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3/26 00:33:01 |
Name | SCV |
Subject | 차 사자 마자 지옥의 (고속)도로연수 |
어제 드디어 차를 사고 (트랙스 중고...) 처가 내려가서 (운전은 장인어른이...) 고사지내고 오늘 아침에 처음 운전대를 잡아서 (참고로 저는 면허 딴 이후 운전대 잡아본적 1초도 없음) 경북 처갓집에서 서울 올라왔습니다 ㅎㄷㄷㄷㄷㄷㄷㄷㄷㄷ 중간에 처남네 들리느라 (홍제동 겁나 빡신것) 12시간 이상 걸렸네요 (장인어른 운전연수 쌍욕잼..... 으어어어어어어) 연수 소감 (지금 멘탈 붕괴 상태라 순서는 뒤죽박죽입니다) 0. 하느님부처님알라신 아무튼 다 감사합니다. 세상에 내가 살아돌아왔어 1. 차를 차선 가운데로 모는게 이렇게 힘들 줄이야 + 고속도로에서 핸들은 3도 이상 틀면 안됨 ㅎㄷㄷㄷㄷㄷ (수시로 차가 우측으로 어어어어어.. 의식하고 놀래서 핸들 틀면 차가 휘청휘청) 2. 사이드 미러 흘낏 보다 보면 차가 우측으로 어어엉어어어 속도 보느라 계기판 한 번 보면 또 차가 우측으로 어어엉어어어어 제 오른팔 넘나 나쁨 ... (지금 팔이 안올라감...) 3. 12시간 동안 평생 경험해보지 못한 초 긴장 및 초 각성상태.... 잠이 안옵니다 으어어어어어 심지어 전날은 걱정돼서 꿈속의 꿈속의 꿈 까지 꾸고 자빠졌음... 4. 진짜 앞에 보기도 바빠 죽겠는데 앞차 보랴 신호 보랴 좌측 우측 사이드미러 보랴 보다보면 또 정줄 놓고 차가 막 가거나 안가거나 으어어어어 차선변경 스무스하게 하고 싶은데 오른쪽 차선 신경 쓰면 차가 안나가고 차를 나가게 하다 보면 차선변경 타이밍 놓치고 게다가 좌우측에 차가 들어차면 초 멘붕. 으어어어엉어어 서울시내 넘나 빡심 5. 게다가 출발하자마자 비 + 해지고 밤운전 크리.. 그나마 저희 동네 근처 오니까 길을 알아서 그런지 긴장감이 좀 덜 해지더라고요. 6. 아.. 경부고속 타다가 충주로 나갔어야 하는데 못나가서 강제로 원주행..... 이게 옛날 동서울 가는 코스라던데 - 강원도 코너링 지옥 으아아아아아 내리막길 진짜 엑셀 오프인데 속도가 막 ㅎㄷㄷㄷㄷㄷㄷㄷ (물론 그래봤자 80km/h 정속주행;;;;;) - 산과 산 사이의 다리 횡풍잼..(잼????) 정줄 안놨는데 차가 막 옆으로 으어엉어어어어어어 - 터널 겁나 길더라고요. 터널은 그래도 뭔가 편안한데(?) 문제는 너무 기니까 이게 깜빡깜빡 불빛이 느껴지면서 뭔가 몽롱해지는게 정줋놓기 딱 좋은 상황이라 멘붕 오브 멘붕 - 게다가 도로 상태도 별로... 으어어어어 7. 고속도로에서 80km/h 언더, 시내에서 20-30km 거북이 걸음 하면서가느라 오늘 수많은 분들이 제 뒤에서 고생하셨습니다.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실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수시로 손 흔들어서 사죄의 표시를 ㅠㅠㅠㅠ) 8. 서울 진짜 ㅠㅠㅠㅠㅠㅠ 네비고 나발이고 네비가 알려줘도 길을 모르겠음.. 나한테 미리 차선 변경하라고 이야기좀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전주인이 달아놓은 파인드라이브 쓰는데 이게 별로인가 싶기도 하고요) 게다가 자전거, 오토바이, 택시, 버스 진짜........ 