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2/29 17:42:36
Name   SCV
Subject   '나'로부터 벗어나기. - 삶의 해답은 어디에?
  우리는 살면서 여러가지 한계에 직면한다. 그리고 그 한계를 뛰어넘거나 혹은 좌절한다. 한계는 곧 극복해야 할 것이지 당연히 받아들여야 할 것은 아니라는 것이 뭇 사람들이 가진 인식의 저변이다. 만약 우리가 그 한계를 받아들일 줄 알고 그 한계 안에서 살아가기만을 원했다면 이렇게 발전하지도 못했을 것이다.

  심지어 모든 것을 그러한 그대로 놓아두라고 하는 도가(道家)에서 조차도 한계 안에서 안주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스스로 그러함(自然)이란 자신 안에 갇혀 있는 인간의 한계를 벗어나지 말라는 것이 아닌, 본래 한계 없는 존재로서의 삶을 모르는 채로 살고 있는 인간으로서의 삶을 본래의 자리로 돌려놓는다는 의의를 가지기 때문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한계를 자기 외적인 제약의 의미로서 다루고 있지만 내가 생각하는 한계는 오히려 자기 내적인 것이 더욱 많다. 나를 이기는 극기(克己)의 개념에서가 아니라 나를 버리는 오상아(吾喪我)의 개념에서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다. 내가 나를 이기는 것은 아무리 열심히 이겨도 결코 '나' 라는 한계에서는 벗어날 수 없다. 내가 존재함을 전제로 하여 이기고 지고를 판가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가(儒家)는 '나'를 중시한다. '나'를 닦고 '나'를 이겨야 뜻을 이룰 수 있다 한다. 그 큰 뜻을 폄훼하려는 바는 아니나 그 역시 도가(道家)의 오상아(吾喪我)에 비한다면 작은 범주의 극기(克己)라고 보여진다.

아마도, 진정으로 나를 이기는 가장 좋은 길은 나를 버리는 길일 것이다. 내가 나를 잊고 내가 나를 버려야 비로소 나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아직도 자신 안에 갇혀 사는 내가 이런 소리를 해봤자 별로 설득력 있게 들릴리는 없겠지만 그래도 그것이 사실임은 분명하다. 나를 버린다고 하는 것은 나를 함부로 하자는 것이 아니다. 그동안 '나'를 위해 사느라 잊거나 소홀히 하고 살았던 다른 것들을 생각해보자. 이타심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내가 아닌 나]에 대해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모든 사람은 또 다른 '나' 이다. 내가 나에게 한정되어 있지 않고 그 다른 '나' 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다면, 과연 불평등과 반목과 전쟁과 수많은 비참함이 존재할 수 있을까. 모두가 단일해지자는 것도 아니고 다른 이를 배려하며 살자는 단순한 이야기도 아니다. 지하철에서, 공원에서, 길거리에서, 그 어딘가에서 마주치는 모두를 서로서로가 또 다른 '나'로 느낄 수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렇게 너도, 우리도 없는 '나'를 이룬다면 인간으로서 가지는 어쩔 수 없는 한계로부터도 진정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지 않을까.

  언제나 해답은 내 안에, 내 삶 안에, 그리고 당신 안에, 당신의 삶 속에 있다. 그 해답을 누구는 하느님으로, 누구는 진리로, 또 누군가는 다른 이름으로 부를 뿐이다. 해답은 질문을 한다고 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옳은 질문을 하고 옳은 풀이과정을 거쳐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나는 내 안의 해답에게 올바른 질문을 하고 있는가? 그 해답으로 가는 올바른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늘 스스로 살피고 또 살필 일이다. 나로부터 해방될 모든 나를 위해서.



6
  • 진지하고 정성이 들어간 글입니다
  • 춫천
  • 잘 정리 된 글이네요


Ben사랑
[나만인 나]를 버리고 [나뿐만이 아닌 나][나]로 여긴다면,
[나만인 나]가 섣불리 상정했던 [나]의 한계를 뛰어넘고
[나뿐만이 아닌 나]가 합의하는 [나]의 길 위에 [나]가 올라탈 수 있겠죠.

