Beer Inside 16/02/13 5557 3
    2459 방송/연예프로듀서101 컨셉평가 아이컨택 영상이 떴습니다. 5 Toby 16/03/23 5272 0
    13777 꿀팁/강좌프로그램 추천: 키워드 검색에 유용한 PDF 뷰어 1 OshiN 23/04/22 3436 5
    8553 방송/연예프로게이머 이윤열이 프로게이머가 꿈인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말 12 벤쟈민 18/11/22 4717 2
    10431 기타프로게이머 이영호, 김중로 세종갑 후보 후원회장 맡기로 37 원영사랑 20/03/25 7014 2
    6253 일상/생각프로가 되서도 그 일의 실력이 계~속 꾸준히 느는건 만화가 27 콩자반콩자반 17/09/09 5755 0
    11975 스포츠프로 야구는 정말 베이징 덕분에 살아났을까? 20 joel 21/08/10 5864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