특히 오늘 자전거 때문에 몇 번 빡쳤습니다 9. 쓰면서도 멘탈이 오락가락 하네요 아. 처남네 가면서 내부탔다가 홍제초등학교 쪽으로 나오는데... 거기 빠져나오는데만 한시간 넘게 걸렸네요.. 아아아아아아 내부순환로 뭔가 무서워서 시내로 갈까 했는데 (사실 생각해보면 시내가 더 무섭) 네비 찍고 가다보니 내부순환로 으아아아아아아아아 10. 어깨아파서 이만 줄일까 합니다 아무래도 다음주에 도로연수 또 받아야겠어요. 시내 운전 팁을 좀 더 배우고 해야 두려움도 사라질거 같아서... 무엇보다 차량 자체에 익숙해지는게 급선무인거 같습니다. 좌회전이고 우회전이고 후진이고 전진이고 감각이 없어............ 장인어른 아니었으면 아마 오늘 남의 차도 꽤 긁고 제 차도 옆구리 터지고 난리 났을거 같습니다 으어어어어어어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SCV님의 최근 게시물
|
미쿡은.. 작은길에선 굉장히 법규도 잘 지키고, 사람들 보호도 하는데.. 고속도로에선.. 다들 레이서임.. 그리고 비가와도 거의 속도를 잘 안줄여요. 게다가 표지판 제한속도 130키로 넘는데도 있고. (그럼 평균 140으로 차들이 달리죠..) 미국이란 사회가 리스크는 개인이 지는거기 때문에 진짜 무섭게 운전합니다... 차선 변경 칼치기로 차 앞으로 들어와도 브레이크 밟는 사람 10분의 1도 없어요. 한국에선 하이빔 키고 별 난리 칠 상황에서도 스윽 끼여서 아무일 없이 간다는.. 여기 오니 '아니 왜 이렇게 얌전하게 운전하지?' 제한속도가 100키로면 보통 다들 120 달리는거 아님? 이런 생각부터 들더라고요.
차선이 좁은건 답답한데 한국은 미국보다 속도 규제 자체가 빡빡하다고 할까요. 아니 이정도 길에 무슨 60키로 제한을 이런 느낌이 많아서.. 근데 미국은 아니 이런 길에 차가 가게 해도 됨? 하는 길들이 많았어요. 산길 꼬불꼬불한 것도 장난 아니고.. 제주도 1100도로가 우습게 보이는. 고속도로도 다들 기본 속도 제한이 높은데 +10마일을 하고 크루즈를 놓으니.. 5번 Interstate 도로 차막힐때는 경부 이상인데도 차간간격은 장난아니게 좁고 다들 80마일 오버에. 결정적으로 올 겨울에 매일매일 비가 왔는데 수막이 튀어서 앞이 ... 더 보기
차선이 좁은건 답답한데 한국은 미국보다 속도 규제 자체가 빡빡하다고 할까요. 아니 이정도 길에 무슨 60키로 제한을 이런 느낌이 많아서.. 근데 미국은 아니 이런 길에 차가 가게 해도 됨? 하는 길들이 많았어요. 산길 꼬불꼬불한 것도 장난 아니고.. 제주도 1100도로가 우습게 보이는. 고속도로도 다들 기본 속도 제한이 높은데 +10마일을 하고 크루즈를 놓으니.. 5번 Interstate 도로 차막힐때는 경부 이상인데도 차간간격은 장난아니게 좁고 다들 80마일 오버에. 결정적으로 올 겨울에 매일매일 비가 왔는데 수막이 튀어서 앞이 안보이는데도 70마일 오버로 꿋꿋이 다니는 로컬들 보면서 쥐쥐.. 뭐 여튼 제가 1년밖에 안있어서 경험이 적기는 한데. 그래도 25000마일 이상 뛴 나름 결론였습니다. 제 주위 비지팅 중에는 아예 고속도로 차 못올리는 여자 비지팅 분도 있었다는.
