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3/05 11:55:50
Name   난커피가더좋아
Subject   아주 쉽게 보는 AI 이야기(1)
[부제: 이재용 구속을 맞이한 삼성과 엘리엇의 향후 움직임과 관련하여]

아쉽게도 기대해하셨을 인공지능 얘기도, 얼마전까지 나라를 발칵 뒤집어놓았던 조류인플루엔자 얘기도 아닌 대체투자(Alternative Investment) 에 관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요새 티타임에 경제 카테고리 얘기가 너무 없기도 하고요)

1. 삼성의 "태극기  시위"

사실 박근혜 게이트의 중심 축 중 하나는 국민연금의 '삼성편들기'인데요, 박근혜 대통령의 뇌물죄 성립에 중요한 부분인지라, 다시 예전의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삼성물산의 주가를 제일모직 주가의 1/3 수준으로 책정해 진행하는 합병에 대해 삼성물산의 지분을 많이 갖고 있는 행동주의 투자자인 엘리엇을 중심으로 많은 외국계 자본들이 반대를 합니다. 하지만 가장 큰 손인 국민연금이 손해를 감수하면서 삼성 손을 들어주자 '삼성을 위해 국민의 쌈짓돈을 낭비했다. 이는 청와대의 지시에 따라 삼성의 승계를 쉽게 해주고 정유라 지원은 물론 각종 재단 출연금을 받아내기 위한 대가였다'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그게 이 논란의 핵심인거죠.

이 일이 벌어진 게 2015년 여름인데, 이때 '주주들에게 해를 끼치는 잘못된 합병'이라는 엘리엇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기 시작하자, 삼성은 각 언론사마다 '태극기'를 전면에 내세운 '국민기업'프레임의 광고를 쏟아냅니다. 그로 인해 여론이 얼마나 바뀌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아마도 국민연금의 개입 명분은 만들 수 있었다고 생각했겠죠.

이 과정에서 엘리엇을 무슨 '벌쳐 펀드'인 마냥 공격해대는데, 사실 이건 엘리엇이라는 투자자한테는 매우 억울한 소리였죠. 이게 사실 우리나라의 많은 사람들이 헤지펀드, 가치투자, 대체투자 라는 용어 등을 엄청나게 접하면서도 그 개념틀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거나 정확하게 알고있지 못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행동주의 투자자본이라는 용어는 '사회활동가'를 지칭하는 영어 'activist'와 같은 단어인 관계로 더욱 '공격적'으로 보이게 만들지요.

다시 얘기가 나오는 김에 저라도 한 번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여기에 직접 자산을 운용하시는 분들, 애널리스트들, 경제학자분들도 많지만, 전문가가 아니기에 개념 이해가 쉽지 않았던 제가 오히려 쉽게(다소 단순한 도식화와 오류가 있더라도) 설명을 드릴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단 엘리엇이라는 투자자의 특성, 행동주의투자가 뭔지를 알기 위해서는 가장 큰 범주인 '대체 투자'라는 범주를 알아야 합니다. 이걸 이해하는 과정에서 사모펀드니 뭐니 하는 단어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거지요.

2. '대체투자'란 무엇인가?

'대체( Alternative Investment)'란 원래 '전통'과 '본류'가 있을 때 성립할 수 있는 말입니다.  '대안적 정책'이라는 말 등 에서 알 수 있듯이.
그럼 전통 혹은 본류적인 투자란 무엇일까요? 사실 전통적 투자는 굉장히 단순한 것입니다. 이 전통투자를 제외한 모든 것이 대체투자이며 전통적 투자와 달리 대체투자은 그 종류를 셀 수 없고 지금 이 시간에도 새로운 투자 방식이 탄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통적 투자'가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그 외의 투자를 '대체 투자'라고 정의해야 합니다. 마치 "손을 크게 벌려 원을 그려봐. 세상에서 그걸 뺀 만큼 너를 사랑해"라고 하듯이 원을 정확하게 그려 '전통적 투자'를 정의한 후 그걸 뺀 투자의 세상 전체를 대체투자로 보는 것이죠. 이것 외에는 대체투자를 정의할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분야 최고 전문가로부터 설명을 들은 것이니 나름 자신 있는 부분입니다.)

