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2/29 17:00:30
Name   tannenbaum
Subject   옛날 이야기 - 2

외할머니의 본처가 내어 준 땅은 드넓은 평야도 강이 흐르는 비옥한 땅도 아니었다. 산 아래로 흐르는 조그만 개천을 따라 옹기종기 펼쳐진 그저 하늘만 바라보는 천수답이었다. 하지만 그런 땅이라도 전답 한 뼘 없는 가난한 동네 소작농들에게는 식구들 입에 풀칠이라도 해 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혹시나 내년에 소작을 못하게 될까 지주의 마름에게조차 벌벌 길 수 밖에 없었다. 일제시대부터 그 땅을 관리하던 할아버지의 아주 먼 친척이라는 김씨 아저씨의 도움으로 면 소재지에 집을 얻고 명의를 정리했다. 그렇게 첫 번째 가을걷이가 시작될 무렵 부산 본가에서 사람이 외할머니를 찾아왔다.

본가에서 온 그 사람은 젖먹이였던 내 어머니를 안고 있던 외할머니를 마당 가운데 무릎을 꿇렸다 한다. 그리고 모진 말로 왜 약조를 지키지 않느냐 동네가 떠나가도록 호통을 쳤다 한다. 돌아가는 길에 당장 외삼촌을 호적에서 지우지 않으면 이 집과 전답을 모두 빼앗고 길바닥으로 쫒아내겠노라 했다 한다. 강제로 외삼촌의 적을 지워버리겠다는 협박과 함께.... 그 자리에서 한참을 우시던 할머니는 결국 타지에 어렵게 살던 남동생 내외에게 연락을 했다. 땅 일부를 정리해 얼마간 목돈을 쥐어 주고 동생 호적에 외삼촌을 양자로 입적시키셨다.

[첩년]

사람의 혀라는 건 정말 무섭다. 인터넷은 커녕 전화 조차도 몇 없던 그 깡촌 시골마을에 어찌 그리 빨리 알려졌는지. 외할머니가 외할아버지의 첩이었고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본처에게 쫒겨나 이곳으로 오게 되었다는 사실이 동네에 퍼지는 건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한다. 소문은 눈덩이 굴러가듯 커져 가난한 어부의 딸이었던 외할머니는 오늘은 기생이 되었다가 내일은 양공주가 되기도 했다. 우둔하고 순박한 시골 사람들은 오랜만에 재미있는 놀이거리를 찾은 그만큼 잔인하고 집요했다. 땅을 빌린 사람들은 앞에서는 고개를 숙였지만 돌아서면 손가락질 하며 숙덕거렸다. 면 소재지 학교에 다니던 외삼촌도 첩년의 자식이라고 참 모질게도 놀림을 받았다 한다. 그래서였을까. 외할머니는 자식들에게 좋은옷, 좋은신발, 시골에서 보기 힘든 구두를 신기고, 도시락 하나도 호사스럽게 만들었다. 그렇게라도 동네 사람들에게 자식들만큼은 쉬이 보이게 하고 싶지 않으셨겠지.....

생각해보라. 1950년대, 서른도 안된 과부, 본처에게 쫒겨나 시골로 오게된 젊은 애기엄마... 동네 젊은 총각부터 칠순을 넘긴 노인네들까지 남정네들이란 남정네들은 어떻게든 외할머니를 한번 건드려 보고 싶어서 안달이 났었다. 그나마 외할머니의 땅을 빌어짓는 사람들은 차마 그러하지 못했으나 다른 사내들이란 사내들은 술취해 밤에 찾아와 대문을 부서져라 두드린 적도 부지기수였다. 오죽했으면 해가 지면 대문 밖으로 아예 나가지 않으셨을까..... 호시탐탐 외할머니를 어찌 해보려던 남자들은 외삼촌이 고등학생이 되자 거짓말처럼 잠잠해졌었다. 돌아가신 분에게 정말 죄송하지만... 외삼촌은 어지간한 왈패보다 더하신 분이셨기 때문이었다.

외할아버지의 안 좋은 점들만 물려 받은 듯 불같은 성격에 고등학교 적부터 읍내로 광주로 패거리를 몰고 나가 싸움질을 하고 다니셨단다. 좀더 나이들어서는 술, 도박, 주색까지..... 생각해보면 이해가 된다. 첩의 자식으로 태어나 젖먹이적부터 본가에서 그 구박과 천대를 받았고 머리가 커져서는 동네 사람들의 조롱과 경멸의 대상으로 자라왔으니 나라도 미쳐 돌아버렸을지도 모르겠다. 그럴때마다 외할머니는 경찰에 찾아가 뇌물을 주고 외삼촌을 빼오는 것이 일상이셨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외삼촌은 사업을 하겠노라 외할머니의 땅을 일부 정리해 부산으로 떠나셨다. 남아 있는 땅으로 내 어머니와 같이 사시다 광주에 있는 고등학교로 어머니를 입학시키셨다. 그렇게 쓸쓸히 자식들을 기다리는 어느 날 이었다. 고3 여름 방학을 맞아 집에 내려온 어머니는 어릴적 친구네 집에 놀러 간다며 집을 나섰다. 그리고 그 친구네 집에서 한 남자를 만났다.