시내주행은 확실히 한국보다 천천히는 하는데 웬만한 좌회전이 다 비보호 좌회전이어서 이거 적응하는게 힘들었어요. 게다가 미국이 길이 확실히 많다 보니 한국 같아선 절대 좌회전 신호 안줄만한 사각지대의 크로스섹션에도 다들 좌회전 하니.. 시야 안보이는 상태에서 좌회전 할때 마다 식은땀.. 샌프가면 길좁고 보행자 갑툭튀여서 힘들고, 엘에이 가면 네비에 입체 교차로 길만 차선이 화면에 꽉차니 (3-4단으로 20개씩..) 어떻게 타야할 지.. 베가스 가면 밤에는 술쳐먹고 약쳐먹은 운전자들의 미친 운행.. 게다가 전체적으로 미국 길이 야간 운전에 확실히 어둡습니다. 한국은 가로등이 많은데 미국은 가로등 없고 차선 도료를 빤짝빤짝하게 만드는 스타일이라 처음에 야간에 비오는데 운전하는데.. 벌벌 떨면서 운전했다는.
시내주행은 확실히 한국보다 천천히는 하는데 웬만한 좌회전이 다 비보호 좌회전이어서 이거 적응하는게 힘들었어요. 게다가 미국이 길이 확실히 많다 보니 한국 같아선 절대 좌회전 신호 안줄만한 사각지대의 크로스섹션에도 다들 좌회전 하니.. 시야 안보이는 상태에서 좌회전 할때 마다 식은땀.. 샌프가면 길좁고 보행자 갑툭튀여서 힘들고, 엘에이 가면 네비에 입체 교차로 길만 차선이 화면에 꽉차니 (3-4단으로 20개씩..) 어떻게 타야할 지.. 베가스 가면 밤에는 술쳐먹고 약쳐먹은 운전자들의 미친 운행.. 게다가 전체적으로 미국 길이 야간 운전에 확실히 어둡습니다. 한국은 가로등이 많은데 미국은 가로등 없고 차선 도료를 빤짝빤짝하게 만드는 스타일이라 처음에 야간에 비오는데 운전하는데.. 벌벌 떨면서 운전했다는.
생동감있는 운전 현장중계네요.
미국 고속도로는 팀으로 가는 것 같아요. 평화롭게 제 갈 길 규정속도 맞춰서 가는 사람들... 사이에 간혹 뒤에서 맹렬하게 자기 멋대로
규정보다 15 마일(25킬로정도) 더 속도내면서 지나가는 차들로 인해서 순간의 평화가 깨어지지요. 그래도 그런 차들을 보내고 나면 다시 평화가 유지되는 것 같아요. 참 간혹가다가 할아버지/할머니들이 평화를 깨는 규정보다 15마일을 더 천천히 가시는 경우가 있어요. 내 안전이 최고다 하시면서요. 이럴때 또 평화가 깨어지지요.
그래서 고속도로에서는 암묵적으로 wi... 더 보기
미국 고속도로는 팀으로 가는 것 같아요. 평화롭게 제 갈 길 규정속도 맞춰서 가는 사람들... 사이에 간혹 뒤에서 맹렬하게 자기 멋대로
규정보다 15 마일(25킬로정도) 더 속도내면서 지나가는 차들로 인해서 순간의 평화가 깨어지지요. 그래도 그런 차들을 보내고 나면 다시 평화가 유지되는 것 같아요. 참 간혹가다가 할아버지/할머니들이 평화를 깨는 규정보다 15마일을 더 천천히 가시는 경우가 있어요. 내 안전이 최고다 하시면서요. 이럴때 또 평화가 깨어지지요.
그래서 고속도로에서는 암묵적으로 wi... 더 보기
생동감있는 운전 현장중계네요.
미국 고속도로는 팀으로 가는 것 같아요. 평화롭게 제 갈 길 규정속도 맞춰서 가는 사람들... 사이에 간혹 뒤에서 맹렬하게 자기 멋대로
규정보다 15 마일(25킬로정도) 더 속도내면서 지나가는 차들로 인해서 순간의 평화가 깨어지지요. 그래도 그런 차들을 보내고 나면 다시 평화가 유지되는 것 같아요. 참 간혹가다가 할아버지/할머니들이 평화를 깨는 규정보다 15마일을 더 천천히 가시는 경우가 있어요. 내 안전이 최고다 하시면서요. 이럴때 또 평화가 깨어지지요.