그럼 전통적 투자란 무엇일까요? 이건 오직 주식/채권에만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심지어 조건도 있습니다.
첫째, 투자대상이 공모(상장)된 주식과 채권이어야 한다.
둘째, 투자 방법에 기교가 없어야 한다. 즉 상승을 예상하고 투자하고 이로 인한 수익을 얻는다.(공매도 등의 방법은 상장된 주식에 투자하더라도 전통적 투자로 보지 않는다고 합니다.)

(혹시나 몰라서 공매도 용어설명 링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9626&cid=40942&categoryId=31830)

셋째, 레버리지, 헷징 기술 등을 사용하면 안된다. 레버리지는 대부분 정확하게 아시지만 헷징은 오해가 좀 많은 개념인데요, 일단 사전적 정의는 [가격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실시하는 금융 거래행위]인데요, 이건 뭐 광범위해서 하나마나한 얘기이고 오히려 전통적 투자에서 쉽게 이해하려면 '주식이나 채권 고유의 리스크/수익을 뒤트는 기술'로 보는 게 쉽습니다. 모든 투자에는 리스크와 리턴이 존재하는데 이게 원래 정해진 대로 이뤄지지 않도록 다양한 기술을 방법을 쓴다는 건데, 이걸 하지 않고 '우직하게 정석대로'투자하는 것만 전통적 투자의 범주에 들어갑니다.

(혹시나 몰라서 레버리지 용어설명 링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1620&cid=58438&categoryId=58438)

이걸 빼고 나머지는 다 대체투자입니다. 종류가 어마어마하겠죠? 그래서 다시 대략적으로 구분을 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번에는 대체투자(AI)를 크게 네 분류로 나눠보고 그 과정에서 워런 버핏은, 엘리엇은, '흔히 말하는 투기자본'은 각각 어디에 속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편에 계속)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
  • 기대됩니다! 길고 짧은 것들이 나오겠네요


신문안사요
Atificial Intelligence인줄 알았는데 그건 아니었군요 그래도 빅쇼트 한번 봤더니 이해가 갈거 같기도 하네요
난커피가더좋아
다소 재미없는 얘기라서 흥미유발을 위해 ㅎㅎ
안개꽃
다음편 기대되네요! 좋은 글 감사드려요
난커피가더좋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황금사과
기대됩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저도 아마추어라 깊은 내용을 담긴 어렵지만 제가 물어물어 찾아찾아 공부한만큼 다른분들은 쉽게 알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완전 생소한 분야라 기대되요!
난커피가더좋아
넘 기대하시면 안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은머리
준비운동 끝낸 기분이에요. 다음 글이 기대돼요!
난커피가더좋아
뭐 앞으로 엄청 많은 얘기를 하진 못할거 같긴 합니다.
Beer Inside
Alternative 를 대체라고 번역하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물론 커피가 더 좋아님을 비난하는 것은 아니구요.

Alternative는 주류와는 다른, 조금 더 넓게 보면 대안정도로 볼 수 있는 단어인데...

한국에서 대체로 번역되면서 기존 질서를 바꿀수 있는 것 처럼 일반인들에게는 다가오지요.

실제로는 본류가 없으면 존재할 수 없는 분야인데 말이지요.

락이 없으면 alternative rock이 있을 수 없고, 기존의학이 없으면 alternative medicine이 존재할 수 없는데
... 더 보기
Alternative 를 대체라고 번역하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물론 커피가 더 좋아님을 비난하는 것은 아니구요.

Alternative는 주류와는 다른, 조금 더 넓게 보면 대안정도로 볼 수 있는 단어인데...

한국에서 대체로 번역되면서 기존 질서를 바꿀수 있는 것 처럼 일반인들에게는 다가오지요.

실제로는 본류가 없으면 존재할 수 없는 분야인데 말이지요.

락이 없으면 alternative rock이 있을 수 없고, 기존의학이 없으면 alternative medicine이 존재할 수 없는데

한국말로 번역되면서 없어도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요.
난커피가더좋아
저도 불만입니다. 근데 이미 업계에서 그렇게 쓰고 있어서....다만 저 '대체'라는 단어가 불러일으키고 있는 오해에 대해서도 간단히 부연설명할 예정입니다.본문에서 그래서 본류가 없으면 존재할 수 없다고 썼는데 그게 그 복선? 정도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정통파였군요
난커피가더좋아
개인투자하시는 분들은 어쩔 수없죠. ㅎㅎ 저도 전통파이자 개인 전통파가 늘 그렇듯 제대로 말아먹...ㅠㅠ
Beer Inside
전업을 하지 않는 이상 정통파가 될 수 밖에 없죠.

