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05/15 14:41:59 |
Name | 뒷장 |
File #1 | 47074E55_55E2_417D_BFE2_E01630C0718F.jpeg (165.4 KB), Download : 11 |
Subject | 아주 거칠게 계산해 본 남북 노동력 격차 |
남한 성인남성 평균키가 173센티 정도고 북한 성인남성의 평균키가 165센티 된다는 군요. 노동력 격차는 어느 정도나 차이날까 궁금해지는 거죠. 개성공단 사례로 간단하게 계산을 해봤네요. 2015년11월에 중단됐는데 기준은 2014년입니다. http://oh.yna.co.kr/publish/2015/08/31/YNO20150831147400039.html 2014년 개성공단에서 생산해낸 부가가치총합이 4억7천만달러라네요. 북측고용인력이 대략 5만명 그해 환율이 1,099원 남측 중견제조업체 1개사의 평균매출액이 약1,500억원 평균고용인수가 약 344명 개성공단에 상주하던 남측인력이 평균적으로 약 800명 (계산생략) 남측 400명 정도 고용하는 중견기업 매출액과 북측 50,000명이 투입되어 생산한 부가가치가 얼추 비슷하지않나 싶네요. 감안해야 할 점은 초기 인프라 투자비, 남측에서 보냈던 전력등은 생략한 거고, 저 50,000명이 나름 북측에서 최정예 인력을 투입했을 거라는 거, 우리 방식으로 개인으로는 최소 몇년씩 훈련되고 전체적으로는 십여년 시행착오를 거친 시점이라는 거겠네요. 하나 더, 사실 gdp와 기업매출액을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할 순 없어요. 기업매출액엔 해외에서 생산되는 재화나 서비스도 포함되니까요. 이것까지 감안하면 400명이란 숫자가 실제보다 작게 측정됐을 수 있겠네요. 0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laudis&logNo=220927329556&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제가 말씀드리는건 이 링크에서 이야기하는 바와 같습니다.........
GDP와 상응하는 개념은 매출액이 아닙니다....
비교를 하신다면 저 4.7억달러와 매출총이익 혹은 영업이익 + CAPEX와 비교하시는게 맞겠네요.
추가 : 중소기업과 비교를 하셨으니 중소기업 매출액에 평균 중소기업 매출총이익률을 곱해주거나 해야겠군요 보통 5~10%일텐데, 그렇다면 말씀하신 수치에 10 ~20배를 해야 맞는 숫자겠죠
제가 말씀드리는건 이 링크에서 이야기하는 바와 같습니다.........
GDP와 상응하는 개념은 매출액이 아닙니다....
비교를 하신다면 저 4.7억달러와 매출총이익 혹은 영업이익 + CAPEX와 비교하시는게 맞겠네요.
추가 : 중소기업과 비교를 하셨으니 중소기업 매출액에 평균 중소기업 매출총이익률을 곱해주거나 해야겠군요 보통 5~10%일텐데, 그렇다면 말씀하신 수치에 10 ~20배를 해야 맞는 숫자겠죠
좀 자료를 찾아봤어요. 2015년 11월에 폐쇄됐는데 정상적으로 가동됐다면 2016예상치가 이렇다는 군요.
http://m.nocutnews.co.kr/news/4546596#_enliple
[개성공단의 입주 기업은 124개. 올해 매출 예상액은 총 6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곳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이들의 가족은 모두 20여만 명입니다.]
*참고로 통일부가 발표한 20... 더 보기
http://m.nocutnews.co.kr/news/4546596#_enliple
[개성공단의 입주 기업은 124개. 올해 매출 예상액은 총 6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곳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이들의 가족은 모두 20여만 명입니다.]
*참고로 통일부가 발표한 20... 더 보기
좀 자료를 찾아봤어요. 2015년 11월에 폐쇄됐는데 정상적으로 가동됐다면 2016예상치가 이렇다는 군요.
http://m.nocutnews.co.kr/news/4546596#_enliple
[개성공단의 입주 기업은 124개. 올해 매출 예상액은 총 6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곳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이들의 가족은 모두 20여만 명입니다.]
*참고로 통일부가 발표한 2011년 총매출액은 약 1,800억원이네요.
**[개성공단의 매출액에 대해서는 "조사기업 111업체 중 매출규모가 500억원이 넘는 기업은 19개사로 전체의 17.1%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반면 매출규모 50억 미만 기업 비중도 27.9%를 보이고 있음" 이라는 서술이 있다.] 이건 나무위키에서 본 건데 출처가 검색이 안되네요. 저기서 500억은 입주기업의 모기업기준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앞서 gdp변화율 그래프를 봐도 그렇고 생산이 증가추세였음을 감안하여 역으로 2014년 매출액을 추정하자면 6000억원에는 못 미칠것 같네요.
대략 2014 gdp 4,7천만달러를 환율보정하고 이익보정하면 역산한 추정매출액과 얼추 비슷할 것 같은데요.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제품은 수출되던 내수로 소비되던 일단 전부 남쪽으로 왔던걸로 아는데
그럼 이론적으로 gdp계산법과 회계적매출액계산법이 많이 다르지만 이 경우는 실질상으론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것처럼도 보이네요. 아니면 gdp숫자가 아주 많이 부풀려졌거나...
2014년 추정매출액을 어림잡아 5,500억 으로 간주 다시 계산하면,
~{(5,500억/1,500억)x344명}-800명 하면
약461명 이군요
http://m.nocutnews.co.kr/news/4546596#_enliple
[개성공단의 입주 기업은 124개. 올해 매출 예상액은 총 6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이곳에서 일하는 노동자와 이들의 가족은 모두 20여만 명입니다.]
*참고로 통일부가 발표한 2011년 총매출액은 약 1,800억원이네요.
**[개성공단의 매출액에 대해서는 "조사기업 111업체 중 매출규모가 500억원이 넘는 기업은 19개사로 전체의 17.1%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반면 매출규모 50억 미만 기업 비중도 27.9%를 보이고 있음" 이라는 서술이 있다.] 이건 나무위키에서 본 건데 출처가 검색이 안되네요. 저기서 500억은 입주기업의 모기업기준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앞서 gdp변화율 그래프를 봐도 그렇고 생산이 증가추세였음을 감안하여 역으로 2014년 매출액을 추정하자면 6000억원에는 못 미칠것 같네요.
대략 2014 gdp 4,7천만달러를 환율보정하고 이익보정하면 역산한 추정매출액과 얼추 비슷할 것 같은데요.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제품은 수출되던 내수로 소비되던 일단 전부 남쪽으로 왔던걸로 아는데
그럼 이론적으로 gdp계산법과 회계적매출액계산법이 많이 다르지만 이 경우는 실질상으론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것처럼도 보이네요. 아니면 gdp숫자가 아주 많이 부풀려졌거나...
2014년 추정매출액을 어림잡아 5,500억 으로 간주 다시 계산하면,
~{(5,500억/1,500억)x344명}-800명 하면
약461명 이군요
이건 다른 얘기에도 얘기나온김에 우리나라 gdp에 삼성그룹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23%가 넘는다 이런 통계가 돌아다니는데 2014년 삼성전자 관련 뉴스가 있어 가져왔네요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44834.html
결론으로 매출액을 부가가치로 보정(매출총이익+인건비)하면 gdp대비 16%에서 2.4%로 뚝 떨어지는군요.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44834.html
결론으로 매출액을 부가가치로 보정(매출총이익+인건비)하면 gdp대비 16%에서 2.4%로 뚝 떨어지는군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