그래서 고속도로에서는 암묵적으로 with the flow of traffic 이라고도 하는데요. 흐름을 타는 것이 중요해요.
국내에서도 마찬가지겠지요.
앞차 간격 3-4초 정도 떨어져서 가는것 혹은 바로 옆라인에 차 없이 그 차와의 간격도 생각해가면서 가는 것...프리웨이 타고 가는데
옆자리 텅텅 비어있는데, 바로 옆에 붙어서 가거나 바로 뒤에 따라오는 차들은 아주 비매너로 생각되기는 해요.
한국이랑 차이는, 라인변경시에 미국서는 비어있을때 얼른 빨리 라인을 바꿔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그리고 깜빡이 신호는 라인변경 전에 5초 정도로 내가
정말 들어갈꺼라는 예시를 주는 것 그렇게 차가 들어서는 것이 더 안전..
한국에서는 라인변경시에 천천히 깜빡이를 켜고 오랫동안 주위에 신호를 주어서 나의 변경을 알리라는 것인데요. 미국서는 오래 변경신호를 켜고 아무것도
안하고 있으면 저사람은 우물쭈물, 나는 내 갈 길 얼른 갈란다 라고 생각해요. 서로 다른 문화이지요.
미국 고속도로는 팀으로 가는 것 같아요. 평화롭게 제 갈 길 규정속도 맞춰서 가는 사람들... 사이에 간혹 뒤에서 맹렬하게 자기 멋대로
규정보다 15 마일(25킬로정도) 더 속도내면서 지나가는 차들로 인해서 순간의 평화가 깨어지지요. 그래도 그런 차들을 보내고 나면 다시 평화가 유지되는 것 같아요. 참 간혹가다가 할아버지/할머니들이 평화를 깨는 규정보다 15마일을 더 천천히 가시는 경우가 있어요. 내 안전이 최고다 하시면서요. 이럴때 또 평화가 깨어지지요.
그래서 고속도로에서는 암묵적으로 with the flow of traffic 이라고도 하는데요. 흐름을 타는 것이 중요해요.
국내에서도 마찬가지겠지요.
앞차 간격 3-4초 정도 떨어져서 가는것 혹은 바로 옆라인에 차 없이 그 차와의 간격도 생각해가면서 가는 것...프리웨이 타고 가는데
옆자리 텅텅 비어있는데, 바로 옆에 붙어서 가거나 바로 뒤에 따라오는 차들은 아주 비매너로 생각되기는 해요.
한국이랑 차이는, 라인변경시에 미국서는 비어있을때 얼른 빨리 라인을 바꿔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그리고 깜빡이 신호는 라인변경 전에 5초 정도로 내가
정말 들어갈꺼라는 예시를 주는 것 그렇게 차가 들어서는 것이 더 안전..
한국에서는 라인변경시에 천천히 깜빡이를 켜고 오랫동안 주위에 신호를 주어서 나의 변경을 알리라는 것인데요. 미국서는 오래 변경신호를 켜고 아무것도
안하고 있으면 저사람은 우물쭈물, 나는 내 갈 길 얼른 갈란다 라고 생각해요. 서로 다른 문화이지요.
차선 이동에서 한국과 미국의 가장 큰 차이는.. 미국이 훨씬 차간 간격 좁은 상태에서 진입합니다. (차가 적을때는 별거 아닌데, 5번도로 1차선 차막히는 상태 같을 때 비교하면) 물론 자연스럽게 흐름에 맞춥니다. (진입 속도가 빠르다는 이야기), 그런데 결정적으로 '뒷 차'가 속도를 안 줄입니다. 10대면 브레이크 밟는 차 2-3대도 안되는거 같아요. 그래서 뒷뒷차 입장에서 뜨끔할때가 많았어요.. 저보다 와이프가 여기에 끝까지 적응을 못하고 불평을..