좋은 글 감사합니당..^^
감사합니당^^
저 자신에게 진실된 물음을 한적이 없는것 같아요
무서워서 회피만 한것같아요
겁쟁이라 죽기 전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노력해야겠죠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은 해답은 결국 좋은 질문에서 나올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어렵게 보면 굉장히 심오하고 어려운 주제이기도 하고, 대충 쉽게 보려면 쉽게도 보이는 주제군요.
그래서 전 인생관을 이렇게 잡고 있습니다. 이번 정모때 자유발언으로 할 게 없어서 인생관을 적어낸것 같기도 한데(..)
남들이 좋다는 것들이 정말 좋은가, 왜 좋은가. 정말 좋은가. 남들이 나쁘다는게 정말 나쁜건가. 왜 나쁜가. 정말 나쁜가.
를 스스로에게 물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타인이 평가하는 기준에 나를 맞출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며 살고 있습니다.
나 자신을 뛰어넘기 전에 우선 내가 누군지를 알아야 뛰어넘든, 엎어지든(..) 할 수 있을테니까요 ㅇ_ㅇ)b
저는 또 한가지, 자신에 대한 의심을 거두지 않고 사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내가 지금 어디 있는지, 올바르게 가고 있는지, 내 생각이 비뚤어지지는 않았는지, 내가 그때 이루고자 했던 것을 지금도 이루려고 하는지... 등등. 자신에 대한 의심 없이는 어느 순간 취해서 망가지기가 참 쉽더라고요.
파란아게하
살아가면서, 나이 한살한살 더 먹으면서 느끼는 건
모든 건 결국 멘탈
같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88 비밀글입니다 39 三公 17/03/25 1138 2
6061 오프모임. 44 삼공파일 17/08/04 6035 0
8374 정치. 27 Carl Barker 18/10/14 7559 6
9376 사회. 11 Carl Barker 19/07/01 5856 6
9379 일상/생각. 4 BLACK 19/07/02 5065 17
9897 게임.. 20 김영웅 19/10/26 5289 2
1224 일상/생각... 8 키배 15/10/11 6816 0
1287 기타.사.진. 17 눈부심 15/10/18 11112 0
8195 일상/생각' 17 18/09/10 6634 1
8531 꿀팁/강좌' 5 18/11/16 4984 0
8571 일상/생각' 23 18/11/28 6080 1
5479 정치'1승 5패' 13 길고양이 17/04/20 4799 0
4998 게임'2048' 후기 17 별비 17/02/24 7942 12
11509 역사'7년 전쟁'이 '1차 세계 대전'이다. 10 Curic 21/03/21 4728 3
10952 스포츠'e스포츠 팬'이 아니라 '아이돌 팬'이라는 말의 헛점 6 The xian 20/09/13 5806 2
10297 게임'e스포츠산업진흥원이라는 단체가 출범을 했나본데 문제가 많아보이네요. 4 소원의항구 20/02/16 4720 0
13175 정치'fucker'의 기시감 12 당근매니아 22/09/24 4309 1
11941 스포츠'Mad Max' 맥스 슈어저의 지난 7년을 돌아보며 22 나단 21/07/30 5631 6
5953 방송/연예'R&B요정' 박정현, 대학 교수와 오늘 하와이서 결혼 2 벤젠 C6H6 17/07/15 4015 1
13141 IT/컴퓨터'가격 동결'인줄 알았으나... 애플 9월 이벤트 Far Out 요약 32 Cascade 22/09/08 4400 4
11897 정치'국민의 힘'이라는 정당명 20 캡틴실버 21/07/18 4513 2
8955 일상/생각'그럼에도'와 '불구하고'의 사이 7 임아란 19/03/12 5565 57
7127 음악'그리부예'의 2017년 선곡 리스트 3 발타자르 18/02/16 4955 5
10621 기타'김어준의 생각'을 보고, 댓글 셀프점검. 21 DX루카포드 20/05/26 4944 13
4472 창작'나'로부터 벗어나기. - 삶의 해답은 어디에? 7 SCV 16/12/29 4631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