교대를 졸업하고 고향의 국민학교로 부임해 근무 하시던 내 아버지이시자 외할머니 땅을 소작짓던 소작농의 큰아들이었다.



7
  • 말 없이 추천 드립니다


전근대적인 사회란 말은 참 무감정하니 흔하지만 얽힌 사연들은 하나같이 마음아픈 이야기입니다 ㅠㅠ

몇해전에 할머니가 돌아가신 뒤 상을 마무리하고 모인 자리에서
집안 어른들로부터 할아버지가 젊은 날 할머니를 몇년간 내쳐서 건넛마을 창고간에서 얹혀사셨다는 둥 살아오신 이야기를 듣고
그 한스러움이 자주 찾아뵙지 못했다는 죄송함에 덧대어 괴로웠던 기억이 납니다.

글을 읽다 생각해보니 할머니 기일이 보름 뒤네요. 올해는 꼭 찾아뵙겠다 다짐해 봅니다.
Bergy10
1편부터 글 읽다보니 참...이게 그리 오래된 이야기도 아닐텐데 제 3자인 저도 맘이 좀 헛헛합니다.
예전에 탄넨바움님이 옆동네에 쓰신 글에서 아버님이 어떠셨는지를 간접적으로라도 본 적이 있어서 더 그렇네요.
이 이야기 처음 알게 되셨을때 가슴이 많이 아프셨을 것 같습니다.
황금사과
저는 철이 들기 전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께서 돌아가셨어서, 우리 가족은 어디서 시작했고, 어떻게 이 자리에 있는지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없었습니다. 분명 아픈 이야기었을테지만, 그것을 두 분께 직접 들을 수 없다는 사실도 아프게 하네요.

어려운 글을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모로 제 할아버지, 할머니가 생각납니다.
sungsik
가까이에서 보면 비극이라고... 이야기가 찹찹하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54 일상/생각신년 맞이 보이스피싱 맞은 이야기 (2) 8 DoubleYellowDot 17/01/06 4173 2
4552 일상/생각. 7 DoubleYellowDot 17/01/06 4238 1
4549 일상/생각냉장고에 지도 그린 날 4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1/06 4528 11
4543 일상/생각홍차넷 10000플 업적달성 전기 117 파란아게하 17/01/05 7284 44
4532 일상/생각뉴스게시판의 뉴스 하나를 읽고 평소에 생각하던 육아에 대한 잡생각. 54 Credit 17/01/03 6393 0
4525 일상/생각가볍게 적어보는 2017년 계획 17 쉬군 17/01/03 4090 0
4523 일상/생각[증오주의] 연예계 뒷담화, 용감한 기자들? 8 은머리 17/01/03 5295 0
4514 일상/생각싸이월드 과거사 청산 시리즈 1 6 모여라 맛동산 17/01/02 4866 2
4509 일상/생각2017년 새해 맞이 연중계획을 세워봅시다! 5 화공유체역학 17/01/01 4389 0
4507 일상/생각두 집 살림하려는 남자들 6 二ッキョウ니쿄 17/01/01 5381 2
4506 일상/생각익스트림 피씨방 8 우웩 17/01/01 4729 4
4502 일상/생각길고양이와 파상풍주사 5 민달팽이 17/01/01 5473 4
4500 일상/생각후방주의)일본애니주제가를 실컷 듣다가 : 성적 대상화란 것 47 은머리 17/01/01 10417 0
4498 일상/생각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고맙습니다. 15 진준 16/12/31 4213 10
4497 일상/생각잡담 몇 가지. 10 April_fool 16/12/31 4547 0
4495 일상/생각치과를 다녀왔습니다. 18 메디앙 16/12/31 3909 0
4493 일상/생각내일 입금됩니다. 잔고가 없네요? 배가 고픕니다 ㅠㅠㅋㅋ 4 진준 16/12/31 3792 0
4489 일상/생각계란값. 중간상인들은 정말 폭리를 취하는 걸까? 6 Leeka 16/12/31 3807 2
4487 일상/생각고맙습니다 7 레이드 16/12/30 4283 5
4486 일상/생각내 가슴속 가장 아픈 손가락 1 OPTIK 16/12/30 3565 0
4485 일상/생각마흔을 하루 앞두고... 39 난커피가더좋아 16/12/30 4388 2
4482 일상/생각할 일 없는 영혼은 도시를 또 떠돌았습니다 5 황금사과 16/12/30 5320 0
4481 일상/생각그냥 잡담 6 와이 16/12/30 3326 0
4470 일상/생각옛날 이야기 - 2 4 tannenbaum 16/12/29 3714 7
4466 일상/생각노인의 몸 생각해보기 3 nickyo 16/12/29 4648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