한국적이라면 이 정도로 좁은 차간에 진입하면 뒷차가 하이빔 키고 빵빵거리고 ... 더 보기
한국적이라면 이 정도로 좁은 차간에 진입하면 뒷차가 하이빔 키고 빵빵거리고 ... 더 보기
차선 이동에서 한국과 미국의 가장 큰 차이는.. 미국이 훨씬 차간 간격 좁은 상태에서 진입합니다. (차가 적을때는 별거 아닌데, 5번도로 1차선 차막히는 상태 같을 때 비교하면) 물론 자연스럽게 흐름에 맞춥니다. (진입 속도가 빠르다는 이야기), 그런데 결정적으로 '뒷 차'가 속도를 안 줄입니다. 10대면 브레이크 밟는 차 2-3대도 안되는거 같아요. 그래서 뒷뒷차 입장에서 뜨끔할때가 많았어요.. 저보다 와이프가 여기에 끝까지 적응을 못하고 불평을..
한국적이라면 이 정도로 좁은 차간에 진입하면 뒷차가 하이빔 키고 빵빵거리고 x랄 떨 상황에서도 아무일 없었다는 듯이 스르륵.. 280 하이웨이는 차가 적어서 괜찮은데 101 출퇴근은 힘들었어요. 물론 5번 인터스테이트가 차막히면 제일 힘들고 (게다가 지루..), 580,680,880도 차막히면 힘들었어요. 특히 작년 연휴때 타호.. ㅠ.. 산타로사 넘어가면 101번도 룰루랄라인데 페탈루마 근처엔 많이 막히고. 샌프는 끝까지 차가지고 가긴 부담스러웠습니다. 마린시티에서 골든게이트 함 볼려고 산으로 올렸다가 1시간 잡아먹고, 차이나 타운에서 욕쳐먹고.. 운전하는데 제일 신났을땐 80번 타고 유타 갔을 땐데.. 제한속도가 80마일이니깐 거의 90마일 놓고 씽씽.
그리고 웬만한 사회제도가 그렇지만 미국의 제한이 널럴한 관계로.. (운전자의 responsibility를 강조하는) 제한속도가 전체적으로 높아요. 거기 있다 여기 오니 아니 이런 큰 길에 웬 속도제한 80? 날 애로 보남? 이런 생각들을. 주변 차들도 너무 천천히 달려요 ㅋ. 오늘도 일하러 나오느라 고속도로 탔는데 100키로 제한에 차 몇대 없는데 진짜 100키로로 달리는 사람들이 많은.
한국적이라면 이 정도로 좁은 차간에 진입하면 뒷차가 하이빔 키고 빵빵거리고 x랄 떨 상황에서도 아무일 없었다는 듯이 스르륵.. 280 하이웨이는 차가 적어서 괜찮은데 101 출퇴근은 힘들었어요. 물론 5번 인터스테이트가 차막히면 제일 힘들고 (게다가 지루..), 580,680,880도 차막히면 힘들었어요. 특히 작년 연휴때 타호.. ㅠ.. 산타로사 넘어가면 101번도 룰루랄라인데 페탈루마 근처엔 많이 막히고. 샌프는 끝까지 차가지고 가긴 부담스러웠습니다. 마린시티에서 골든게이트 함 볼려고 산으로 올렸다가 1시간 잡아먹고, 차이나 타운에서 욕쳐먹고.. 운전하는데 제일 신났을땐 80번 타고 유타 갔을 땐데.. 제한속도가 80마일이니깐 거의 90마일 놓고 씽씽.
그리고 웬만한 사회제도가 그렇지만 미국의 제한이 널럴한 관계로.. (운전자의 responsibility를 강조하는) 제한속도가 전체적으로 높아요. 거기 있다 여기 오니 아니 이런 큰 길에 웬 속도제한 80? 날 애로 보남? 이런 생각들을. 주변 차들도 너무 천천히 달려요 ㅋ. 오늘도 일하러 나오느라 고속도로 탔는데 100키로 제한에 차 몇대 없는데 진짜 100키로로 달리는 사람들이 많은.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