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2/27 13:52:47 |
Name | tannenbaum |
Subject | 백종원과 대패삼겹살, 동산회관 |
전 백종원을 싫어합니다. 백종원 프렌차이즈나 방송은 안보죠. 아!! 딱하나 예외가 있는데 한식대첩은 봤습니다. 어차피 그 프로그램은 백종원이 아닌 어머님들이 주인공이었으까요. 처음엔 저도 백종원 참 좋아했습니다. 흑수저의 반항아 같기도 하고 자수성가한 노력이 존경스러웠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다 이 기사를 보게 됩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1&aid=0001186134 '백종원은 쌈밥 식당을 운영할 당시를 회상하며 "정육점에서 고기를 직접 썰기 위해 시장에 기계를 사러갔는데 고기가 아닌 햄을 써는 기계를 잘못 샀다"며 "고기가 돌돌 말리는 바람에 일일이 손으로 펴서 손님에게 내놓았다"고 고백해 웃음을 자아냈다. 이어 "삼겹살 모양을 본 손님이 '이게 무슨 삼겹살이냐. 꼭 대패 밥 같다'고 해 대패 삼겹살로 짓게 됐다"고 작명 비화를 소개했다.' 그리고 백종원은 대패삼겹살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하지만 나이 좀 있으신 아니 우리 또래만 해도 대패삼겹살은 80년대부터 존재했다는 걸 아실겁니다. 백종원이 자기가 개발했다는 건 뻥이죠. 쌈밥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전국의 수많은 맛집을 돌아다니며 연구했다는 사람이 전국에 널려 있는 대패삼겹살 집들은 모를리가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85년에 대학을 졸업한 백종원이 서울 시내에 가난한 대학생들의 먹거리 였던 대패삼겹살집을 몰랐을리도 만무하구요. 광주에 유명한 동산회관이란 식당이 있습니다. 양념대패삼겹으로 유명한데 이집은 백종원보다 훨씬 더 오래되고 유명했던 집입니다. 백종원 프렌차이즈 원조쌈밥집보다 훨씬 맛있죠. 이집이 대패의 원조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확실한건 백종원보다 더 오래전부터 이 음식을 팔아왔고 유명했습니다만... 동산회관 사장님과 비교할 수 없을만큼 백종원이 훨씬 더 성공한 사람이 되었네요. 음식업에서 성공은 맛도 있지만 수완도 중요한 것이니 그부분에서 백종원은 남다른 능력이 있는거겠죠. 확실한 건 백종원의 원조쌈밥집보다 광주동산회관이 더 오래 되었다는 점입니다. 백종원이 말한 내가 개발했다는 거짓말이라는 증거라는 거지요. 그런데 전국의 대패집 사장님들이 백종원보다 먼저 특허등록을 하지 않았던 건 관련지식이 없어서겠지만... 그분들은 이미 널리 퍼진 대패삼겹이 누구의 것도 아닌 하나의 음식문화라고 생각하셨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뭐 특허라는 게 먼저 찜하는 게 임자라서 백종원의 특허 출원이야 자본주의 사회의 현명한 도둑질이라고 보는 입장이라 똑똑한 사업가란 건 인정은 합니다만... 당당하게 내가 개발해서 만들었다고 거짓 언플하는 백종원은 딱히 신뢰가 가는 사람은 아니네요. 그냥 기존에 있던 얇은 삼겹살에 내가 이름을 붙여 특허출원 했다다라고만 해도 당당하게 인정받을텐데 왜 거짓말을 하는지 모르겠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tannenbaum님의 최근 게시물
|
넵. 말씀대로 백종원에게 로열티를 지불하는 삼겹살집은 한군데도 없죠. 만약 그랬다면 뒤집어져도 진작 열두번도 뒤집어졌겠죠.
본문에 제가 말씀 드렸듯 대패삼겹살이란 상표권은 먼저 찜하는 사람이 임자라는거지요. -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명한 도둑질.
제가 제기하는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하던 대패삼겹살을 자신이 처음 개발했다고 거짓언플하는 점,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점을 이용해 상표권출원을 마치 자신이 원조인 척 거짓홍보를 하는 데 이용했다는 점, 다른 고기집 사람들은 음식문화의 하나로 여겨 독점하지 않던 상황에서 본인이 독점한 점 등을 이유로 똑똑한 사업가일지는 모르겠으나 인간적인 면에서 실망이 크다는 것입니다.
본문에 제가 말씀 드렸듯 대패삼겹살이란 상표권은 먼저 찜하는 사람이 임자라는거지요. - 자본주의 사회에서 현명한 도둑질.
제가 제기하는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하던 대패삼겹살을 자신이 처음 개발했다고 거짓언플하는 점,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점을 이용해 상표권출원을 마치 자신이 원조인 척 거짓홍보를 하는 데 이용했다는 점, 다른 고기집 사람들은 음식문화의 하나로 여겨 독점하지 않던 상황에서 본인이 독점한 점 등을 이유로 똑똑한 사업가일지는 모르겠으나 인간적인 면에서 실망이 크다는 것입니다.
산업재산권 중 '대패삼겹살' 상표권이었습니다. 말씀대로 그게 될리가요.
보통 사람들은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으로 나뉘어 있다는 걸 잘 모르기도 하고 퉁쳐서 전부 '특허'라고 여기기도 하고 백종원도 그리 표현했습니다. 저도 그리 표현했구요.
요는 본문에 '내가 이름을 붙여 특허출원(상표권 등록) 했다다라고만 해도 당당하게 인정받을텐데 왜 거짓말을(자기가 개발했다고) 하는지 모르겠네요.' 라 말씀드렸듯, 상표권 등록 자체는 좀 얍삽하긴 해도 큰 문제는 아니거든요. 그런데 자기가 처음 개발했니 만들었니 뻥치며 언플에 홍보해대니 속이 보인다는거죠.
보통 사람들은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으로 나뉘어 있다는 걸 잘 모르기도 하고 퉁쳐서 전부 '특허'라고 여기기도 하고 백종원도 그리 표현했습니다. 저도 그리 표현했구요.
요는 본문에 '내가 이름을 붙여 특허출원(상표권 등록) 했다다라고만 해도 당당하게 인정받을텐데 왜 거짓말을(자기가 개발했다고) 하는지 모르겠네요.' 라 말씀드렸듯, 상표권 등록 자체는 좀 얍삽하긴 해도 큰 문제는 아니거든요. 그런데 자기가 처음 개발했니 만들었니 뻥치며 언플에 홍보해대니 속이 보인다는거죠.
http://www.kipris.or.kr/khome/main.jsp
특허청 검색결과 백종원은 '특허'가 아닌 '상표권'만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삼겸 '특허'가 아니라 우삼겹 '상표권'만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뭘 개발하고 어쩌고 해서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가게 이름이랑 로고 디자인 등에 대한 '상표권'만 가지고 있는거죠.
그니까 자기가 개발해서 특허를 가지고 있다는 건 말장난이자 개뻥이라는거죠.
특허청 검색결과 백종원은 '특허'가 아닌 '상표권'만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삼겸 '특허'가 아니라 우삼겹 '상표권'만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뭘 개발하고 어쩌고 해서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가게 이름이랑 로고 디자인 등에 대한 '상표권'만 가지고 있는거죠.
그니까 자기가 개발해서 특허를 가지고 있다는 건 말장난이자 개뻥이라는거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