실시간으로 시장에 대응할 수가 없으니까요.
혹시 몰라서가 꼭 필요한 1인...--;;;
다음 편 부탁드립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앗...넵!
기대되네요. 제가 잘 모르는 정치나 경제, 과학 분야 등의 얘기를 이렇게 눈높이 해설 해주는 글을 볼 때 아주 기쁩니다. 다음 연재를 위해 추천 한 방 드립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아. 넵. 이번주가 겁나 바쁜주라서 빠른 후속편은 어렵겠지만, 노력하겠습니다.
커피님의 경제학,투자 관련 이야기는 언제 봐도 재미있습니다. 주석같은 짤막한 [혹시 몰라서]도 독자를 배려하는 느낌이 확 오구요 ㅋㅋ
다음편 기대하겠습니다.
난커피가더좋아
넵. 이번주가 또 헬이긴 한데..ㅎㅎ 이번주든 담주든 짬나는대로 하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40 경제[특징주] 안랩, 6거래일 연속 하락 16 Beer Inside 17/04/14 4814 0
5409 경제차를 굴린지 1년, 비용을 계산해봤습니다. 10 토비 17/04/10 5941 2
5303 경제대형온라인 커뮤니티와 긍정적 정보 19 난커피가더좋아 17/03/27 6107 10
5278 경제미세먼지가 많으면 주가가 하락한다? 16 난커피가더좋아 17/03/23 5935 2
5264 경제아주 쉽게 보는 AI이야기(2) 9 난커피가더좋아 17/03/22 4403 5
5246 경제약간만 양심을 내려 놓으면 댓가는 달콤하다. 하지만... 51 tannenbaum 17/03/20 6473 13
5108 경제한중 통상마찰은 '소통'의 문제 1 블라스트 17/03/08 3744 0
5081 경제아주 쉽게 보는 AI 이야기(1) 21 난커피가더좋아 17/03/05 4730 7
5018 경제백종원과 대패삼겹살, 동산회관 24 tannenbaum 17/02/27 6572 0
4962 경제일본 예능에 나온 쇼핑하는 이야기 3 빠른포기 17/02/22 6572 3
4838 경제최근에 구입한 아이템들 16 OshiN 17/02/11 5459 4
4766 경제(팟캐스트) 주진형의 경제, 알아야 바꾼다 16 뜻밖의 17/02/04 7256 2
4637 경제달걀 수입에 대해서 소비자의 입장에서... 13 Liebe 17/01/16 5007 0
4296 경제인생의 두가지 방향, 그리고 기본소득. 23 Credit 16/12/05 5264 2
3309 경제작년 근로자 연봉 %별 커트라인 13 Leeka 16/07/21 6786 0
3101 경제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산업현장 로봇들 5 Toby 16/06/22 4499 1
2987 경제베어링스 은행 파산사건과 금융에 관한 이야기. 7 줄리 16/06/10 8969 19
2948 경제Re : 국내의 에너지 산업 혹은 태양광산업 동향은 어떤가요? 8 이러사우호 16/06/04 4661 2
2938 경제한국에서 구조조정은 왜 실패하나?(하) 8 난커피가더좋아 16/06/02 5635 4
2892 경제한국에서 구조조정은 왜 실패하나?-STX법정관리에 부쳐(상) 25 난커피가더좋아 16/05/25 5896 8
2737 경제달러에 투자하라? 27 Toby 16/05/03 5325 0
2707 경제뭐? 양적완화? 23 난커피가더좋아 16/04/28 4996 1
2706 경제암울해 보이는 우리 경제상황 9 하늘밑푸른초원 16/04/28 5278 0
2699 경제한국 해운업 위기의 배경에 대한 브리핑 29 난커피가더좋아 16/04/27 6033 4
2504 경제한국판 양적완화는 가능할까? 42 난커피가더좋아 16/03/31 5543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